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프랑스 교양교육의 역사와 이념 = (The)History and Conceptions of Liberal Education in France : From Liberal Arts to Civic Education : 인문교양에서 시민교육으로 | 이기라 | pp.5-28 |
|
|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 Policy Change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of North Korea | 김정원, 김지수, 한승대 | pp.29-55 |
|
|
디카플링 해소와 국가총교육기능의 강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공교육개념의 모색 = Reconceptu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r both Decoupling Solution and National Total Educational Function Reinforcement | 이종각 | pp.57-85 |
|
|
한국 교육발전경험에 대한 KEDI 보고서 분석연구 = (A)Study on the KEDI Report Analysis of Education Development Experiences in Korea | 이종규, 장지순 | pp.87-10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정은 시대의 북한과 국제관계 변화 전망 : 김정은 시대 변화 요인 및 전망 | 소장 |
2 |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경로와 영향 : 지역간·대인간 연결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3 | 과학백과사전출판사(1985). 경제사전.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 미소장 |
4 | 교육신문 2014. 1. 16일자 1면 기사: 새 교과서 생산에 련일 혁신. | 미소장 |
5 | 교육신문 2014. 3. 13일자 3면 기사: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의 성과적 실시를 위하여 | 미소장 |
6 | 교육신문 2014. 5. 8일자 4면 기사: 동심에 맞고 흥미진진한 새 교과서 | 미소장 |
7 | 교육신문 2014. 9. 11일자 5면 기사: 제13차 전국교육일군대회에서 한 토론들 | 미소장 |
8 | 교육위원회(2013). 제1차 12년제 의무교육강령(소학교). | 미소장 |
9 | 김병로(2009). 경제조치 이후 북한의 사회적 변화.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윤영관・양운철(편). 285-330. 파주: 한울. | 미소장 |
10 | 김영건(2007). 수학(소학교 제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미소장 |
11 | 김완선・정순애(2004). 사회주의도덕(소학교 제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미소장 |
12 | 김정원・김지수・김은주・한승대・강구섭(2014). 북한 교육정책 동향 분석 및 서지 정보 구축(TR 2014-7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3 | A research on reform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and execution of 12-year compulsory education in North Korea | 소장 |
14 | 남호석,박미화,김혜영,림향,리순희,배은희,리성희(2013). 수학(소학교 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미소장 |
15 | 대륙연구소(1990). 북한법령집 제1권, 서울: 대륙연구소. | 미소장 |
16 | 로동신문 2012. 5. 9일자 2면 기사: 김정은, 사회주의강성국가건설의 요구에 맞게 국토관리사업에서혁명적전환을 가져올데 대하여(당, 국가경제기관, 근로단체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 미소장 |
17 | 로동신문 2012. 12. 22일자 1면 기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광명성-3》호 2호기를 성과적으로 발사하는데 공헌한 과학자, 기술자, 로동자, 일군들을 위하여 성대한 연회를 마련하였다(연회에서 하신 경애하는 김정은원수님의 연설). | 미소장 |
18 | 리인형(2008). 조선력사(중학교 제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미소장 |
19 | 박종철 외(2013). 김정은 체제의 변화 전망과 우리의 대책. 한국통일연구원 연구총서 13-03. | 미소장 |
20 | 북한정보포털. http://nkinfo.unikorea.go.kr/nkp/main/portalMain.do(검색일: 2014. 4. 20) | 미소장 |
21 | 이무철(2003). 탈북자가 말하는 북한사회.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109-123. 2003. 12. | 미소장 |
22 | 2000년대 이후 북한사회의 변화 : 특징과 전망 | 소장 |
23 | 김정은 체제 북한 사회의 과제와 변화 전망 | 소장 |
24 | 장명봉(2008). 김정일 체제하의 북한법제정비의 동향과 평가. 서울: 법제처. | 미소장 |
25 | 정순애・리희복・최희순・원은경(2013). 사회주의도덕(소학교 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미소장 |
26 | 정영철(2006). 북한의 사회통제와 조직생활. 북한의 사회. 북한연구학회(편). 109-163. 서울: 경인문화사. | 미소장 |
27 | 조선중앙통신사(2007). 조선중앙년감 2007.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 미소장 |
28 | 조선중앙통신사(2008). 조선중앙년감 2008.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 미소장 |
29 |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 소장 |
30 | 차영남・박영철・오영철(2013). 조선력사(초급중학교 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미소장 |
31 | 최고인민회의(2012).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을 실시함에 대하여. 인민교육, 2012(6), 4-6. | 미소장 |
32 | 통일부 통일교육원(2013). 북한이해 2013.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 미소장 |
33 | 통일연구원(2009). 2009 북한개요. 서울: 통일연구원. | 미소장 |
34 | 한만길․강구섭․정영철․이무철(2013). 북한교육의 현황과 정책동향 분석(TR 2013-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5 | 한재헌(2013). 일상의 사회통제체제와 권태로운 인민: 생활총화를 중심으로. 홍민・박순성 편, 북한의권력과 일상생활: 지배와 저항 사이에서 (pp. 353-371). 파주: 한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