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리움(Leeum) 삼성미술관의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 김정아 1
I. 들어가는 글 1
II. 이론적 배경 3
1. 종족성과 정체성 논의 3
2. 한국미에 대한 담론 6
III. 뮤지엄과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9
1. 리움의 소장의 역사와 뮤지엄 건축 9
2. 전시의 담론과 표상 16
IV. 나가는 글 23
참고문헌 25
국문초록 28
Abstract 29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오리엔탈 마이노리티 이그조틱 : 박모의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모색 | 우정아 | pp.69-95 |
|
보기 |
1970년대 한국 단색화 담론과 백색 미학 형성의 주체 고찰 | 구진경 | pp.39-68 |
|
보기 |
≪민중미술 : 한국의 새로운 문화 운동 Minjoong Art: A New Cultural Movement from Korea≫전을 통해 본 ‘한국성’의 변주 | 오경은 | pp.97-118 |
|
보기 |
조엘-피터 위트킨(Joel-Peter Witkin)의 ‘초상-정물사진’ 연구 : 신화와 상징 그리고 패러디 | 이재걸 | pp.243-267 |
|
보기 |
1969년 : 로버트 스밋슨의 거울 변위와 유체 작업 | 이임수 | pp.215-242 |
|
보기 |
Portraying Monks in Illuminated Service Books in the Fourteenth Century | 변경희 | pp.149-184 |
|
보기 |
리움(Leeum) 삼성미술관의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 김정아 | pp.119-148 |
|
보기 |
스펙터클, 일상생활, 그리고 포토콜라주 : 장용근의 《도시채집》시리즈를 중심으로 | 백승한 | pp.269-294 |
|
보기 |
플랫베드 화면으로서의 단색화 : 나키하라 유스케의 한국현대 미술론 | 카지야 켄지 | pp.7-38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