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朝鮮總督府官報』 | 미소장 |
2 | 『朝鮮農民』 | 미소장 |
3 | 『開闢』 | 미소장 |
4 | 『별건곤』 | 미소장 |
5 | 朝鮮總督府, 1935, 『昭和五年朝鮮國勢調査報告-全鮮編第一卷結果表』. | 미소장 |
6 | 朝鮮總督府, 1935, 『昭和五年朝鮮國勢調査報告-全鮮編第二卷記述報文』. | 미소장 |
7 | 朝鮮總督府, 1935, 『昭和五年朝鮮國勢調査報告-道編第一卷~第十三卷』. | 미소장 |
8 | 朝鮮總督府殖産局編纂, 1932, 『朝鮮工場名簿』(昭和7年版), 社團法人朝鮮工業協會發行. | 미소장 |
9 | 久間健一, 1935, 『朝鮮農業の近代的樣相』. | 미소장 |
10 | 久間健一, 1943, 『朝鮮農政の課題』. | 미소장 |
11 | 久間健一, 1950, 『朝鮮農業經營地帶の硏究』, 農林省農業總合硏究所. | 미소장 |
12 | 강이수, 2011,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 변화와 정체성』, 문화과학사. | 미소장 |
13 | 김수진, 2009,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 미소장 |
14 | 金哲, 1965, 『韓國の經濟と人口』, 岩波書店. | 미소장 |
15 | 박명규・서호철, 2003, 『식민권력과 통계-조선총독부의 통계체계와 센서스』,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6 | 서지영, 2013, 『경성의 모던걸-소비・노동・젠더로 본 식민지 근대』, 여성문화이론연구소. | 미소장 |
17 | 신형규, 2010, 『기생, 조선을 사로잡다-일제 강점기에 연예인이 된 기생 이야기』, 어문학사. | 미소장 |
18 | 아카마 기후 지음, 서호철 옮김, 2016, 『대지大地를 보라-1920년대 경성의 밑바닥 탐방』, 아모르몬디. | 미소장 |
19 | 조은・이정옥・조주현, 1997, 『근대 가족의 변모와 여성 문제』,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0 | 堀和生, 1995, 『朝鮮工業化の史的分析』, 有斐閣. | 미소장 |
21 | 강경미, 2007, 「日帝時代官公立普通學校한국인 여교원의 양성과 사회의 인식」, 고려대학교 역사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근대 여성의 일과 직업관 : 일제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소장 |
23 | 일제하 근대 여성 서비스직의 유형과 실태 | 소장 |
24 | 대한제국·일제 초기 서울의 매춘업과 공창(公娼)제도의 도입 | 소장 |
25 | 식민지 여성 교육과 지식의 식민지성 : 식민 권력과 근대성의 각축 | 소장 |
26 | 일제 하 여성의 일과 직업 | 소장 |
27 | 식민지기 조선의 유업자 : 호구조사와 국세조사 | 소장 |
28 | 근대적인 '직업여성'의 여성정체성과 직업의식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1세대 미용사 임형선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 소장 |
29 | A Study on the System of Gisaeng(Courtesans) in the Early Stag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distor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 | 소장 |
30 | 식민도시 京城의 유곽공간 형성과 근대적 관리 | 소장 |
31 | A Study on Women Journalists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 소장 |
32 | 박정애, 2000, 「초기 ‘신여성’의 사회 진출과 여성 교육」, 『여성과 사회』 11,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33 | 박현, 2015, 「일제시기 경성의 창기업(娼妓業) 번성과 조선인 유곽 건설」,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 미소장 |
34 | Entertainment Customs and Female Sexuality in Colonial Korea ![]() |
미소장 |
35 | 상실과 부재의 시공간 : 1930년대 요리점과 기생 | 소장 |
36 | 강경애의『인간문제』와 여성 노동자의 삶 | 소장 |
37 | 안미영, 2000,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급고찰」, 『여성문학연구』 3. | 미소장 |
38 | A Study on Working Women in Modern Novels | 소장 |
39 | 일제시기 일간지 여기자의 역할과 위상 | 소장 |
40 | 윤지현, 2009, 「1920~30년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실태와 사회적 위상」, 『여성과 역사』 10. | 미소장 |
41 | 이꽃메, 1999, 「일제시대 관공립 간호교육에 대한 역사적연구」, 『간호행정학회지』5-2. | 미소장 |
42 | 일제시대의 두 간호단체에 관한 고찰(考察) : 조선간호부회(朝鮮看護婦會)의 간호수준 향상 노력과 조선간호부협회(朝鮮看護婦協會)의 사회 활동 | 소장 |
43 | 이만열, 2000, 「1930・40년대 朝鮮女性의 존재 양태」, 『국사관논총』 89. | 미소장 |
44 | Discourses on ‘New Women' in the Modern Period of Korea and Sexualization of the ‘New Women' | 소장 |
45 | A Study on Female Others in the Novels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 |
미소장 |
46 | 일제하 경성 전차 승무원의 생활과 의식 | 소장 |
47 | 일제하 여성의 전문직 진출과 사회적 지위 | 소장 |
48 | 식민지 근대 카페 여급의 정치경제학적 위치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49 | 이아리, 2013, 「일제하 주변적 노동으로서 ‘가사사용인’의 등장과 그 존재양상」, 서울대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이효재・정충량, 1973, 「日帝下女性勞動者就業狀態와 勞動運動에 관한 硏究」, 『論叢』 2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미소장 |
51 | 이효재, 1977, 「일제하 한국 여성 노동 문제 연구」, 『한국 근대사론 Ⅲ』, 지식산업사(윤병석・신용하・안병직 편). | 미소장 |
52 | 식민지 자본주의화 과정에서의 여성노동의 변모 | 소장 |
53 | 조은・윤택림, 1995,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8, 한국학술진흥재단. | 미소장 |
54 | ‘Buk-chong’ Locality and Originality of Hamgyong-do in Colonial era - Example of research of North Korea Regional Literature | 소장 |
55 | 日帝下 朝鮮의 産業構造 : 雇傭基準 分析을 중심으로 | 소장 |
56 | 梅村又次, 1981, 「都市化と女性勞動力」, 『舊日本帝國の數量經濟史的分析』, 一橋大學經濟硏究所.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