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영화적 미장 아빔은 한 편의 영화에 기존의 영화 텍스트와 타 장르의 텍스트가 배치되어 영화적 의미 작용과 미학적 장치로 활용된다. 함축(含蓄)은 ‘표현의 의미를 한 가지로 나타내지 아니하고 문맥을 통하여 여러 가지 뜻을 암시하거나 내포’한다. 함축은 언어로 표현해 내지 못하는 곡진한 뜻과 감정으로 이루어진 심연이다. 시품의 함축과 영화적 요소가 배치된 영화적 미장아빔으로 영화텍스트의 해석 가능성을 시도해본다.
장률의 <당시>는 삽입된 당시의 등장으로 시와 영화와 장르가 영화적 미장아 빔으로 배치된다. 또한 여자는 양강의 기운이 강하고 남자는 유약의 기운이 강하여 음양의 역할이 전도되었다. 하나의 시퀀스가 끝날 때 마다 당시 한수가 등장하여 장면과 연관성을 갖거나 인물과 서사의 의경 몽타쥬를 이루어낸다. 인물은 근원적 내면의 거처를 잃은 정신적 이산자들이다. 이 모든 징후는 상실체험으로 수렴된다. 이는 장률의 텍스트에서 디아스포라라는 강으로 가는 근원 서사의 발원지를 <당시>에서 만날 수 있다.
Cinematic mise-en-abyme is applied as a cinematic signification and an aesthetic device by making the existing cinematic text and the text of other genre combined in a film. Implication indicates ‘suggesting or connoting various meanings through contexts without delivering the meaning of an expression in one way.’ Implication is an abyss which consists of earnest and delicate meanings and emotions. The implications of poetry and cinematic mise-en-abyme were adopted in this paper to try the possibilities of construability of cinematic text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내영, 중국 영화의 오늘, 산지니, 2015. | 미소장 |
2 | 강효백, 협객의 나라 중국, 한길사, 2002. | 미소장 |
3 | 도연명 지음, 이치수 역주, 도연명 전집, 문학과 지성사, 2013. | 미소장 |
4 | 사마천, 김원중 옮김, 사기열전, 민음사, 2016. | 미소장 |
5 | 송희복, 무협의 시대, 1966-1977, 경성대 출판부, 2008. | 미소장 |
6 | 안동림 역주, 장자, 현암사, 1997. | 미소장 |
7 | 안대회, 궁극의 시학, 스물 네 개의 시적 풍경, 문학동네, 2013. | 미소장 |
8 | 위앤커, 전인초⋅김선자 옮김, 중국 신화전설 2, 민음사, 2012, | 미소장 |
9 | 장파 지음, 유중하 외 옮김,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 미소장 |
10 | 전지영, 조선시대 악론 선집, 민속원, 2008, | 미소장 |
11 | 정범진 외, 사기본기, 까치, 2008. | 미소장 |
12 | Floating Life, Watching Camera: Diaspora in Zhang Lu`s Films | 소장 |
13 | Director Lu Zhang and Trans-Local Cinema | 소장 |
14 | 문관규, 「동아시아 영화작가의 디아스포라적 경향과 트랜스로컬 시네마의 가능성」, 민족미학 제 12권 2호, 민족미학연구소. | 미소장 |
15 | A Study on cinematic mise-en-abyme reflected in Korean independent film | 소장 |
16 | 『책상 서랍 속의 동화』와 중국 영화산업의 시장화, 그리고 장이머우(張藝謀) 정치 신분의 변화 | 소장 |
17 | 韓國詩話批評과 司空圖의 『詩品』 | 소장 |
18 | 임창순, 당시정해, 소나무, 1999. | 미소장 |
19 | 장률 감독 영화에서의 경계, 마이너리티, 그리고 여성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