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어느 정도의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북, 경남, 울산의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14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소진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매개 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효과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교사가 자신의 느낌과 의미를 상대방과 교환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 뛰어나다면, 이로 인해 업무에 대한 주관적인 자신감이라 할 수 있는 교사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렇게 높아진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데에 일정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교사가 교직생활에서 소진을 겪으며 생기는 역기능적인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다방면의 노력과 활동이 요구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한·미간 이용자 인식 유형의 비교문화 연구 =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Perception Types of Korean and American Users of Smartphone 오세정 pp.1-21

대학생의 힐링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봉사관련변인 및 봉사지속의지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s of the Volunteer Service the related Variables and sustained Commitment to the College of healing Volunteering : Focused on Gyeonggi Province around the Volunteer Center 이애련 pp.35-54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의 인권의식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on the Human Right Awarenes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Disabled Welfare Facilities 임효순 pp.55-69

병원 전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킨 소방 구급대원에 대한 질적 연구 = The Qualitative Research About Fire-fighting Paramedics Who Resuscitated the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 이정혁, 김보균, 박상규 pp.71-82

간호사의 의료과오 경험과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Nurses' Experience and Image of Medical Malpractice 주은경, 유은광 pp.83-93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주관성 연구 = Subjectivity Research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Q Methodological Approach : Q-방법론적 접근 문길제, 김분한 pp.109-120

골프장 캐디의 고객무례성, 정서성, 감정노동의 인과관계 = Causal Relationship among Customer Incivility, Affectivity, Emotional Labor of Caddy 이석동, 전태준 pp.121-132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음악교과 협동학습 지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of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Subject by Social Interaction 서대환, 이미선 pp.133-143

에어로빅 운동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여가몰입 및 생활만족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Experience, Leisure Flow and Life satisfaction of Aerobics participants 조남흥 pp.145-157

대학생들의 여가제약과 스트레스 대처 및 삶의 질의 관계 = Relations among Leisure Limitation, Cop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송원익, 황재욱, 오응수 pp.159-167

학교 체육지도자들의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 =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Perception of New Sports in School 오응수 pp.169-181

여대생들의 댄스활동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 Efficacy of the Dance Program in University Women Students' 조은영, 윤인애, 홍미화 pp.183-193

아동·청소년의 체육교과 태도와 신체활동 수준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Attitude of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박형란 pp.195-209

중도 시각장애 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College Life of Student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조현근 pp.209-226

음악중재효과 평가를 위한 통계적 표본크기 결정 방법 고찰-비교임상시험 사례 중심 = On Considerations of Statistical Sample Size Determinations in Assessing Music Therapy Effect through Comparative Clinical Trials 최수빈, 이형환, 박상규 pp.227-238

구장명칭권(Stadium Naming Rights)에 대한 프로야구단 프론트의 인식 및 활용방안 = The Authorities Perceptions and Application Plans on Stadium Naming Rights of Professional Baseball 김상유, 박상일, 김태윤 pp.95-108

건강증진 행위와 심신 안녕과의 관계에서 에너지 항상성과 마음 항상성의 매개효과 = Mediated Effect of the Energy and Mind Homeostasis on Relations with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ind and Body Well-being 성낙봉, 정광조 pp.23-34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수면의 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Nursing Students 황은희, 김건희, 신수진 pp.239-248

학령기 아동의 웰니스(Wellness) 하위요인 및 발달궤적에 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Wellness's sub-factors and trajectory of School-aged Children : focusing on Parent-related and individual factors : 부모 및 개인 변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장유진, 권윤정 pp.249-263

상담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Factors Associated with Counseling Service Use 양소남, 김재인, 박소연 pp.265-275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Burnout 박은아, 김은하 pp.277-285

성인 남녀의 체중조절의도와 체중변화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Intention and It's Results on Perceived Subjective Health 우상연, 심윤식 pp.287-296

흡연량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mount and Mental Health 권혜진, 김윤정, 김현수 pp.297-305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변화 탐색 = A Exploratory Study on the Change of 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Collaboration of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의 협력태도를 중심으로 배성현, 이병인 pp.307-326

청소년의 신체적 유능감,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모형 =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mong Physical Competence,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정수빈, 김지태, 김은성 pp.327-343

테니스 선수들이 인지하는 변혁적 리더십, 자기관리,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 Relation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management, and Coping Stress Perceived in High School Tennis Players 노갑택 pp.345-353

국내 청소년들에게 인식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식행동과의 연관성 =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Their Eating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Yeonsoo Kim, Soo Jin Yang, Minsoo Kim, Yunsook Lim pp.385-396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Development of a PE Program for Children : 운동발달 이론에 기초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개발 최재섭, 지정현 pp.355-368

태권도 실업 팀 지도자의 대응가치 리더십이 선수의 지도자 신뢰 및 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mpeting Values Leadership on Leader Trust and Performance Strategy of Semi-pro Taekwondo Players 김재학, 왕철민, 김학덕 pp.369-384

노인생애체험학습이 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nior Simulation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Older Adults 함은미 pp.397-405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비만 여중생들의 신체조성, 체력 및 혈압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Regular Walk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essure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Obesity 성기동, 손원목, 하민성, 곽이섭 pp.407-416

16주간의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β-Amyloid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16-Weeks Combined Exercise on the β-Amyloid and BDNF among the Elderly Women 박찬호, 천지언 pp.417-427

남녀 일반 고등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체격 및 체질량지수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que and Body Mass Index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오세복, 홍예주 pp.429-435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피드백이 초등학생의 태권도옆차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que and Body Mass Index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정순일, 이한우 pp.437-449

유도 맞잡기 형태에 따른 업어치기 시 역학적 변인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Biomechanical Variables between Morote-Seoinage According to the Kumi-kata Type in Judo 최민호 pp.451-458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KAERS)을 활용한 예방접종 이상반응 분석 = Analysis of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zation(AEFI) Using The 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KAERS) 차혜경 pp.459-470

아동·청소년의 활동량계 사용에 대한 선호도 조사 연구 = Study on Preference of Activity Tracker of Child and Adolescent 정아름, 송세종, 임선영, 이진희, 최윤희, 윤건호 pp.471-483

12주간의 파워워킹운동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 및 혈관 탄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wer Walking on Blood Pressure and Arterial Compliance in Essential Hypertension Patients 강익원 pp.485-493

자전거 운동 시 종아리 기능성 의류 착용이 최대 무산소성 파워와 근통증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lf's Compression Garments on Maximal Anaerobic Power, Muscle Pain, and Recovery during and post Cycling 신윤아, 최남영 pp.495-504

여성 무용수의 섭식태도와 체질량지수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Attitude and Body Mass Index in Female Dancer 김선민, 조정호 pp.505-512

트레드밀 달리기운동이 비만남자대학생들의 혈중지질 및 섭식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the Blood Lipids and Eating-Related Hormone in the Obese Male College Students 이채산, 이경희 pp.513-526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대비한 500m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분석과 전망 = Preparation fo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500m sprint Speed Skating Match Analysis and Forecasts 전용균, 최재일, 이규혁, 제갈성렬 pp.527-535

크로스핏 운동의 효과와 위험성 = Benefit and risk of CrossFit exercise 홍상민 pp.537-545

성별차이에 따른 스피드 스케이트 최대하 운동시 심박수 반응 비교 =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in Heart Rate Response during Submaximal Exercise in Speed Skating 김기현, 서민근, 정지영, 차광석, 소위영 pp.547-555

테니스 서브 유형에 따른 상지분절의 운동학적 분석 = Biomechanical Analysis of Upper Extrem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Tennis Serve 김진혁, 김호묵, 심윤식, 우상연 pp.557-567

썰매 종목 선수들을 위한 중력가속운동의 필요성과 진동기반 시뮬레이터 소개 = The Needs of Acceleration Training for Sliding sports Athletes and Introducing of Vibration Based Simulator 이운용, 홍상민 pp.569-577

트레이닝 세트방법의 차이와 디트레이닝이 신체조성, GH, IGF-1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fference of Training Set Method and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GH, IGF-1 조중연, 이경모 pp.579-592

스포츠 테이핑 적용이 하지의 각근력과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fference of Sports Taping Application on Lower Limb Leg Strength and Muscle Fatigue 양기석 pp.593-602

10km 지구력 승마경기에 의한 남성 기승자의 염증지표, 아디포카인, 호르몬 및 혈중지질 농도의 변화 = The effects of 10km Horseback riding competition on inflammatory factors, adipokines, hormones and lipid profile concentration in men 정명진, 장석암 pp.603-610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자(1996).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 강명선(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 권이경(2004). 상담종결경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 김성실(2015).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학업소진,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 초등 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의 관계 :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6 김사녀(2012).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수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7 김선은(2011).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적문제해결방식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8 김아영, 김미진(2004).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8(1), 37-58. 미소장
9 김영진(2010).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소진의 역할 - 항공사 직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0 김정기(2012).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동기, 주목도, 만족감, 교육효과의 관계. Speech &Communication, 18, 202-234. 미소장
11 김정은(2011).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2 김혜경(201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교사의 소전에 미치는 영향: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대학원. 미소장
13 김효진(2014). 중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정도에 따른소진 예방프로그램 요구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4 류덕엽(2014).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대학원. 미소장
15 백보경(2013). 직장인의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소장
16 서선순(2007).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7 서성덕(2008).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 수준에 따른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8 서지영(2011).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송주영(2012). 초심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 : 희망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0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ounselors` Burnout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21 이은영(2012). 장애 유아 통합환경에서 일반교사와특수교사 간의 협력, 의사소통기술 그리고직무 스트레스.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교육대학원. 미소장
22 이은주(2005). 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3 이은혜(2014).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4 이정현(2006).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 지각 및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5 이황은(2009). 또래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6 이현정(1998).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7 임종철(1989). 교사배경 및 학교생활 변인과 교사소진경험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8 임종철(1999). 교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 교육월보, 113, 40-43. 미소장
29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Teachers' Burnout 소장
30 최인선(201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1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네이버 미소장
3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네이버 미소장
33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미소장
34 Bienvenu, M. J., & McClain, S.(1971).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s, 62, 344-345. 미소장
35 Cherniss, C.(1980).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ew York:Praeger. 미소장
36 The Development of Burnout Among Special Educators 네이버 미소장
37 Maslach, C., & Jackon, S. E.(1981). The measurement of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