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리움(Leeum) 삼성미술관의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 김정아 1

I. 들어가는 글 1

II. 이론적 배경 3

1. 종족성과 정체성 논의 3

2. 한국미에 대한 담론 6

III. 뮤지엄과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9

1. 리움의 소장의 역사와 뮤지엄 건축 9

2. 전시의 담론과 표상 16

IV. 나가는 글 23

참고문헌 25

국문초록 28

Abstract 29

참고문헌 (5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유섭. 「조선 고대미술의 특징과 그 전승문제」. 韓國美術史及美術論考. 통문관, 1972, 3-13. 미소장
2 권영필 외.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12인의 미학자들을 통해 본 한국미론 100년.돌베개, 2005. 미소장
3 김원용. 한국미의 탐구. 열화당, 1996. 미소장
4 김홍남. 「세밀의 미, 한국미의 또 다른 아름다움」. 월간미술 (2016년 8월): 122-129. 미소장
5 도미니크 풀로. 박물관의 탄생. 김한길 역. 돌베개, 2014. 미소장
6 류지연. 「야나기 무네요시: 미의 탐구여정」. 야나기 무네요시. 전시도록, 144-54. 국립현대미술관, 2013. 미소장
7 리움. Leeum, Samsung Museum of Art. 전시도록. 리움, 2005. 미소장
8 리움. 금은보화: 한국전통공예의 미』. 전시도록. 리움, 2013. 미소장
9 리움. 세밀가귀(細密可貴): 한국미술의 품격 Exquisite and Precious: The Splendor of Korean Art. 전시도록. 리움, 2016. 미소장
10 바바라 밀러. 글로벌 시대의 문화인류학. 홍석준 외 역. 시그마플레스, 2013. 미소장
11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윤형숙 역. 나남, 2002. 미소장
12 피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최종철 역. 새물결, 2006. 미소장
13 피에르 부르디외. 언어와 상징권력. 김현경 역. 나남, 2014. 미소장
14 삼성미술문화재단 편. 문화의 향기 30년: 1965-1994. 삼성미술문화재단, 1995. 미소장
15 안드레 에카르트. 안드레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권영필 역. 열화당, 2003. 미소장
16 안소연. 「’로댕 갤러리’에서 ‘플라토’로: 시간과 공간 활용법의 진화」. 리움 10주년 기념앤솔로지, 279-288. 리움, 2014. 미소장
17 안지혜, 이동언. 「메를로-퐁티의 ‘살(flesh)'로 본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공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23, no. 3. (2007년 3월): 145-152. 미소장
18 안휘준, 이광표. 한국 미술의 미. 효형출판사, 2008. 미소장
19 야나기 무네요시. 조선과 그 예술. 이길진 역. 신구출판사, 1994. 미소장
20 야나기 무네요시.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 마음, 사람. 김순희 외 역. 컬쳐북스, 2014. 미소장
21 이건섭. 「리움, 디테일과 건축적 단면들」. 리움 10주년 기념 앤솔러지. 리움, 2014, 157-91. 미소장
22 이병철. 호암자전(湖巖自傳. 중앙일보사, 1986. 미소장
23 이상영, 조한. 「‘차이의 철학’과 ‘1950-70년대 아방가르드 건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30, no. 4 (2014년 3월): 113-124. 미소장
24 이인범. 조선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시공사, 1999. 미소장
25 이종선. 리 컬렉션. 김영사, 2016. 미소장
26 이충렬. 간송 전형필: 한국의 미를 지킨 대수장가 간송의 삶과 우리 문화재 수집이야기 . 김영사, 2010. 미소장
27 이충렬. 혜곡 최순우: 한국민의 순례자. 김영사, 2012. 미소장
28 전진성. 박물관의 탄생. 살림, 2004. 미소장
29 조요한. 한국미의 조명. 열화당, 1999. 미소장
30 조인수. 「호암미술관에서 삼성미술관 Leeum으로: 역사적 전환」. 리움 10주년 기념 앤솔러지, 137-155. 리움, 2014. 미소장
31 최순우. 최순우 전집 4. 학고재, 1992. 미소장
32 최순우. 최순우 전집 5. 학고재, 1992. 미소장
33 캐롤 던컨, 앨런 왈락. 「후기 자본주의 제의로서의 현대미술관: 도상학적 분석」. 조수진역. 전시의 담론: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윤난지 편, 197-217. 눈빛,1988. 미소장
34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 책세상문고, 2000. 미소장
35 한국문화인류학회 편.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2003. 미소장
36 한국문화인류학회 편.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일조각, 2006. 미소장
37 한상복 외. 문화인류학 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미소장
38 호림박물관. 호림, 문화재의 숲을 거닐다. 눌와, 2012. 미소장
39 호암갤러리. 대고려국보전: 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 1. 호암미술관, 1995. 미소장
40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y: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Verso, 1991. 미소장
41 Banks, Marcus. Ethnicity: Anthropological Construction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6. 미소장
42 Barth, Frederik, ed. Ethnic Groups and Boundaries: The Social Organization of Culture Difference.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1969. 미소장
43 Bourdieu, Pierre.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trans. Richard N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미소장
44 Bourdieu, Pierre. The Logic of Practice, trans. Richard Nic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미소장
45 Cohen, Abner. Custom and Politics in Urban Africa: A Study of Hausa Migrants in Yoruba Towns. London: Tavistock Publications, 1969. 미소장
46 Duncan, Carol and Alan Wallach. “The Museum of Modern Art as Late Capitalist Ritual: An Iconographic Analysis.” Marxist Perspectives (Winter 1978): 28-51. 미소장
47 Epstein, A. L. Ethos and Identity: Three Studies in Ethnicity. London: Tavistock, 1978. 미소장
48 Erkisen, Thomas Hylland. Ethnicity and Nationalism: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London: Pluto Press, 1993. 미소장
49 Geertz, Clifford, ed. Old Societies in New States: The Quest for Modernity in Asia and Africa. London: The Free Press, 1963. 미소장
50 Glazer, Nathan and D. P. Moyniham, eds. Ethnicity: Theory and Exper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미소장
51 Phaidon, ed. The Phaidon Atlas of 21st Century World Architecture. London: Phaidon Press, 2008. 미소장
52 Ethnicity as Practice? A Comment on Bentley 네이버 미소장
53 http://leeum.samsungfoundation.org/html/global/main.asp (2016년 5월 24일 검색) 미소장
54 http://leeum.samsungfoundation.org/html/collection/traditional.asp#self (2016년 7월 30일 검색)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