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에서 환경과 제품의 관계성 고찰을 통해 지구의 환경파괴 제품을 친환경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모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제품디자인은 경제성, 기능성, 안전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에코디자인(eco-design) 또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제품개발의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제품생산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려는 디자인 개발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은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트리플 버튼 라인(triple bottom line)이라고 일컬어지는 경제적 측면, 환경적 측면, 사회적 측면을 조화롭게 통합하는 설계기법으로 지속가능한 최고의 가치를 추구하려는 목적이 있다. 21 세기 공업화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산업중심에서 정보중심의 사회로 전환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과 더불어 정보를 운영처리하는 제품과 사용 환경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기능중심에 입각한 기능주의(機能主義)는 디자인에서 감성미학(感性美學)을 중시하는 감성디자인과 친환경디자인을 중시하는 환경주의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환경변화는 제품디자인과 제조 공정의 기술적 측면과 제품의 사용성 및 기능성 그리고 생산성을 고려한 친환경시대의 의미를 갖고 친환경성을 고려한 제품 구현을 촉진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다양한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어지고,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 및 재료의 변화에서 생산 공정의 발전과 더불어 대량생산으로 발달되어 산업화로 인한 지구환경에서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20 세기에 들어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공업국들은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은 대량소비로 진행되어 자원고갈과 제품 생산 및 사용과 폐기로 인한 환경파괴의주범이 되는 심각성에서 일반적 개념에서 제품디자인과 친환경적 개념에서의 디자인으로서의 의미와 관계성을 인지하는창의적 과정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nvironmentally frie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ducts currently in development processes in product design earth environmental destruc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of eco-friendly products from.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ization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has made information more significant along with products and environment for oper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which will advance social, cultural values. From function-oriented Functionalism to emotion-oriented Emotional Aesthetics, we are now focusing on environmentalism, caring for the environment. This transition is made by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the usability, functionalism, and productivity of a product in the technological aspect, and it is now being expressed through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This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involving diverse interaction, and changes in the materials and resources composing the product have led to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mass production, and has reached a stage where it is now threatening mankind and the global environment. The developed industrial countries began mass-producing products from the 20th century, and people started mass consuming, resulting in depletion of resource, and abundant production, use, and disposal is destroying the environment.
More and more Industrial designers are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are moving towards resolving it.
Realizing the global finitude, especially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king up to the global crisis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mproving military technology, industrial designers are exploring ways of promoting and encouraging people to act on resolving this situat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도로시 맥켄지,『환경을 위한 그린 디자인』, 도서출판 국제, 1996 | 미소장 |
2 | 빅터 파파넥,『녹색위기』, 조형교육, 1998 | 미소장 |
3 | 안중우,『친환경 제품설계』, 동화기술, 2006 | 미소장 |
4 | 야마기와 야스유키,『지속 가능한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연구센터, 2006 | 미소장 |
5 | 이병욱황금주김남규, 『환경경영』, 에코리브르, 2005 | 미소장 |
6 | 한국플라스틱기술정보센터,『플라스틱산업총람』, 1999 | 미소장 |
7 | Buzz Poole,『Green Design』, Mark Betty Publisher, 2006 | 미소장 |
8 | European Commission, 2010-investing to restore jobs and growth, 2009 | 미소장 |
9 | Greenpeace,『Guide to Greener Electronics』, 2007 | 미소장 |
10 | Industry & Consumer policy,『Eco-Indicator 99 Manual for Designers』, 2000 | 미소장 |
11 | Stuart Walker,『Sustainable by Design』, Earthscan, 2006 | 미소장 |
12 | Tracy Bhamra, Vicky Lofthouse, 『Design for Sustainability』, Grower, 2007 | 미소장 |
13 | UNEP,『Design for Sustainability (D4S) Activities』, 2006 | 미소장 |
14 | Victor Papanek,『생태계와 환경보호를 위한 디자인』, KSID 창립 20 주년 초청강연회, 1992 | 미소장 |
15 | 임기철,『환경친화적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모색』, 과학기술 정책관리 연구소, 1994 | 미소장 |
16 | 신희덕,『자원리사이클을 위한 분리기술의 발전과 응용』, 산업정보 기술원, 1994 | 미소장 |
17 | 한국기술정보컨설팅, 『분해성 플라스틱 기술개발 및 활용』, 1991 | 미소장 |
18 |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폐합성수지감량화 및 처리 재활용방안에 관한 연구』,1993 | 미소장 |
19 | 환경부,『재활용 지정사업자의 재활용 지침, 환경부 고시, 1993.12. | 미소장 |
20 | 지속가능한 발전과 제품설계 | 소장 |
21 | http://europa.eu/legislation_summaries/environment/sustainable_develop | 미소장 |
22 | http://www.greenovate-europe.eu/system/files/com_2008 | 미소장 |
23 | http://ec.europa.eu/enterprise/policies/raw-materials | 미소장 |
24 | http://www.greenovate-europe.eu | 미소장 |
25 | http://ecodesign.konetic.or.kr | 미소장 |
26 | http://www.samsungmobil.co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