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대원 (편) (1959). 세계신문소사. 서울: 서울신문학원. | 미소장 |
2 | 김근수 (1992). 한국잡지사연구. 서울: 한국학연구소. | 미소장 |
3 | 美國新聞界의 現況 | 소장 |
4 | 新民族主義史學論 ![]() |
미소장 |
5 | Appea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rly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 소장 |
6 | 김영희 (2013). 일제강점기 한국 언론사연구와 안재홍의 “조선신문소사”. 한국언론정보학보, 64, 85-108. | 미소장 |
7 | The Concept Analysis Related to Journalism of the Editorials in The Independent(The Doklip Shinmoon):A Case Study of the Corpus Utilization | 소장 |
8 | 학문적 초심을 노년까지 그대로 지키는 귀감 ![]() |
미소장 |
9 | 달지차배근교수정년기념문집간행위원회 (편) (2007). 達支차배근교수정년기념문집 S-M-C-RE . 파주: 나남, | 미소장 |
10 | Korean Studies and National History during 1930s: Exploring An Chae-Hong's narrative | 소장 |
11 | 미국공보원 (1948). 미국신문론. 신문평론, 4, 42-45. | 미소장 |
12 | 美國新聞의 이모저모 | 소장 |
13 | 박정규 (1978). 조보의 기원에 대한 연구. 신문연구소학보, 15, 115-134. | 미소장 |
14 | 박정규 (1982). 조선왕조시대의 전근대적 신문에 관한 연구: 朝報와 그 유사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안재홍 (1927, 1, 5~9). 조선신문사론. 조선일보. | 미소장 |
16 | 안재홍 (1935, 7, 6~26). 조선신문소사.〈조선일보〉.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1992).〈쩌날리즘․新聞評論〉 영인본 1~5호(1947~1948)에 재수록. 한국언론전문지총서 2. | 미소장 |
17 | 연세춘추동인회 (편) (1995). 연세춘추 60년: 1935~1995. 서울: 연세춘추동인회. | 미소장 |
18 | 유길준 (1895). 서유견문(西遊見聞). 허경진 (역) (1995). 서울: 한양출판. | 미소장 |
19 | 이상철 (1982). 커뮤니케이션발달사. 서울: 일지사. | 미소장 |
20 | 미국 언론에 대한 본격 교과서 : 「미국신문발달사」, 차배근 저 <서평> | 소장 |
21 | 이진한 (2011). 손진태의 삶과 신민족주의 사학의 전개.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편), 납북민족지성의 삶과 정신 (173-207쪽). 서울: 선인. | 미소장 |
22 | 이해창 (1971). 한국신문사 연구. 서울: 성문각. | 미소장 |
23 | 임근수 (1967). 신문발달사. 서울: 정음사. | 미소장 |
24 | 동양에 있어서의 근대신문의 생성 과정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소장 |
25 | 임근수 (1973). 20세기 초반의 동양에 있어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 중, 일을 중심으로. 신문연구소학보, 10, 3-51. | 미소장 |
26 | 임근수 (1974). 20세기 초반의 동양에 있어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승전): 한, 중, 일을 중심으로. 신문연구소학보, 11호. 3-50. | 미소장 |
27 | 韓國 커뮤니케이션史 硏究의 方法에 關한 考察 | 소장 |
28 | 장봉조 (1928). 中國新聞史 개관. 현대평론, 2(1). 국학자료원 (1993). 영인판, 43-55. | 미소장 |
29 | 정진석 (1990). 한국언론사. 서울: 나남. | 미소장 |
30 | 차배근 (1976). 커뮤니케이션학 개론. 서울: 세영사. | 미소장 |
31 | 차배근 (1979).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 미소장 |
32 | 우리나라 新聞放送學 敎育實態에 관한 基礎調査 硏究 | 소장 |
33 | 차배근 (1988). 커뮤니케이션학 개론: 상. 서울: 세영사. | 미소장 |
34 | 차배근 (1989). 한국 언론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언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토론회 주제논문집 언론학 교육의 성찰 (3-62쪽). 서울: 한국언론학회. | 미소장 |
35 | 차배근 (1990). 사회과학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 미소장 |
36 | 韓國言論學敎育의 問題點과 課題 : 學部 敎科課程을 中心으로 | 소장 |
37 | 차배근, 차경욱 (2013). 사회과학 연구방법: 실증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38 | 천관우 (1963). 한국 新聞前史의 몇 가지 문제. 고재욱선생화갑기념논총편찬위원회 (편), 민족과 자유와 언론 (411-444쪽). 서울: 일조각. | 미소장 |
39 | 최남선 (1935). 古事千字.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위원회 (편) (1973). 육당최남선전집 4 (79-129쪽). 서울: 현암사. | 미소장 |
40 | 최상철 (1996). 중국조선족언론사. 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1 | 한국언론학회 (2001). 언론학 교과목 현황 자료집. 서울: 한국언론학회. | 미소장 |
42 | 홍동호 (편) (1956). 신문론: 신문, 사회, 기자. 서울: 정양사. | 미소장 |
43 | Mott, F. L. (1962). American Journalism: a history, 1690-1960. New York, NY: Macmilla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