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가 지닌 이념성향의 다차원적 특성과 그 정치적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이념성향이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시행함으로써 다차원적 이념경쟁의 특징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여섯 번의 설문을 통해 조사된 정책선호에 대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이념성향의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은 진보/보수로 구분된 일차원적 경쟁공간에 수렴하기보다는 대북정책을 포함한 정치, 사회 영역의 정책에 대한 선호를 중심으로 한 이념성향과 경제영역의 정책에 대한 선호를 중심으로 한 이념성향이 구분되는 다차원성을 지닌다. 또한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지닌 이념성향은 전자만이 해당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의 이념갈등은 진보/보수의 일차원적 대립보다는 각 정책영역별 이해관계의 대립을 세분화함으로써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 정치의 이념적 특성 : 국회의원과 국민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2 |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보수의 경계 | 소장 |
3 | 강원택. 2010.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이념, 이슈, 켐페인과 투표참여 나남. | 미소장 |
4 | A Research on Seongsu Kim and Korean Democratic Party: Focusing upon the Origin and Continuity of Contemporary Korean Conservatism | 소장 |
5 | Theoretical Consideration; Progress & Conservation, Leftist & Rightist | 소장 |
6 | 한국 보수주의의 이념적 특징 : 근대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소장 |
7 | 김병조. 2015. “한국인의 통일인식 2007~2015: 세대별 격차와 세대내 분화.” 통일과 평화 제7권2호, 3-41. | 미소장 |
8 |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Conflicts in South Korea | 소장 |
9 | 한국 보수주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 소장 |
10 | A Study of Influence of Ideological Voting : Scope, Measurement and Meaning of Ideology ![]() |
미소장 |
11 |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 소장 |
12 | Are Voters Rational or Rationalizing? | 소장 |
13 | Citizen Groups' Perceptions and Ideological Orientations on South-North Korean Relations | 소장 |
14 | South Koreans’ Ideological Disposition: Its Feature and Change | 소장 |
15 | Vote choice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 소장 |
16 | 한국의 정치적 대표 : 유권자-국회의원의 이념적 대표를 중심으로 | 소장 |
17 | 한국사회에서 좌파 개념의 설정 | 소장 |
18 |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 소장 |
19 | The Effect of Policy Commitments on Turnout Rates at 2014 Korean Local Elections: Focusing on the Electoral Districts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 소장 |
20 | Regional Variations on Voters' Perception over the Policy Difference between Candidates in the 2014 Korean Local Election | 소장 |
21 | Abramson, P. R., J. H. Aldrich, and D. W. Rohde. 1982.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1980 Election. Washington, D.C: 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 미소장 |
22 | Converse, Philip E. 1964. “The Nature of Belief System in Mass Publics,” In Ideology and Discontent, edited by David E. Apter, 206-261. London: Free Press of Glencoe. | 미소장 |
23 | Analysing Roll Calls of the European Parliament ![]() |
미소장 |
24 | Dimensions of Politics in the European Parliament ![]() |
미소장 |
25 | Values and partisanship in left-right orientations: measuring ideology ![]() |
미소장 |
26 | How Are Foreign Policy Attitudes Structured? A Hierarchical Model ![]() |
미소장 |
27 | Ideology and Voter Choice in Korea : An Empirical Test of the Viability of Three Ideological Voting Models | 소장 |
28 |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s ![]() |
미소장 |
29 | The Cartel Party Thesis: A Restatement ![]() |
미소장 |
30 | Kline, Paul. An Easy Guide To Factor Analysis. Routledge. | 미소장 |
31 | Testing the Left-Right Continuum on a Sample of German Voters ![]() |
미소장 |
32 | Ideology in the 1980 Election: Ideological Sophistication Does Matter ![]() |
미소장 |
33 | A Partisan Schema for Political Information Processing ![]() |
미소장 |
34 | A Majority Party in Disarray: Policy Polarization in the 1972 Election ![]() |
미소장 |
35 | Nie, N. H., S. Verba, and J. R. Patrocik. 1976. The Changing American Vot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Poole, Keith T., and Howard Rosenthal. 2007. Ideology and Congress. Transaction Publishers. | 미소장 |
37 | Sani, Giacomo and Giovanni Sartori. 1983. “Polarization, Fragmentation and Competition in Western Democracies,” In Western European Party Systems, edited by Hans Daalder and Peter Mair, 307-340. London: Sage. | 미소장 |
38 | Spatial Models of Party Competition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