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신국은 일본 공통의 민족적 始祖인 이자나기노 카미(伊邪那岐神), 이자나미노 카미(伊邪那美神),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를 모시는 역사적 인식으로부터 열도에서 생을 영위하는 사람들에게 일본인이라고 하는 소속의식을 심어주었다. 그러한 소속의식이 사농공상의 엄격한 신분질서 가운데서도 같은 아마테라스의 자손으로 동일한 신국의 국민이라는 신분을 넘어 사회적 연대의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고대에 있어서도 일본의 신국 이념은 국가가 보증하는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정점으로 하는 神祇界의 정연한 서열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신국사상은 이 질서에 따르는 형태로 주장되어 그 자유로운 전개가 큰 網에 걸려있다고 하는 점에서 중세의 신국사상에까지 이어지는 공통적인 성격이라 할 수 있다. 신국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사상’의 전통은 ① 그 전통성을 인정하려고 하는 관점과 ② 전통은 후대에 들어와서 만들어진 픽션이라는 관점의 두 견해가 있다. 또 그러한 관점과는 달리 일본사상을 신도ㆍ유교ㆍ불교ㆍ도교 등의 여러 요소로 나누어 파악하려고 하는 관점도 있다. 이는 다양한 사상적 요소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일본사상의 전체상이 재구축된다고 하는 주장으로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성과가 바로 신국사상에 대한 재조명이다.
일본을 신국이라고 간주하는 이념은 원시의 죠몬ㆍ야요이시대부터 고대의 ??古書記??ㆍ??日本書紀??, 중세의 몽고침략, 근세의 국학사상의 부상 및 미토학의 대두, 근대의 명치유신 및 카미카제 특공대에 이르기까지 어느 시대에나 보인다. 그러나 일본을 신국이라고 규정하는 차원이 되면 결코 특정시대에 고정화된 이념이 아니라 역사적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모습을 바꿔 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함없는 것은 일상에서도 신이 함께한다는 사상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일본 신국사상의 역사적 궤적을 추적하여 그에 따른 국민성과 대내외적 대응을 고찰하고자 한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퇴계와 다산의 종교적 욕망 : 칸트와 라캉을 地圖삼아 | 박규태 | pp.9-54 |
|
|
퇴율의 묘합적 사유 | 김동희 | pp.55-91 |
|
|
退溪의 知行 개념 연구 : 「大學圖」와「傳習錄論辨」을 중심으로 | 김성실 | pp.159-187 |
|
|
『四書釋義』成書 과정과 관련 자료의 書誌 분석 | 전재동 | pp.189-221 |
|
|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 김자운 | pp.121-158 |
|
|
『孟子』의 王道경영과『孫子兵法』의 詭道경영 | 이주강 | pp.223-247 |
|
|
障碍人觀에 대한 東西 比較 : 歷史哲學的 接近 | 주동진, 엄진성 | pp.249-277 |
|
|
日本 神國思想과 國民性 : 古代에서 現代까지의 神國思想 軌跡追跡 | 성해준 | pp.279-303 |
|
|
퇴계학에서 마음과 생명의 만남 : 『심경부주』와『활인심방』을 중심으로 | 조성환, 장지영 | pp.93-11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佐藤信, 「6세기의 왜와 한반도 제국」,『한일역사 공동연구보고서 1』,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05 | 미소장 |
2 | The ideological investigation which leads the life in the Japanese modern anarchist oosugi sakae | 소장 |
3 | 사토히로오 저, 성해준 역,『일본열도의 사생관』, 도서출판 문, 2011. | 미소장 |
4 | 사토히로오 저, 성해준 역, 신국일본, 논형, 2015. | 미소장 |
5 | 가토 나오키(加藤直樹) 지음, 서울리다리티 옮김, 9월, 도쿄의 거리에서, 갈무리, 2015. | 미소장 |
6 | 朝尾直弘,『將軍權力の創出』, 岩波書店 1974. | 미소장 |
7 | 石田一良, 『カミと日本文化』ぺりかん社、1983. | 미소장 |
8 | 川平敏文,「徒然草をめぐる 儒彿論爭」,『雅俗』8호, 2001. | 미소장 |
9 | 佐藤弘夫, 神國日本, ちくま新書, 2006. | 미소장 |
10 | 丁宗鐵, 茶の湯とキムチ, 講談社, 2010. | 미소장 |
11 | 稻盛和夫ㆍ梅原猛,『近代文明はなぜ限界なのか』, PHP연구소, 201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