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1세기는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영역들이 복합적으로 융합되어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하나의 트렌드가 개별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다양한 트렌드가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제 3의 트렌드를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패션에 나타난 다양한 트렌드들이 접목되는 현상의 하나로 알렉산더 왕의 스포티즘 패션에 나타난 블랙 패션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내용으로는 스포티즘 패션의 특성을 알아보고, 블랙패션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해 표현된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스포티즘 패션을 추구하는 디자이너 알렉산더 왕의 컬렉션을 통해 그의 스포티즘 패션에 나타난 블랙패션의 디자인 특성과 내재된 상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스포티즘은 기능성, 단순성, 젊음지향성, 미래지향성 그리고 관능성의 5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블랙패션은 역사적 변천에 따라 비애성, 위엄성, 금욕성, 현대성, 저항성, 관능성, 단순성의 특성을 가진다. 알렉산더 왕의 스포티즘 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상징성은 블랙컬러의 역사성에 내재된 상징성과 융합하면서 혁신성, 관능성, 단순성, 저항성의 상징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스포츠웨어의 기능적인 측면을 모던하게 표현하고자하는 혁신성, 인간의 성적 특징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표현되는 관능성, 블랙 패션의 반항성과 스포티즘의 젊음 지향성이 융합된 저항성, 그리고 스포티즘의 단순성과 블랙 패션이 가지는 컬러의 특성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단순성으로 나타난다. 이는 삶의 긍정적인 면을 추구하는 스포티즘의 정의와 블랙 패션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보여진 문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알렉산더 왕의 컬렉션에서 보여지는 스포티즘 패션과 블랙 패션이 융합되어 새로운 스타일을 통해 트렌드간의 경계가 모호해 지고 있는 현대 패션의 표현양식을 잘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조규화, 이희승 (2004). 패션미학, 서울: 수학사, p.246. 미소장
2 20세기 실존주의가 형성한 블랙의 패션 이미지 소장
3 김영인, 김은경, 김지영, 김혜수, 문영애, 이윤주, 이지현, 추선형 (2009). 패션의 색채언어, 경기: 교문사, pp.92-94. 미소장
4 이경희, 김연희, 신은영, 이종숙, 정명희 (2006). 복식의 아이템, 서울: 경춘사, pp.358-359. 미소장
5 이혜원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스포티즘에 관한연구-2000년 이후 컬렉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 미소장
6 Sportism in Fashion Generated from Hybrid 소장
7 MURRAY, Maggie (1997). 패션세계입문, 채금석 옮김. 서울: 경춘사, p.207. 미소장
8 A Study on the Sportism in Domestic Fashion 소장
9 패션큰사전 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경기: 교문사, p.363. 미소장
10 김숙현 (2001).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티브 패션 트렌드의 수용 현황과 배경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5. 미소장
11 박정수 (2005). 스포티즘에 의한 의상 디자인 연구“aura”브랜드 상품개발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7. 미소장
12 김은경 (2004). 현대 스포츠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이미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3. 미소장
13 임은안 (2000). 현대 스포츠패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7-30. 미소장
14 조경희 (2003).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현대패션의 미, 서울: 경춘사, pp.56-71. 미소장
15 박혜원, 이미숙, 염혜정, 최경희, 박수진 (2006). 현대패션 디자인, 파주: 교문사, p.25. 미소장
16 한나라 (2010). 무대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미소장
17 임정순 (1999). 블랙의상의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20세기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6. 미소장
18 김기례 (2002).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 미소장
19 문혜정, 김민자 (1998). 서양복식에 나타난 검정색의이미지-르네상스 시대부터 19세기말까지를 중심으로-, 복식, 41(-), pp.207-223. 미소장
20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p.231-252. 미소장
21 위키페디아(검색어: 알렉산더 왕), 자료검색일 2015. 3. 15. http://en.wikipedia.org/wiki/Alexander_Wang_(designer) 미소장
22 Characteristics of new premier American fashion designers' work 네이버 미소장
23 New York Magazine(검색어: Alexander Wang), 자료검색일: 2015. 3. 15. http://nymag.com/thecut/fashion/designers/alexander-wang/ 미소장
24 위키페디아 (검색어: 알렉산더 왕), 자료검색일 2015. 3. 15. http://en.wikipedia.org/wiki/Alexander_Wang_(designer) 미소장
25 채금석 (2002). 현대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p.32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