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상의 삶 = Everyday Life and Happiness : 행복과 불행 강영안 pp.41-68

불행을 극복하는 '삶의 예술의 철학'과 개인법칙 = Individual Laws and Philosophy of the Art of Life to Overcome Misfortune : Georg Simmel's Philosophy of Life as the Central Pivot : 짐멜의 생철학을 중심으로 홍경자 pp.69-98

고통에 관한 내재주의와 외재주의에 관한 고찰 = On the Contrast Between Externalism and Internalism about the Nature of Pain 오은영 pp.99-130

苦樂의 感受 작용에 대한 불교적 이해 =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Feeling of Pleasure and Pain : Focused on Saṁyuktāgama-sūtra : 『雜阿含經』을 중심으로 양정연 pp.157-177

불안과 철학상담 = Anxiety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 Overcoming Misfortune through Healing-for-Happiness Studies : 불행을 넘어서는 '치유의 행복학'의 관점에서 박병준 pp.9-39

맹자와 묵자에 있어서의 私欲의 조정 혹은 극복의 문제 = Mencius and Mozi on the Coordination or the Conquest of Selfish Desires : Cultivation or Calculation : '수양'과 '지성의 운용' 정재현 pp.131-155

부탄의 국민행복 개념과 불행의 불교적 해법 모색 = A Study on Bhutan National Happiness Concept and Buddhist Exploring Solutions to Unhappiness : GNH-Psychological Well-Being in Relation with Buddhist Philosophical Structure : 국민총행복(GNH)의 심리적 웰빙과 불교철학적 구조 김진영 pp.179-207

행복과 가치 = Happiness and Value 윤보석 pp.211-234
악의 문제와 플란팅가의 자유의지 변신론 = The Problem of Evil and Plantinga's Free Will Defence 임일환 pp.237-263
청소년 치유인문학 사례기반 교재 탐색 = A Quest for Case-based Textbooks for Humanistic Youth Healing : Focusing on the Existenc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실존현상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진오 pp.265-316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 Feminism as a Radical Philosophy : For Politics Beyond Logos : 탈로고스의 정치학을 위하여 윤지영 pp.317-355
사랑에 관하여 = On Love : Focused o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Loneliness and the Myth of Eros and Pygmalion : 외로움, 에로스, 피그말리온 신화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오흥명 pp.357-395
退溪의 明代 儒學 비평과 退溪學의 실천지향적 성격 = T'oegye Yi Hwang's Criticism of Neo-confucianism in Ming Dynasty and Practice-oriented Yi Hwang's Philosophy 강경현 pp.397-429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Praktische Philosophie 소장
2 강순전/이진오, 『생각하고 토론하는 철학수업』, 학이시습, 2011. 미소장
3 강순전/이진오, 『철학, 윤리, 논술 교육을 위한 철학수업』 학이시습, 2011. 미소장
4 고등학교 철학 교재의 분석 및 평가 네이버 미소장
5 게리 콕스, 『실존주의자로 사는 법』, 지여울 옮김, 황소걸음, 2012. 미소장
6 서동은, 「인성 교육, 철학으로 풀어 볼 수 없을까? - 자존감 회복을 위한 중학생 철학 수업」, 『우리교육』, 우리교육편집부, 2012, 168~177 미소장
7 신인철 外, 『고등학교 철학』, 대한교과서주시회사, 1996. 미소장
8 철학 교재 분석 네이버 미소장
9 청소년 대상 철학교육과 상담 사례 소장
10 Zusammenfassung -Theorie und Fälle der existenzphänomenologischen Pilosophischen Praxis- 소장
11 이진오 외, 『삐뚤빼뚤 생각해도 괜찮아 - 고민하는 청소년철학상담소』, 희망철학연구소 편찬, 동녘, 2013. 미소장
12 이진오 외, 『쓸모없어도 괜찮아』, 희망철학연구소 편찬, 동녘, 2015. 미소장
13 정해창/곽신환, 『고등학교 철학』, 대한교과서주시회사, 1996. 미소장
14 고교 『철학』교재의 비판적 분석과 개선 방향 제시 네이버 미소장
15 홍윤기 외, 『중학교 창의지성 - 더불어 나누는 철학』, 경기도교육청, (주)중앙교육, 2013. 미소장
16 홍윤기 외, 『창의지성-고등학교 철학』, 경기도교육청, (주)중앙교육, 2014. 미소장
17 Birnbacher, D., “Philosophieren als Praxis: Eine Einschätzungdes Schulversuchs Praktische Philosophie aus fachphilosophischer Sicht”, Praktische Philosophie in Nordrhein-Westfalen. Erfahrungen mit einem neuen Schulfach. Abschlussbericht der Wissenschaftlichen Begleitung, Hrsg. Ministerium für Schule, Jugend und Kinder des Landes Nordrhein-Westfalen. Köln, 2002. 미소장
18 Bollnow, O. F., 『실존철학과 교육학』, 윤재홍 옮김, 학지사, 2008. 미소장
19 Feist, J.,/Feist G., Theory of Personnality, Boston, 2006. 미소장
20 Dialectical Reason and Education: Sartre's Fused Group 네이버 미소장
21 Heidegger, M., Sein und Zeit, Tübingen, 1927. 미소장
22 Henke, R., “Das Streitgespräch”, Perspektiven der Praktischen Philosophie, Methoden und Medien, Hrsg. R. Henke, Handreichung für die Zertifikatkurse Praktische Philosophie in der Bezirksregierung, Berlin, 2006. 미소장
23 Jaspers, K., Philosophische Weltanschaunngen, 6. Aufl. München, 1971. 미소장
24 Jaspers, K., Was ist Erziehung? Ein Lesebuch, Hrsg. H. Horn, München, 1992. 미소장
25 Kant, I., Grundlegegund zur Metaphysil der Sitten, Hamburg, 1965. 미소장
26 Kant, I., Kritik der reinen Vernunft, Hamburg, 1990. 미소장
27 Kessels, J./Boers E./Mostert P., Free space: Field guide to conversations, Amsterdam, 2008. 미소장
28 Philosophy of hope: concepts and applications for working with marginalized youth 네이버 미소장
29 Kneller, G. F., ed.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1971. 미소장
30 Leonard, N., Gesammelte Schriften, Hrsg. P. Bernays u. a., Bd. I, III, VIII, Hamburg, 1970~1977. 미소장
31 Mash, E. J./Barkley, R. A., 『아동정신병리』, 이현진 외 옮김, 시그마프레스, 2001. 미소장
32 Matthews, G. B., The Philosophy of Childhood, Cambridge, 1994. 미소장
33 Morris, V. C., Existentialism in Education, New York, 1966. 미소장
34 Moustakas, C. E., Phenomenological reasearch methods, London, 1994. 미소장
35 Neill, A. S., 『문제의 아동』, 김은산/한희경 옮김, 양서원, 1991. 미소장
36 Peter J. A., Philosophy as Therapy, New York, 1992. 미소장
37 Shipley P./Mason H., ed. Ethics and Socratic Dialogue in Civil Society, Münster, 2004. 미소장
38 Staude D., Hrsg. Lebendiges Philsophieren - Philsophische Praxis im Alltag, Bielefeld, 2005. 미소장
39 Zais R. S., Curriculum: Principles and Foundations, New York, 197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