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退溪詩에 나타난 마음의 의미 | 이정화 | pp.7-25 |
|
|
退溪 詩 <淨友塘>의 학문적 맥락 읽기 | 김병권 | pp.27-49 |
|
|
선진 유가미학의 범주체계 = 先秦儒家美学的范畴体系 | 장검 | pp.51-64 |
|
|
맹자 "민귀"(民贵)설에 있어서 "존군"(尊君)의 실질 = 试析孟子"民贵"说的"尊君"实质 | 류청평 | pp.65-76 |
|
|
儒家儀禮의 '方位'에 관한 文化解釋 | 조창규 | pp.77-98 |
|
|
다산 정약용의『兒學編訓義』와 문자교육적 가치 | 김경선 | pp.99-119 |
|
|
후지와라 세이카의『슨테츠록(寸鐵錄)』과『명심보감』 | 성해준 | pp.121-139 |
|
|
『東還封事』에서 본『朝天日記』의 특성 연구 | 장안영 | pp.141-162 |
|
|
의암 유인석의 시에 나타난 중국과 우리의 관계 연구 : 「華東吟」을 중심으로 | 송기섭 | pp.163-188 |
|
|
'國樂' 명칭을 통해 살펴 본 조선시대 음악사상 | 최재목, 안선희 | pp.189-214 | ||
命理學, 미신인가 학문인가? : 음양오행론과 관계하여 | 김학목 | pp.215-236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