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경산 옥산동 토기가마의 조업 단계별 구조와 생산량 변화 / 박영협 1
要約 1
I. 머리말 2
II. 옥산동 토기가마의 구조 2
III. 가마의 출토토기와 조업시기 7
1. 출토토기 7
2. 조업시기 8
IV. 가마 구조의 단계와 생산량 13
1. 조업 단계와 구조의 변화 13
2. 생산량의 추정과 변화 19
V. 맺음말 22
參考文獻 24
[요약] 26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燕系 鐵器文化의 擴散과 그 背景 | 정인성 | pp.4-33 |
|
보기 |
영남지방에서 격자문 전기 와질토기의 등장과 전개 | 이원태 | pp.34-55 |
|
보기 |
金官加耶의 外來系 威勢品 受用과 意味 | 심재용 | pp.56-87 |
|
보기 |
경산 옥산동 토기가마의 조업 단계별 구조와 생산량 변화 | 박영협 | pp.88-113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용성, 2009『,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학연문화사. | 미소장 |
2 | 金光玉, 2004『, 嶺南地方 土器가마 硏究-가마 構造를 中心으로-』, 嶺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미소장 |
3 | 金大旭, 2006『, 慶山地域 石室墓 硏究』, 嶺南大學校碩士學位論文. | 미소장 |
4 | 金大旭, 2014『, 임당 고총의 축조와 그 장제』,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대환, 2005「, 新羅土器의 지방 생산과정–慶州産 土器의 모방제작 一例」『, 繼往開來』 第5號. | 미소장 |
6 | 김대환, 2006「, 고대 경산지역 정치체의 토기생산과 분배 試論」『, 압독국과의 통신-토기의 메시지』, 영남대학교박물관. | 미소장 |
7 | Chronological discussion of Silla tombs focused on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 Great Tomb | 소장 |
8 | 김재철, 2003「, Ⅳ.考察」『, 大丘 旭水洞·慶山 玉山洞遺蹟Ⅰ』, 嶺南文化財硏究院. | 미소장 |
9 | 경상도의 고대토기가마 연구 | 소장 |
10 | 김재철, 2011『, 韓國 古代 土器窯 變遷 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미소장 |
11 | 金昌億, 2000『, 三國時代 時至聚落의 變遷 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미소장 |
12 | 김창억·김재철, 2002,「 大丘 旭水洞·慶山 玉山洞 土器가마遺蹟 調査成果」,『 第45回 全國歷史學大會 考古學部 發表資料集』 , 韓國考古學會. | 미소장 |
13 |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Systems of Earthenware Productions - The Case of Artisan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 소장 |
14 | 박영협, 2009「, 삼국시대 경산지역토기의 생산체계 검토」, 천마고고연구회정기발표자료집. | 미소장 |
15 | 新羅瓦의 生産과 流通方式의 變化 | 소장 |
16 | 박헌민, 2013『, 嶺南地方 瓦窯의 構造 變遷 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미소장 |
17 | 신순철, 2011「, Ⅴ. 고찰」『, 大丘 旭水洞·慶山 玉山洞 遺蹟Ⅱ』. | 미소장 |
18 | 윤상덕, 2010, 「6~7세기 경주지역 신라토기 편년」『, 한반도 고대문화 속의 울릉도-토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 미소장 |
19 | 이상준, 1998「, 蓀谷洞 土器가마(窯)의 類型과 構造的 特徵」『, 年報』 8號,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 미소장 |
20 | The appearance of Half-Dawn Draft Kil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hange of the productive system | 소장 |
21 | 圓底短頸壺의 生産 : 技術革新에 따른 生産體系의 再編 | 소장 |
22 | 이성주, 2008b,「 樣式의 生成-新羅, 伽倻樣式과 小地域樣式의 形成에 대한 檢討」,『 樣式의 考古學』, 제32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문. | 미소장 |
23 | The Creation of Style in the Dojil-ware Production System | 소장 |
24 | 이성주, 2011,「 原三國時代 물레질-打捺法의 傳承과 土器生産의 專門化-中部地方의 聚落 內 土器生産을 中心으로-」 『,湖南考古』學, 湖報南考古學會. | 미소장 |
25 | 李殷昌, 1982『, 新羅伽耶土器窯址』, 曉星女子大學校博物館. | 미소장 |
26 | 李政根, 2006『, 咸安地域 古式陶質土器의 生産과 流通』,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李政根, 2007,「 함안과 창녕지역 토기생산의 특징-고식도질토기생산을 중심으로-」,『 石心鄭永和敎授 停年退任紀念 天馬考古論叢』 | 미소장 |
28 | 田勝昌, 2008, 『15~16世紀 京畿道 光州 官窯硏究』, 弘益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미소장 |
29 | 조성원, 2014「, 삼국시대 영남지역 도질토기 생산과 유통」『, 嶺南考古學』69, 嶺南考古學會. | 미소장 |
30 | 최봉인·박상은, 2000「, 慶山 中山洞 土器窯址에 대한 檢討」『, 제13회 조사연구회 발표요지문』, 영남문화재연구원. | 미소장 |
31 | 홍보식, 2014「, 신라, 가야고분의 교차편년」『, 제23회 영남고고학회 정기학술발표회 요지문』, 嶺南考古學會.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