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감성적인 측면의 차별화된 웨어러블 제품 디자인 개발을 위해 통합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제안하고, 모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이론 고찰을 통해 파악된 내용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이 개발되었고, 이에 대한 검증 및 활용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두 차례의 사례 연구가 진행되었다.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은 다섯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 세 가지의 웨어러블 디자인 원리 및 세 가지의 감성 디자인 범주가 결합되었다. 이를 재구성하여 실제 프로젝트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 분석표를 개발하였고, 이를 적용한 두 가지의 사례 연구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 다양한 웨어러블 프로젝트 주제에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과 가이드라인 분석표가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성적 측면의 웨어러블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과 가이드라인 분석표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며, 상황에 따라 항목 변경이 가능하여 유연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추후 웨어러블 디자인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류 콘텐츠의 국제적 교류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연구 = (A)Study on Mobile Application Design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Korean-wave Contents 김준태, 이준서 pp.1-18

파타피직스와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디자인 교육에 대한 고찰 = Issues Confronting Technologies of Pataphysics and Virtual Realty in Architectural Education : In the case of Pataphysics Architecture workshop at conference : 파타피직스 건축 워크샵 사례를 중심으로 정재헌, 류재호 pp.19-36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가 디자인 사고 과정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 of animation software interface on design thinking process : Protocol analysis of Alice and KidsPlay : Alice와 KidsPlay 프로그램 프로토콜 분석을 중심으로 김연, 이현경, 이상원 pp.37-48

디자인분야에서의 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 = (The)Development of th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Program Model 강희정 pp.49-62

Mediatization 이론에 의거한 광고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양태변화의 함의 = (The)Implications on the change of advertising & br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Mediatization 정혜욱 pp.63-82

ASQ 규준에 의한 공항 여객터미널의 공간구성과 연계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connec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for airport passenger terminal design based on ASQ criteria : Focused on the Incheo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2 Competition :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현상설계를 중심으로 김윤겸, 임종엽 pp.83-98

재활환자 경험디자인 리서치를 통한 의료서비스디자인 콘셉트 개발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service design concept through the experience design research of rehabilitation patients : Focusing on the rehabilitation ward of public medical hospital B in Seoul : 서울시 공공의료기관 B병원의 재활병동을 중심으로 서인경, 유하늬, 최민영 pp.99-114

골목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쓰레기 거점수거대 디자인 개발 = (A)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litter bin for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between city streets 유하늬, 정주연, 최민영 pp.115-134

스마트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 = Experience Design Guideline for Smart Car Interface 유훈식, 주다영 pp.135-150

부산국제영화제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자산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BIFF) Service Quality on Brand Eq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김수정, 이도균 pp.151-164

오픈디자인의 특성과 기업의 활용사례 연구 = Characteristics of Open Design and Case Studies of Corporations 김초록, 이진렬 pp.165-180

국내 공공기관 디자인 정책 시스템동향 및 과제 = (The)Trends and Directions for Domestic Design Policy System in Korean Public Institutions : An Analysis on KIDP Korea Design Statistical Data from 2011 to 2014 : 2011~2014 KIDP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분석 문은정, 나건 pp.181-198

Active Aging세대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모바일 SNS 개발 방향 연구 = (A)Study on the Mobile SNS development of Active Aging Consider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the user 50s : 5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박기혁, 이종선 pp.199-216

감성적 측면의 차별화된 웨어러블 제품 디자인 = Differentiated Wearable Product Design from the Emotional Aspect 김은정, 이상원, 민경보, 손승희 pp.217-232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의 감정인식 서비스 제안 = Proposal of Emotion Recognition Service in Mobile Health Application 하민아, 이유진, 박승호 pp.233-246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ngland, David, Whole body interaction: An introduction. In Whole Body Interaction, Springer, 2011 미소장
2 Secil, Ugur, Wearing Embodied Emotions: A Practical Based Design Research on Wearable Technology, Springer, 2013 미소장
3 Van Gorp, Trevor & Adams, Edie, Design for Emotion, Morgan Kaufmann, 2012. 미소장
4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information for authors 네이버 미소장
5 Innovation and Wearable Computing: A Proposed Collaborative Policy Design Framework 네이버 미소장
6 Chin, Seongah, & Kim, Kyoung-Yun, Facial configuration and BMI based personalized face and upper body modeling for customer-oriented wearable product design, Computers in Industry, 61(6), 2010 미소장
7 Garrett, J. James, Elements of user experience, the user-centered design for the web and beyond, Pearson Education, 2010 미소장
8 Gemperle, F., Kasabach, C., Stivoric, J., Bauer, M., & Martin, R. Design for wearability, In Wearable Computers, Digest of Papers,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EEE. 1998 미소장
9 Sanders, E.B.N., Converging perspectives: Product development research for the 1990s, Design Management Journal, 3(4), 1992 미소장
10 Zhang, Boya, Applying metaphor on wearable device design, University of Cincinnati, 2015 미소장
11 Bass, L., Kasabach, C., Martin, R., Siewiorek, D., Smailagic, A., and Stivoric, J., The Design of a Wearable Computer, CHI 97. ACM., 1997.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