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수퍼비전은 상담자 교육의 중요한 핵심 요인이고 수퍼바이저는 수퍼비전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퍼바이저를 위한 교육과 훈련은 공식적으로 요구되고 있지 않으며, 수퍼바이저가 전문적인 수퍼비전 교육과 훈련을 받지 않은 채 활동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수퍼바이저 발달이론, 그리고 수퍼바이저 역량과 관련된 문헌 검토를 통해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요인을 중심으로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을 통해 발달 및 성장시켜야 하는 구체적 요소들과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의 주요한 방법 요소가 무엇인지를 정리하였다. 선행 이론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수퍼바이저의 발달 및 역량을 나타내고 수퍼바이저 훈련에서 다루어야 하는 구체적 요소로서 수퍼바이저의 정체성, 수퍼비전 관계형성 능력, 효과적인 피드백전달 능력, 수퍼비전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수퍼바이저가 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가치임을 정리하였다. 또한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방법의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이론수업과 경험실습이라는 것에 많은 연구들에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논의에서는 국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 수퍼바이저 발달적 관점과 역량에 근거한 수퍼바이저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수퍼바이저의 발달과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Psychotherapy supervision has long been regarded as a crucial component of psychotherapy education. Supervisory role is very important in supervision outcomes but the absence of and need for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have continued to be emphasized.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used to better prepare and strengthen new professionals who serve in the supervisory role. This study reviewed on the literatures of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psychotherapy supervisor's development, and core competencies in supervi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ntroduced what supervisor should be trained. There were supervisor identity, ability to build supervisory relationship/alliance, ability to provide effective and summative feedback, knowledge of professional supervision and value of commitment to lifelong learning and professional growth. Also consensus has converged on the superordinate value of now crucial components in educating and training supervisors: didactic instruction and experiential practice. In conclusion, I discussed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Korean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장애아동의 인권인식과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 = Childcare Teacher's Cognition of Human Right Awareness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이미나, 김영춘 pp.387-398

AHP를 활용한 문화관광개발 사업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 (The)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dices of Evaluation for the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 Using AHP : focusing on Cultural and Ecological Tourism Infrastructure Project in Three Cultural Areas of Andong City : 안동시 3대 문화권 문화·생태 관광 기반조성 사업을 중심으로 권기창 pp.399-407

제노포비아 확산에 따른 경찰의 대응방안 = Police Respons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Xenophobia Spread 김상운 pp.408-417

한국어 명사의 지식기반 의미중의성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품사집합 = Efficient Part-of-Speech Set for Knowledge-ba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Korean Nouns 곽철헌, 서영훈, 이충희 pp.418-425

기업가 정신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경영성과 관계 = (The)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irm Performance 서주환 pp.426-433

트위터 이용자의 언어권별 자기노출 및 경계 불투과성 = Self-Disclosure and Boundary Impermeability among Languages of Twitter Users 장필식 pp.434-441

내수면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스마트폰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 =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for the Safe Operation of Inland Vessels 조병완, 이윤성, 김도근, 김정훈, 김길용 pp.442-454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 of Opinion Congruency with Twitter Influentials on Opinion Expression : The Interaction Effect of Influential Type : 유력자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진소연, 이숙정 pp.455-465

기술지주회사 사업 모델 제안 = (A)Proposal on the Business Model of Technology Holding Company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Venture Capital in Korea : 창업투자회사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근, 장재혁, 한관희 pp.466-476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요소 연구 = (A)Study on Psychotherapy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Components :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요인 중심으로 장세미, 장성숙 pp.488-502

브랜디드 콘텐츠의 서사 구조 연구 = (The)Study about Narrative Structure of Branded Contents : Focused on the Mobile Applications for Food Delivery Service : 모바일 음식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이영수 pp.503-515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Empowerment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n Social Enterprises 김효순 pp.528-543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An)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of Undergraduate Stud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Start-up Idea Contest as a Mediator : 창업공모전 참여동기를 매개변수로 김정곤, 양동우 pp.477-487

전문심폐소생술 교육에 Lasater의 임상판단 루브릭을 적용한 디브리핑의 효과 = Effects of the Lasater's Clinical Rubric of Debriefing i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Training 은영, 방설영 pp.516-527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관한 주관성 연구 = Subjectivity on Weight Control of College Women 정연선, 권혜진, 백경아 pp.544-554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한국인 은퇴이주의 조우(遭遇) = (A)Study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Encounter between Malaysian Migration Policy and Korean Retirement Migration in Malaysia 홍석준 pp.555-568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 개념의 의미 탐색 = Study on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in Psychotherapy 최이선 pp.569-581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과 초월감의 매개효과 =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Mediation Effect of Transcendence 안지원 pp.582-593

철도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 (The)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rea Activation and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최수범, 이주형 pp.594-603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하천 외수위 결정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Decision for External Water Level of a River Considering Sea Level Rise 추태호, 윤관선, 권용빈, 안시형, 김종구 pp.604-613

매끄러운 관수로 내 난류흐름특성을 반영한 수리학적 매개변수에 의한 마찰속도의 산정 = (The)Estimation of Friction Velocity by Hydraulic Parameters Reflecting Turbulent Flow Characteristics in a Smooth Pipe Line 추태호, 손종근, 권용빈, 안시형, 윤관선 pp.614-623

수치정보 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시각적 형태 연구 = (A)Study on the Effective Visual Form Following the Numerical Information Types 김재영, 김덕용 pp.624-633

EFL 학생들의 자기평가 도구의 활용에 관한 질적 분석 = Qualitative Analysis of Using Self-Assessment for EFL Students Kyeong-Hee Rha, Kyong-Hyon Pyo pp.634-643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이준희 pp.644-654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정구철 pp.655-665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 (The)Influence of Consumption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Baby-Boom Generation :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 :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 검증 박서영, 최희정 pp.666-674

중국내 한국 TV 프로그램 소비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구 = Investigating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sumption of Korean TV Programs in China : Focused on Globalism, Proximity, and Modernity : 국제성, 근접성, 현대성을 중심으로 Sojung Kim, Qijun He pp.675-690

저소득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자립자금대여사업 개선방안 연구 = (A)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dependent Loan Fund Business for low-income Disabled 박주영 pp.691-704

준고령자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지속성 요인 = Factors on Continuing Participation in the Eldrly Employment Program with the Semi-Elderly 김제선, 김선웅 pp.718-728

영어 동화를 활용한 읽기 교육의 효과성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Instruction Using English Literature for Children 김지영, 김정렬 pp.741-756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Study on Effects of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Comparison of Gender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경준, 송희경 pp.757-769

예비영어교사의 영어 학습 지원 튜터링이 북한이탈 대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utoring on the English Language Learning of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최윤희 pp.770-779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본 스포츠영화의 한계 = Limits of Sports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tructural 이정래, 권기남 pp.780-788

친사회성 정책홍보 메시지의 소구유형이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s of Prosocial PR Appeals on Policy Acceptance: a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안사이, 김희진 pp.705-717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 Car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전재희, 김경희 pp.729-740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J. M. Bernard and R. K. Goodyear,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2014. 미소장
2 B. E. Wampold and E. L. Holloway, Methodology, design, and evaluation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research. In C. E., 1997. 미소장
3 J. M. Bernard, “Approved clinical supervisor: a new NBCC credential,” Counseling Today, Vol.41, No.1, p.19, 1998. 미소장
4 M. J. Lambert and B. M. Ogles,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Handbook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pp.421-446, 1997. 미소장
5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네이버 미소장
6 소수연, 수퍼바이저의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탐색과 수퍼비전 수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7 손진희, “수퍼바이저 행동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연구,” 상담학연구, 제5권, 제2호, pp.243-261, 2004. 미소장
8 Trends and Tasks in Qualitative Research on Clinical Supervision 소장
9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 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수행과 성과의 차이 소장
10 수퍼비전 경험과 되고 싶은 수퍼바이저 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장
11 Korean Supervisors’ Experiences in Clinical Supervision 네이버 미소장
12 P. Rodenhauser,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for psychotherapy supervision based on developmental stage,” J.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Vol.3, pp.1-15, 1994. 미소장
13 C. E. Jr. Watkins,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Review of and Reflections on 30 Years of Theory and Research,” American J. of Psychotherapy, Vol.66, No.1, pp.45-83, 2012a. 미소장
14 C. E. Jr. Watkins, “Educating Psychotherapy Supervisors,” American J. Of Psychotherapy, Vol.66, No.3, pp.279-307, 2012b. 미소장
15 H. A. Dye and L. D. Borders, “Counseling supervisors: Standards for preparation and practice,” J.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69, No.1, pp.27-29, 1990. 미소장
16 The Ineffective Psychotherapy Supervisor 네이버 미소장
17 C. A. Falender and E. P. Shafranske, Getting the most out of clinical training and supervision: A guide for practicum students and inter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미소장
18 Supervisory Training Experiences and Overall Supervisory Development in Predoctoral Interns 네이버 미소장
19 Psychotherapy Supervisor Training 네이버 미소장
20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대학생활연구, 제17권, 제1호, pp.1-18, 1999. 미소장
21 방기연, 상담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2011. 미소장
22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소장
23 초보 수퍼바이저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소장
24 Evidence-Based Training for Clinical Supervisors: A Systematic Review of 11 Controlled Studies 네이버 미소장
25 Clinical Supervision in Four Mental Health Professions: A Review of the Evidence 네이버 미소장
26 D. L. Milne and I. A. James, “The observed impact of training on competence in clinical supervision,” Bri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41, pp.55-72, 2002. 미소장
27 A Development Theory of Psychodynamic Supervision 네이버 미소장
28 A. K. Hess, “Growth in Supervision: Stages of Supervisee and Supervisor Development,” The Clinical Supervisor, Vol.4, pp.51-67, 1986. 미소장
29 C. D. Stoltenberg, U. Delworth, and B. McNeill, IDM supervision: An Integrated Developmental Model for supervising counselors and therapist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8. 미소장
30 Researching Psychotherapy Supervisor Development: Four Key Considerations 네이버 미소장
31 L. D. Borders, Principles of best practice for clinical supervision training programs. In J. R. Culbreth & L. L. Brown (Eds.), State of the art in clinical supervision, pp.127-150, New York: Routledge, 2010. 미소장
32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concepts, assumptions, and hypotheses of the supervisor complexity model. 네이버 미소장
33 Issues and approaches in supervision. 네이버 미소장
34 C. D. Stoltenberg, “Approaching Supervis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ounselor Complexity Model,”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pp.59-65, 1981. 미소장
35 C. A. Falender and E. P. Shafranske, Clinical supervis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미소장
36 Psychology Board of Australia, Exposure draft: Guideline for supervisors and supervisor training providers, 2011. 미소장
37 E. I. Worthington and H. J. Roehlke, “Effective supervision and perceived by beginning counselor in training,”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6, pp.64-73, 1979. 미소장
38 M. O'L. Wiley, Developmental counseling supervision; Person-environment congruency, satisfaction, and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1982. 미소장
39 Supervisor Development: An Exploratory Study in Changes in Stance and Emphasis 네이버 미소장
40 Measuring Psychotherapy Supervisor Development: An Initial Effort a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네이버 미소장
41 J. C. Bencivenne, An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 supervisor and supervisee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ton Hall University, New Jersey, 1999. 미소장
42 N. J. Pelling,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y experience, counseling experience and training in supervision to supervisory development,” International J.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Vol.30, pp.235-248, 2008. 미소장
43 N. W. Vidlak, Identifying important factors in supervisor development: An examination of supervisor experience, training, and attribu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2002. 미소장
44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doctoral programmes and internships in professional psychology, Ottawa, ON: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미소장
45 The Training of Psychotherapy Supervisors: 네이버 미소장
46 Changes in supervision as counselors and supervisors gain experience: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47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Defining and assessing learning: Exploring competency-based initiatives, Washington, DC: Author, 2002. 미소장
48 ON PSYCHOANALYTIC SUPERVISOR COMPETENCIES, THE PERSISTENT PARADOX WITHOUT PARALLEL IN PSYCHOANALYTIC EDUCATION, AND DREAMING OF AN EVIDENCE-BASED PSYCHOANALYTIC SUPERVISION 네이버 미소장
49 Training for Competency in Professional Psychology: A Canadian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50 Setting the Stage for an Evidence-Based Model of Psychotherapy Supervisor Development in Clinical Psychology 네이버 미소장
51 Student Reflections on the Journey to Being a Supervisor 네이버 미소장
52 소수연, 장성숙,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2호, pp.193-222, 2014. 미소장
53 Issues in training effective supervisors 네이버 미소장
54 D. L. Milne, “Can we enhance the training of clinical supervisors? A national pilot study of an evidence-based approach,” Bri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17, pp.321-328, 2010. 미소장
55 Teaching the Teachers: A Model Course for Psychodynamic Psychotherapy Supervisors 네이버 미소장
56 Curriculum Guide for Training Counseling Supervisors: Rational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네이버 미소장
57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for Clinical Supervisors 네이버 미소장
58 C. F. Newman, “Train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upervisors: Didactics, simulated practice, and meta-supervision,” J. of Cognitive Psychotherapy, Vol.27, pp.5-18, 2013. 미소장
59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linical Supervisors in Training: An Investigation of the Supervisor Complexity Model. 네이버 미소장
60 The process of becoming a supervisor for students in a doctoral supervision training course. 네이버 미소장
61 Supervision Training for Professional Counselors: An Exploratory Study 네이버 미소장
62 Training School Counselors to Supervise Beginning Counselor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63 Becoming a Supervisor: Doctoral Student Perceptions of the Training Experience 네이버 미소장
6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Assessment of competency benchmarks work group: A developmental model for defining and measuring competence in professional psychology, Washington, DC: Author, 2007. 미소장
65 D. L. Milne, J. Scaife, and T. Cliffe, “How should we train effective supervisors? A British consensus on facilitating experiential learning,” In Clinical Psychology Forum, Vol.203, pp.7-12, 2009. 미소장
66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소장
67 Psychotherapy-based supervision models in an emerging competency-based era: a commentary.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