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손도끼』를 통한 아동, 청소년 생태문학교육 | 김영미 | pp.7-30 |
|
|
윤곤강 시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 김옥성 | pp.31-57 |
|
|
한국 생태수필의 가능성과 그 양상 : 윤구병, 송명규, 최성각을 중심으로 | 손민달 | pp.59-88 |
|
|
인류세와 문학연구의 과제 | 신두호 | pp.89-113 |
|
|
현대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실천과 생태윤리학 연구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이평전 | pp.115-136 |
|
|
거친 호주오지에서 미혼여성으로 살아가기 : 마일즈 프랭클린의『나의 찬란한 경력』 | 차희정 | pp.137-161 |
|
|
황순원 소설의 상징에 나타난 생태학적 관점 :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중심으로 | 최선영 | pp.163-18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송명규, 『후투티를 기다리며』, 따님, 2010. | 미소장 |
2 | 송명규, 『금낭화를 심으며』, 따님, 2014. | 미소장 |
3 | 윤구병, 『잡초는 없다』, 보리, 1998. | 미소장 |
4 | 윤구병, 『자연의 밥상에 둘러앉다』, 휴머니스트, 2010. | 미소장 |
5 | 최성각, 『달려라 냇물아』, 녹생평론사, 2007. | 미소장 |
6 | 최성각, 『날아라 새들아』, 산책자, 2009. | 미소장 |
7 | 강용기, 「환경 수필 문학의 개관과 비평」, 『문학과환경』11권1호, 문학과환경학회, 2012.6, 133쪽. | 미소장 |
8 | 김열규, 「수필문학의 문제점」, 『수필과 비평』,1996.9-10월호, 191쪽. | 미소장 |
9 | 김용민, 『생태문학』, 이레, 2003. | 미소장 |
10 | 김우창, 『깊은 마음의 생태학』, 김영사, 2014. | 미소장 |
11 | 김욱동, 『문학 생태학을 위하여』, 민음사, 1998. | 미소장 |
12 | New Writing Method in the Green Growth Age : Focusing on Choi Seong-gak's Ecological Literature | 소장 |
13 | 김향미, 「생태문학 지도방안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2004, 12쪽/62쪽. | 미소장 |
14 | 박미경, 「생태 위기와 문학의 대응 : 최성각의 생태문학을 중심으로」, 동국대 석사논문, 2013, 49쪽. | 미소장 |
15 | 박산하, 『술잔을 걸어 놓고』, 황금알, 2011. | 미소장 |
16 | 박찬인, 『그때 그 길』, 충남출판부, 2010. | 미소장 |
17 | 손민달, 「『문학과환경』10년, 한국 생태문학 이론 연구의 성과와 과제」, 문학과환경학회 학술총서편집위원 편, 『환경위기와 문학』, 학고방, 2015. | 미소장 |
18 | 송명규, 『현대 생태사상의 이해』, 따님, 2004. | 미소장 |
19 | 신재기, 『수필의 형식과 미학』, 서정시학, 2012. | 미소장 |
20 | 이도원, 『흐르는 강물따라』, 사이언스북스, 2004. | 미소장 |
21 | 이도원, 『흙에서 흙으로』, 사이언스북스, 2004. | 미소장 |
22 | 임도한, 「한국 현대 생태시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1999. | 미소장 |
23 | 장백일, 「왜 수필을 써야 하는가」, 간복균 편, 『수필문학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한글, 1995. | 미소장 |
24 | 장정렬, 「한국 생태주의 시 연구」, 한남대 박사논문, 1999. | 미소장 |
25 | 한상렬, 『통시적으로 본 한국수필문학사』, 수필과비평사, 2014. | 미소장 |
26 | Ecological thought apeared in the essay 『Non-Possession』 of Monk Bub-Jung | 소장 |
27 | 황필호, 『생태수필이란 무엇인가』, 신아출판사, 20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