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영미(2000).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2 아동의 자아존중감 관련변인의 인과모형 분석 소장
3 김미숙(2008). 한국의 아동빈곤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5, 5-22. 미소장
4 김미숙•조애저•배화옥•최현수•홍미•김효진(2007). 한국의 아동 빈곤 실태와 빈곤 아동 지원 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5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 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소장
6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elf-esteem 네이버 미소장
7 Adult-role burden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poverty 소장
8 변화순(1996). 이혼 가족을 위한 대책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미소장
9 보건복지가족부(2009). 아동 · 청소년 종합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미소장
10 양연순(1994).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성격특성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11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소장
12 오순환(1991).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개념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13 오원정(1999). 친구관계의 질 및 친구관계망과 아동의 자아지각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14 오은순(1997). 이혼 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s in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A comparison with two-parent families- 소장
16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 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이은해 • 신숙재 • 송영주(1992). 국민학교 3-6학년 아동을 위한 자아지각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생활과학논집, 6, 175-191. 미소장
18 The Effect of Long-term Poverty on Children`s Academic Attainment -Focusing on Attachment- 소장
19 Parental attitudes and fear of abandonment as stress buffering moderators on children of divorce 소장
20 정희정(2003). 한부모 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21 한준아(2008). 이혼 가족 아동의 자아지각 및 문제행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22 허남순•오정수•홍순혜•김혜란•박은미•정익중(2005). 빈곤 아동과 삶의 질. 서울: 학지사. 미소장
23 Children'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네이버 미소장
24 Amato, P. R., & Keith, B. (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Psychilogical Bulletin, 110, 126-146. 미소장
25 Baumrind, D. (1991). Effictive parenting during the early adolescent transition. In P. A. Cowan & E. M. Hetherington (Eds.), Family transitions. Hillsdale, NJ: Erlbaum. 미소장
26 Relations of Parenting and Negative Life Events to Cognitive Diatheses for Depression in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7 Cole, D. A. (1991). Preliminary support for a competency-based model of chil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9, 422-429. 미소장
28 Crosson-Tower, C. (2008). Exploring child welfare: A practice perspective.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미소장
29 Parent–Child Relations and Adolescent Self-Image Following Divorce: A 10 Year Study 네이버 미소장
30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미소장
31 Espring-Andersen, G. (2002).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U.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2 The Company They Keep: Relation of Adolescents' Adjustment and Behavior to Their Friends' Perceptions of Authoritative Parenting in the Social Network 네이버 미소장
33 Guidubaldi, J., Perry, J. D., & Nastasi, B. K. (1987). Growing up in a divorced family: Initial and long-term perspective on children’s adjustment. In S. Oskamp (ed.), Annual Review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7(pp.202-237). Beverly-Hills, Calif.: Sage Publications. 미소장
34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5 Harter, S. (1985). Manual for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University of Denver. 미소장
36 Harter, S. (1988). Causes, correlates, and the functional role of global self-worth: A life-span perspective. In J. Kolligian and R. Sternberg (Eds.),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incompetence across the life-span. (pp.87-116).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7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8 Hetherington, E. M., Cox, M., & Cox, R. (1982). Effects of divorce on parents and children. In M. Lamb (Ed.), Nontraditional families (pp. 233-288).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39 Hetherington, E. M., & Kelly, J. (2002). For better or for worse: Divorce reconsidered. NY: Norton. 미소장
40 Kurdek, L. A., & Fine, M. A. (1994). Family acceptance and family control as predictors of adjustment in young adolescents: Linear, curvilinear, or interactive effects? Child Development, 65, 1137-1146. 미소장
41 Patterns of Competence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42 Marital Disrupt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43 Peterson, T. K., & Fox, B. (2004). After-school program experience: A time and tool to reduce dropouts. In J. Smink and F. P. Larchmont (Eds.), Helping students graduate: A strategic approach to dropout prevention, (pp. 177-184). NY: Eye on Education. 미소장
44 Maternal Employment and Perceived Stress: Their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Young Divorced and Married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45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low-income urban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네이버 미소장
46 Rohner, R. P., Khaleque, A., & Cournoyer, D. (2005). Introduction to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ory, methods, evidence, and implication. In R. P. Rohner & A. Khaleque (4th Eds.), Handbook of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PP. 1-35). Storrs, CT; Rohner Research Publications. 미소장
47 Simons, R. L., Whitebeck, L. B., Melby, J. N., & Wu, C. (1994). Economic pressure and harsh parenting. In R. D. Cogner, & G. H. Elder (Eds.), Families in troubled times: Adapting to change in rural America(pp.207-222). NY: Aldine. 미소장
4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Types and Older Adolescents' Personality, Academic Achievement, Adjustment, and Substance Use 네이버 미소장
49 Werner, E. E., & Smith, R. S. (1992).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NY: Cornell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