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사상 체계에 나타난 유대인 문제에 관한 작가의 관점을 <<죽음의 집의 기록>>과 <<작가일기>>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중 유대인의 형상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 바로 작가의 유형지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이 녹아 있는 <<죽음의 집의 기록>>이다. 소설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어린 시절 성경과 유럽문학에서 접하던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어느 정도 버리고 동료죄수로서 유대인 이사이 포미치를 구체적이고 입체적으로 화자 고랸치코프의 시각으로 그려낸다. 이사이 포미치는 소심하고 탐욕스러우며 동료들의 조롱거리가 되지만 악의 없는 인물로서 남의 눈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연극적으로 행동하며 거만한 죄수로 등장한다.

이사이 포미치의 특성 중 거만함은 이후 <<작가일기(1877년 3월호)>>에서 유대민족의 특성과 연관되어 일관되게 나타난다. 유대민족은 러시아 민족과 마찬가지로 억압받고 수난 받은 민족이나 러시아 민족과 달리 거만하고 타민족을 무시하는 태도를 지닌다. 따라서 도스토예프스키가 보기에 신이 선택한 민족은 유대민족이 아니라 고통을 인내하고 겸손하며 전 인류를 하나로 결합시킬 수 있는 러시아 민족이라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유대민족에 대한 시각과 판단 기준은 전적으로 작가의 신앙심에 근거한 것이며 그가 중시했던 것은 그리스도교적인 겸허와 사랑이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따라서 우리는 도스토예프스키를 반유대주의자라고 규정하기 이전에 작가의 종교적, 철학적 사상체계를 이해하고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그가 유대인을 비판하고 있는지 먼저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Dostoevsky's point of view concerning the Jewish subject that appears in the <> and <>. Dostoevsky's novel, which has the shape of Jewish prisoner turned out to be more specific, because it i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is dissolved in <>. Dostoevsky has somewhat negative prejudices against the Jew from childhood by the Bible and European literatures. In 1862 he represented Jewish prisoner, Isai Fomich from his own experience: he met a variety of colleagues-prisoners concluding Jews(such as И.Ф. Бумштель, О.Г. Каган, С. Е. Лурье) in Siberia. Isai Fomich is a timid and greedy jew whom colleagues look down on but Isai has no hatred to them.

The nature of the Isai Fomich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ws appeared in << Writer's Diary. (In 1877, the March issue)>>. Unlike the Russian people who has received oppressions and has suffered for a long time but endured with love and humility, the Jews are arrogant and foreign to ignore the attitude. Therefore, Russians, as Dostoevsky insists, are God's chosen nation and are patient under his sufferings. Dostoevsky's views about Jews is entirely based on his faith and religious philosophy. He is a Christian and stresses love and humility for all his life. Therefore, The idea that Dostoevsky is an anti-Semitic author is far from an ignorance of hi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beliefs.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연희, “러시아 속의 유대인”, 「인문과학」 50집, 성균관대학교, 2009 미소장
2 김용기, “토포스로서의 ‘유대인’:프랑스 및 러시아에서의 그 문화적 발현에 대한 비교검토”, 「인문과학」 제24호, 경북대 인문학연구소:73-989: 49-67 미소장
3 김태연, “도스또예프스끼의 작가의 일기에 나타난 민족주의 의식”, 「슬라브학보」26권 2호:3-39 미소장
4 권철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연구: 겸허와 오만의 인간학』, 서울:한국외대출판부, 2006 미소장
5 도스토예프스키, 『「죽음의 집의 기록」에서 「죄와 벌」까지』, 손영미 역, 서울:바리데기, 1995 미소장
6 도스토예프스키, 『죽음의 집의 기록』, 이덕형 역, 서울:열린책들, 2000 미소장
7 모출스키 콘스탄틴, 『도스토예프스키1,2』, 김현택 역. 서울:책세상, 2000 미소장
8 오원교, “도스토예프스키와 아시아-작가일기를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22권 2호:63-86 미소장
9 도스또옙스끼의 민족주의와 反유토피아 사상 : 「작가의 일기」를 중심으로 소장
10 탈민족 담론으로 본 유대적 정체성 : 이삭 바벨의 문학세계를 중심으로 소장
11 최아영, “러시아제국의 반유대주의:1880년대 초 남부 지역 포그롬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 23호, 2012: 173-202 미소장
12 F.M. 도스또옙스끼의 종교·철학적 체계의 특수성 고찰 소장
13 Бахтин М. Проблемы поэтики Достоевского, М : Советская Россия, 1979 미소장
14 Белов С. "Ф. М. Достоевский и еврей”, Телескоп No. 86(2011) 미소장
15 Белов С. В. “Достоевский и еврей(Новая постановка старого вопроса)Достоевский и современность”. Старая Русса. 2002 미소장
16 Берлин П. А. “Достоевский и еврей”, Новый журнал No. 83, 1966 미소장
17 Достоевский Ф.М. Полн.собр.соч в 30 т. Т. 3, 10, 25, Л: Наука, 1982-1988 미소장
18 Гришин Д. В. Достоевский-человек, писатель, мифы, Австралия, Мельбурнский уни-т, 1971 미소장
19 Еврейнов Н.Н. Театр как тaковой, М:время, 1923 미소장
20 Захаров В.Н. Система жанров Достоевского , Л: Изд-во Лен. уни-та, 1985 미소장
21 Петков Т.М. 『Записки из Мертвого Дома』 Достоевского-поэтика ипроблематика, Воронеж: Воронежского уни-та, 1985 미소장
22 Розенблюм Л.М. Творческие дневники Достоевского, М: Наука, 1981 미소장
23 Штейнберг А.З. Система свобода Достоевского, Paris:YMCA Press, 1980 미소장
24 Frank J. Dostoevsky: The Mantle of Prophet, 1871-1881. Princeton&Oxford: Princeton U.P. 2002 미소장
25 Goldstein D. I. Dostoevsky and the Jews, Texas: Texas U.P., 1981 미소장
26 Katz M."Once more on the Subject of Dostoevsky and The Jews", People of the Book, 1996:231-243 미소장
27 Morson G. "Dostoevskij's antisemitism and the Critics: A Review Article", SEEJ, vol. 27, 1983 미소장
28 Isai Fomich Bumshtein: The Representation of the Jew in Dostoevsky's Major Fiction 네이버 미소장
29 http://bezumno.ru/news/45354-evreystvo-v-tvorchestve-fm-dostoevskogo-ili-o-chem-ne-ra sskazyvayut-v-shkole.htm 검색일: l2015.06.29 미소장
30 https://ko.wikipedia.org/wiki/%EB%9F%AC%EC%8B%9C%EC%95%84%EC%9D%98_%EB%AF%BC%EC%A1%B1검색일:2015.07.10 미소장
31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9C%A0%EB%8C%80%EC%A3%BC %EC%9D%98검색일:2015.07.1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