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글은 1930년 『조선국세조사보고』의 직업 통계를 바탕으로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여성 직업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제하 조선사회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에서 각각 여성들의 삶은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과연 ‘신여성’의 표상이 일제 식민지기 조선 여성의 삶을 대표할 수 있는가, 조선 사회를 하나의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다. 이에 道단위 지역별로 농촌지역(郡)과 도시지역(府) 여성의 직업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농촌여성의 직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농업수조’라는 직업 구분이다. 농업수조는 “처, 자녀, 부모 기타 가족으로서 세대주 또는 다른 가족의 직업을 계속적으로 돕는 자”로서 ‘계속적’인가 ‘일시적’인가에 따라 ‘농업 수조’와 ‘무업자’로 구분되었다. 조선인 여성의 ‘농업수조’ 비율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서북지역(황해도, 평안남북도)과 전라남도는 농업수조 비율이 35%를 넘었고, 중남부지역(경기, 충청남북도, 경상남북도, 전라북도, 강원도)과 관북지역(함경남북도)은 평균 10% 정도에 그쳤다. 사상적으로 개방적이고 근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빠르게 전개된 서북지역과 전남의 여성 농업노동의 다수가 ‘농업수조’라는 사회적 노동으로 인정되었던 점은 특기할 만하다. 일제시기 여성 담론 중 대표적 이미지가 ‘신여성’이다. 그러나 일제시기 도시(府)지역 여성들은 조선인, 일본인을 막론하고 직업 중 가장 많았던 것은 접객업종사자와 가사사용인이었다. 반면 일본인의 경우는 의료종사자, 통신종사자, 관공리 등 전형적인 ‘신여성’의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대구부와 부산부의 경우 조선인 여성 중 방직공업 종사자 비율이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평양부, 진남포부, 신의주부의 경우 조선인 여성들은 화학제품 제조업 등의 공업 분야에 종사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식민지 조선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로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농업중심의 산업구조 하에서 여성들은 농촌을 벗어난 경우 도시지역의 산업기반의 취약성으로 인해 접객업이나 가사사용인 같은 서비스업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신여성’으로 상징되는 근대적 커리어우먼(직업여성)은 그나마 재조 일본인 여성의 몫이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箕子朝鮮과 小中華 = Kija-Chosŏn and Little China 박대재 pp.7-49

箕子傳承의 형성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Forming Process of the Kija's Legend 오현수 pp.51-87

箕子전승의 형성과 단군 신화에의 편입 과정 = Jizi Lore, the Formation and Process Incorporated in Dangun Myth 김남중 pp.89-131

樂浪 關聯 墓誌銘에 보이는 箕子 繼承 意識 =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箕子) on Epitaphs, Related with Nakrang(樂浪) 鄭雲龍 pp.133-164

임진왜란 시기 朝鮮·明관계와 箕子인식의 양상 =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Ming during Imjin War and the Aspects of Understanding on Jizi(箕子) 김경태 pp.165-194

일제강점기 민족사의 구성과 기자(조선) 인식 = The Composition of National History and the Understanding of Gijachosun Focused on Choi Nam-Sun's Theory : 최남선의 기자(조선) 인식을 중심으로 류시현 pp.195-219

일본 학계에서의 고대 한·일관계사 인식의 기원 = The Origins of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in Japanese Academia : The Studies of the Nihon Shoki(日本書紀) by the Scholars of Kokugaku(国学) : 일본 국학자들의『일본서기』연구 박현숙 pp.223-253

고려후기 致仕制 운영의 변화 양상과 원인 = Aspects and Causes of Changes in Resignment System Operation in the Latter Period of Goryeo 李貞薰 pp.255-284
조선시대 제주 關防施設의 설치와 분포양상 = The Establishment of Jeju Defense Installations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 during the Joseon Period 김일우 pp.285-317
18~19세기 지방재정운영에 있어 자율적 납세조직의 활동 = The Local Finance System and Tax Paying Organization in the 18~19th Century 손병규 pp.319-344

19세기 후반 대외위기와 조선 사신의 교섭 양상 = International Crise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Negotiations of Envoys of the Joseon Dynasty 김창수 pp.345-377
일제하 1920~30년대 여성 직업의 지역별 분포와 존재양태 = The Aspect in Regional Distribution of Women's Occupations in Colonial Joseon in the 1920s~1930s 이송순 pp.379-425

냉전분단시대 '對遊擊隊國家'의 등장 = The Emergence of the Counter-Insurgent State(對遊擊隊國家) in South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허은 pp.427-480

대한민국 제헌헌법과 '건국절' 논란 = The 194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the Republic of Korea" Debate : 헌법 전문과 중앙정부론을 중심으로 신용옥 pp.481-526
「『高麗圖經』譯註」= Goryeodokyoung Annotated. 1, Focusing on the Preface . 1, 序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진한, 임형수, 최은규 pp.529-561

참고문헌 (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朝鮮總督府官報』 미소장
2 『朝鮮農民』 미소장
3 『開闢』 미소장
4 『별건곤』 미소장
5 朝鮮總督府, 1935, 『昭和五年朝鮮國勢調査報告-全鮮編第一卷結果表』. 미소장
6 朝鮮總督府, 1935, 『昭和五年朝鮮國勢調査報告-全鮮編第二卷記述報文』. 미소장
7 朝鮮總督府, 1935, 『昭和五年朝鮮國勢調査報告-道編第一卷~第十三卷』. 미소장
8 朝鮮總督府殖産局編纂, 1932, 『朝鮮工場名簿』(昭和7年版), 社團法人朝鮮工業協會發行. 미소장
9 久間健一, 1935, 『朝鮮農業の近代的樣相』. 미소장
10 久間健一, 1943, 『朝鮮農政の課題』. 미소장
11 久間健一, 1950, 『朝鮮農業經營地帶の硏究』, 農林省農業總合硏究所. 미소장
12 강이수, 2011,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 변화와 정체성』, 문화과학사. 미소장
13 김수진, 2009,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미소장
14 金哲, 1965, 『韓國の經濟と人口』, 岩波書店. 미소장
15 박명규・서호철, 2003, 『식민권력과 통계-조선총독부의 통계체계와 센서스』,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6 서지영, 2013, 『경성의 모던걸-소비・노동・젠더로 본 식민지 근대』,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미소장
17 신형규, 2010, 『기생, 조선을 사로잡다-일제 강점기에 연예인이 된 기생 이야기』, 어문학사. 미소장
18 아카마 기후 지음, 서호철 옮김, 2016, 『대지大地를 보라-1920년대 경성의 밑바닥 탐방』, 아모르몬디. 미소장
19 조은・이정옥・조주현, 1997, 『근대 가족의 변모와 여성 문제』,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0 堀和生, 1995, 『朝鮮工業化の史的分析』, 有斐閣. 미소장
21 강경미, 2007, 「日帝時代官公立普通學校한국인 여교원의 양성과 사회의 인식」, 고려대학교 역사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근대 여성의 일과 직업관 : 일제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소장
23 일제하 근대 여성 서비스직의 유형과 실태 소장
24 대한제국·일제 초기 서울의 매춘업과 공창(公娼)제도의 도입 소장
25 식민지 여성 교육과 지식의 식민지성 : 식민 권력과 근대성의 각축 소장
26 일제 하 여성의 일과 직업 소장
27 식민지기 조선의 유업자 : 호구조사와 국세조사 소장
28 근대적인 '직업여성'의 여성정체성과 직업의식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1세대 미용사 임형선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소장
29 A Study on the System of Gisaeng(Courtesans) in the Early Stag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distor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 소장
30 식민도시 京城의 유곽공간 형성과 근대적 관리 소장
31 A Study on Women Journalists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소장
32 박정애, 2000, 「초기 ‘신여성’의 사회 진출과 여성 교육」, 『여성과 사회』 11, 창작과 비평사. 미소장
33 박현, 2015, 「일제시기 경성의 창기업(娼妓業) 번성과 조선인 유곽 건설」,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미소장
34 Entertainment Customs and Female Sexuality in Colonial Korea 네이버 미소장
35 상실과 부재의 시공간 : 1930년대 요리점과 기생 소장
36 강경애의『인간문제』와 여성 노동자의 삶 소장
37 안미영, 2000,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급고찰」, 『여성문학연구』 3. 미소장
38 A Study on Working Women in Modern Novels 소장
39 일제시기 일간지 여기자의 역할과 위상 소장
40 윤지현, 2009, 「1920~30년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실태와 사회적 위상」, 『여성과 역사』 10. 미소장
41 이꽃메, 1999, 「일제시대 관공립 간호교육에 대한 역사적연구」, 『간호행정학회지』5-2. 미소장
42 일제시대의 두 간호단체에 관한 고찰(考察) : 조선간호부회(朝鮮看護婦會)의 간호수준 향상 노력과 조선간호부협회(朝鮮看護婦協會)의 사회 활동 소장
43 이만열, 2000, 「1930・40년대 朝鮮女性의 존재 양태」, 『국사관논총』 89. 미소장
44 Discourses on ‘New Women' in the Modern Period of Korea and Sexualization of the ‘New Women' 소장
45 A Study on Female Others in the Novels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네이버 미소장
46 일제하 경성 전차 승무원의 생활과 의식 소장
47 일제하 여성의 전문직 진출과 사회적 지위 소장
48 식민지 근대 카페 여급의 정치경제학적 위치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소장
49 이아리, 2013, 「일제하 주변적 노동으로서 ‘가사사용인’의 등장과 그 존재양상」, 서울대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0 이효재・정충량, 1973, 「日帝下女性勞動者就業狀態와 勞動運動에 관한 硏究」, 『論叢』 2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미소장
51 이효재, 1977, 「일제하 한국 여성 노동 문제 연구」, 『한국 근대사론 Ⅲ』, 지식산업사(윤병석・신용하・안병직 편). 미소장
52 식민지 자본주의화 과정에서의 여성노동의 변모 소장
53 조은・윤택림, 1995,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8, 한국학술진흥재단. 미소장
54 ‘Buk-chong’ Locality and Originality of Hamgyong-do in Colonial era - Example of research of North Korea Regional Literature 소장
55 日帝下 朝鮮의 産業構造 : 雇傭基準 分析을 중심으로 소장
56 梅村又次, 1981, 「都市化と女性勞動力」, 『舊日本帝國の數量經濟史的分析』, 一橋大學經濟硏究所.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