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우리나라도 유엔통일매매법협약(CISG)에 가입한지 11년째이다. 사법통일에 있어 가장 성공한 예로 평가되고 있는 CISG는 이미 가입국 수가 전 세계국가의 반을 넘고 있어, CISG는 많은 경우에 국제협약이면서도 국내 매매법과 같은 위상을 가지면서 국제물품매매계약 대하여 적용되는 준거법이 되고 있다. 이에 CISG가 언제 적용되며, 언제 적용이 배제되는지, 그리고 그 실체법적 주요내용과 조약으로서의 특징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는 CISG가 국제조약으로서 갖는 중요한 특징의 하나로 제 95조 유보에 초점을 맞추어, 그러한 유보가 CISG의 실체법적 차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미국, 영국 등의 국내법과 비교 검토하고, 나아가 일본법, 그리고 우리 법과는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를 간략히 살펴보려 한다. 비교법적 검토를 함에 있어, 단순히 실체법적 조항의 비교를 넘어, 각국의 법문화와 사법전통, 법계상의 차이, 나아가 통신과 과학기술의 발전을 배경으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국제적 법학 학술교류 등이 갖는 함의를 생각해 보려 한다. 또한 사법의 통일은 어려우면서도 전략적이고 외교적 성격을 가지는 문제로서, 향후 사법의 통일이 가속화되는 경우, 우리의 외교 전략이나, 우리 사법부와 법률전문가들의 새로운 마인드가 필요한 시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에 사법의 통일을 통한 국제거래법 영역의 발전과 우리의 자세 등을 결어로서 간략히 제시해 보려 한다.

Now the jurist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must be taunted without the due understanding of UN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Sales of Goods, what we call CISG in abbreviation. Nearly half of global nations has subscribed to the convention as a signatory or party state meaning that they generically accept the convention as their domestic sales law in the case that the parties of member states engage in the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The scope and application of CISG norms will expand in terms of Art. 1 (1)(b) and may reduce upon the stipulation of parties for the exclusion of norms' effect. In this context, the possibility as a governing law for the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can increase or decrease. Nonetheless, its importance as a sales law within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and domestic jurisdictions needs no further remark. The CISG is one of greatest achievements for the uniform private law movement since 1945, and its lesson has a repercussion on the understanding of private laws and national diplomacy or strategy as well as the norm appliers of each nation. This article exemplified the US case in that it had attached the Art. 95 declaration for excluding its applicability about the exercise of parties' choice of law. Given its varying impact on the contracting parties, the illustration will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CISG especially in terms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laws of UK, Japan, and US, as well as the comparative legal traditions and court attitude. The paper also extends the implications of private uniform law that creates a challenge diplomatically or strategically and within the justice administration of Korean judiciary and national trade lawy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15년 親子法 관련 주요 판례 회고 정구태 pp.3-39

호주제를 전제로 한 상속관습법의 폐지에 관한 입론 이홍민 pp.41-69

CISG의 국제거래법적 함의 : CISG 제95조 유보 등 미국의 경우를 사례로 하여 김기영 pp.73-112

Who Is the Carrier? : A comparative study on identification of carrier in Korea and U.S. Lee, Chang-Jae pp.113-139

글로벌 IT기업의 투명성 활동에 관한 헌법적 검토 백수원, 김일환 pp.143-167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의 인정여부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위험한 힘겨루기 송승현 pp.169-205

소비자기본법상의 단체소송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오대성 pp.207-239

Criminal Conduct Under the Influence, Dilution of Virtue Shahin Borhanian pp.241-301

중형주의적 형벌정책에 관한 비판적 연구 안나현 pp.303-333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의 효율적 개정방안 도중진 pp.335-364

자배법상 '자동차사고 피해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조규성 pp.365-393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의 사망에 관한 생명보험 및 상해보험 판례의 동향 김재형, 박승남 pp.397-421

동산 이중매매의 형사책임 : 대상판결: 대법원 2011.1.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 판결 박창연, 신창호 pp.423-445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상만,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 CISG 해설 변호사시험 대비 및 무역계약론 강의용」, 2013. 미소장
2 서헌제, 「국제거래법」, 법문사, 2016. 미소장
3 심종석,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CISG)의 해석과 적용」, 삼영사, 2015. 미소장
4 오세창, 「국제물품매매법」, 학문사 2003. 미소장
5 이기수․신창섭, 「국제거래법」, 세창출판사, 2015. 미소장
6 임홍근,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상의 제문제」, 삼지원 1991. 미소장
7 최준선, 「국제거래법」, 삼영사, 2015. 미소장
8 미국에서의 국제상학의 연구동향과 한국에서의 연구방향 소장
9 김선국,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과 미국통일상법전 제2편(매매)”, 「사법연구」 제15권 제2호, 한국해사법학회, 2003. 미소장
10 유럽에서의 민사법의 통일화 소장
11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과 우리법의 비교법적 검토 : 계약위반책임구조와 그 구제수단을 중심으로 소장
12 Probleme bei Anwendung des CISG kraft kollisionsrechtlicher Verweisung 소장
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plic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Sales Law(CISG) and the Laws of Korea 소장
14 석광현, “국제물품매매협약 (CISG)과 國際私法”, 「s-space.snu.ac.kr」 제50권 제3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미소장
15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CISG)의 적용상의 통일성에 관한 최근 미국판례의 태도와 그 개선책에 관한 고찰 소장
16 CISG와 Unidroit 원칙상의 국제물품매매계약을 위한 해석원칙의 비교에 관한 연구 소장
17 Leg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ISG in China -Focusing on Judical Precedents of Chinese Court- 소장
18 해제권의 요건으로서 계약위반의 중대성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영국계약법, 미국계약법, 국제물품매매협약(CISG)과 민법개정시안을 중심으로 소장
19 지원림, “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과 한국의 매매법”, 「법학논총」 제31권 제1호,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2011. 미소장
20 Bell, K., Sphere of Application of the Vienna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8 Pace Int'l L. Rev.237, 1996. 미소장
21 Bridge, Michael G.,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law and practice.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2007. 미소장
22 U.N.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Examining the Gap-filling Role of CISG in Two French Decisions 네이버 미소장
23 CISG-AC Opinion No. 15, Reservations under Articles 95 and 96 CISG, Rapporteur:Professor Doctor Ulrich G. Schroeter, University of Mannheim, Germany. Adopted by the CISG Advisory Council following its 18th meeting, in Beijing, China on 21 and 22 October 2013. http://www.cisg.law.pace.edu/cisg/CISG-AC-op15.html. 미소장
24 DiMatteo, L.A, Dhooge, L., Greene, S., MaurerInterpretive Turn in International Sales Law: An Analysis of Fifteen Years of CISG Jurisprudence, 24 Nw. J. Int'l L. &Bus. 299, 2003. 미소장
25 Dodge, W. S., Teaching the CISG in Contracts, Journal of Legal Education-JSTOR Vol. 50, No. 1, 2000. 미소장
26 Ferrari, F. Relationship between the UCC and the CISG and the Construction of Uniform Law, 29 Loy. L.A.L. Rev. 1021, 1995. 미소장
27 Jenkins, S.H., Construing Laws Governing International and US Domestic Contracts for the Sale of Good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CISG and UCC Rules of Interpretation, Temple International &Comparative Law Journal, Vol. 26, No. 181, 2012 - papers.ssrn.com. 미소장
28 Kashiwagi, N. Accession by Japan to the Vienna Sales Convention(CISG) Zeitschrift für Japanisches Recht 25, 2008. 미소장
29 Killian, M., CISG and the Problem with Common Law Jurisdictions, 10 J. Transnat'l L. &Pol'y, 217-241, 2000 - HeinOnline. 미소장
30 Lookofsky, J. M., Understanding the CISG in the USA: a compact guide to the 1980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4. 미소장
31 Markel, A., American, English and Japanese Warranty Law Compared: Should the US Reconsider Her Article 95 Declaration to the CISG, 21 Pace Int'l L. Rev. 163, 2009. 미소장
32 Moss, S., Why the United Kingdom Has Not Ratified the CISG, 25 JL &Com. 483, 2005. 미소장
33 Nottage, L.R.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Lex Mercatoria for Japan: CENTRAL's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transnational law, Vindobona Journal of International Commercial Law and Arbitration, Vol. 4, No. 2, pp.132-146, 2000. Available at SSRN: http://ssrn.com/abstract=880388. 미소장
34 Sale of Goods Act § 14(2B)(a). 미소장
35 Tuggey, T. N. 1980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Will a Homeward Trend Emerge, 21 Tex. Int'l LJ, 540, 198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