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조계종 전통의 창조와 혼종적 근대성 = The Invention of the Chogye Order Tradition and its Hybrid Modernization : With the Comparative Perspectives of the Buddhist Modernity of the West : 서구 근대불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송현주 1
I. 머리말 1
II. '근대불교(modern Buddhism)'의 보편성과 특수성 4
III. '세계종교'로서 불교: 한국 근대불교 형성의 유리한 조건 9
IV. '조선불교조계종'의 성립: 한국불교 전통으로의 회귀 14
V. 선종의 정체성과 보편적 근대성의 관련성 18
VI. 근대와 전근대·탈근대의 혼종성(hybridity)으로서 조계종 23
[저자소개] 28
참고문헌 29
국문초록 33
Abstract 34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일제말기 근대비판 담론의 시간성 연구 : 세계사·전통·비상시 | 소장 |
2 | 廣田鍾郁 외, 1996, <조선불교조계종총본사태고사법〉, 《한국근현대불교자료전집》 제67권, 민족사. | 미소장 |
3 | 雷虛 김동화의 불교학 觀 | 소장 |
4 | 길희성, 2000, 〈한국불교정체성의 탐구: 조계종의 역사와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종교연구》 제2집. | 미소장 |
5 | 한국불교 특성론과 한국불교 연구의 방향 | 소장 |
6 | 김광식, 1996, 〈일제하 불교계의 총본산 건설운동과 조계종〉, 《한국근대불교사연구》, 민족사. | 미소장 |
7 | 김광식, 1998, 〈8·15 해방과 불교계의 동향〉,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 | 미소장 |
8 | 김광식, 2002, 〈조선불교조계종의 성립과 역사적 의의〉, 《새불교운동의 전개: 성찰로 본 20세기 우리 불교》, 도피안사. | 미소장 |
9 | 김순석, 2006, 〈근대 불교 종단의 성립과정〉,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편, 《불교근대화의 전개와 성격》, 조계종출판사. | 미소장 |
10 | 김상영, 2006, 〈불교계의 종명(宗名)변화와 종조(宗祖)·법통(法統) 인식〉,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편, 《불교 근대화의 전개와 성격》, 조계종출판사. | 미소장 |
11 | 김영태, 1988, 〈근대불교의 종통 종맥〉, 《근대한국불교사론》, 민족사. | 미소장 |
12 |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and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 |
미소장 |
13 |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 소장 |
14 | 동아시아 근대 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 소장 |
15 | 김용태, 2013, 〈조계종 종통의 역사적 이해- 근현대 종명, 종조, 종지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선학》 제35집. | 미소장 |
16 | 종단설립운동과 조계종의 근대적 의미 | 소장 |
17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편, 2005, 《曹溪宗史: 근현대편》, 조계종 출판사. | 미소장 |
18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편, 2009, 《조계종 총림의 역사와 문화》, 조계종출판사. | 미소장 |
19 | Purification Buddhist Movement, 1954-1962: Interconnecting Ecumenism and Sectarianism ![]() |
미소장 |
20 | 박해당, 2000, 〈조계종 법통설의 형성과정과 문제점〉, 《불교평론》 통권 3호. | 미소장 |
21 | 불교사학회 편, 1986, 《한국조계종의 성립사적 연구: 조계종 법통문제를 중심으로》, 민족사. | 미소장 |
22 | Two Types of the Modern Discourses of the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f Korea: ‘Trans-sectarian United Buddhism’ and ‘Sŏn-sectarian United Buddhism’ | 소장 |
23 | The Emergence of the Modern Buddhist Bi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 of Yongun Han: Comparison with the Holy Texts of Buddhism, Buddhist Catechism, and The Gospel of Buddha ![]() |
미소장 |
24 | 스에키 후미히코, 2009, 《근대 일본과 불교》, 이태승·권서용 옮김, 그린비출판사. | 미소장 |
25 | 스윈지우드, 앨런, 2004, 《문화사회학 이론을 향하여: 문화이론과 근대성의 문제》, 박형신·김민규 옮김, 한울. | 미소장 |
26 | 심재룡, 2000,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 《불교평론》 제3집. | 미소장 |
27 | 이능화, 1918, 《조선불교통사》 상·하편, 신문관. | 미소장 |
28 | 장석만, 2012, 〈부디즘, 불교, 불연의 엘리아데〉, 《불교연구》 36. | 미소장 |
29 | 조선불교혁신회, 1996, 〈조선불교혁신론〉, 《한국근현대불교자료전집》 제65권, 민족사. | 미소장 |
30 | 최남선, 1930, 〈조선불교-동방문화사상에 있는 그 지위〉, 《불교》 74호. | 미소장 |
31 | 최병헌, 2013, 〈근대 한국불교사학의 전통과 불교사 인식〉, 최병헌 외,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상, 지식산업사. | 미소장 |
32 | 최병헌, 2013, 〈일제 침략과 식민지불교〉, 최병헌 외,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하, 지식산업사. | 미소장 |
33 | Special Edition : Formation of the Modern Time Korean Buddhism and Japan, Japanese Buddhism | 소장 |
34 | 홉스봄, 에릭, 2004, 〈전통들을 발명해내기〉, 《만들어진 전통》, 박지향·장문석 옮김, 휴머니스트. | 미소장 |
35 | Almond, Philip C., 1988, British Discovery of Buddhism, Cambridge and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Bechert, Heinz, 1994, “Buddhist Modernism: Present Situation and Current Trends,” Buddhism into the Year 2000: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Bangkok:Dhammakaya Foundation. | 미소장 |
37 | Introduction to the Symposium on Modernity and Buddhism ![]() |
미소장 |
38 | Ketelaar, James, 1990, Of Heretics and Martyrs in Meiji Japa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9 | Lopez, Donald S. Jr. ed., 2002, A Modern Buddhist Bible: Essential Readings from East and West, Boston: Beacon Press. | 미소장 |
40 | Lopez, Donald S. Jr. ed., 2002, “Introduction to Modern Buddhism: Reading for the Unenlightened,” Donald S. Lopez, Jr., Modern Buddhism: Reading for the Unenlightened, London: Penguin Books. | 미소장 |
41 | Lopez, Donald S. Jr. ed., 2002, “Modern Buddhism: So new, So familiar,” Tricycle: the Buddhist review, Vol.12 No.1(45), Buddhist Ray, Inc. | 미소장 |
42 |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3 | Tomoko Masuzawa, 2005, The Invention of World Religions: Or, How European Universalism Was Preserved in the Language of Pluralis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44 | Zwi Werblowsky, R. J., 1998, “Modernism and Modernisation in Buddhism,” The Search for Absolute Values, Vol. 2, I.C.F., ed., New York: I.C.F. Press. | 미소장 |
45 | http://en.wikipedia.org/wiki/Alexandra David-Neel. | 미소장 |
46 | 大谷榮一, 2011, 〈近代佛敎の形成と展開〉, 末木文美士 編, 《近代國家と佛敎》, 東京: 成出版社. | 미소장 |
47 | 藤井健志, 2011, 〈佛敎者の海外進出〉, 末木文美士 編, 《近代國家と佛敎》, 東京: 成出版社. | 미소장 |
48 | 下田正弘, 2006, 〈近代佛敎學の展開とアジア認識-他者としての佛敎〉, 岸本美緖 等編, 《「帝國」日本の學知》 第3卷, 東京: 岩波書店. | 미소장 |
49 | 柏原祐泉, 1967, 〈明治における近代佛敎の歷史的形成〉, 《印度學仏敎學硏究》 第15卷 第2号.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