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통영시 예술인 기념 공간의 조성 과정과 특징 = On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Property of Commemorative Museums of Tongyeong Artists / 진금주 1

초록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III. 연구 분석 5

1. 통영시의 예술인 기념 공간 조성 추진 배경 5

2. 기념 공간 조성 고정의 특징 7

IV. 연구 결과 21

1. 예술인 기념 공간 조성 추진 배경의 특징 21

2. 논쟁·비논쟁적 예술인에 따른 기념 공간 조성 주체의 관(官)·민(民) 양분화 22

3. 기념 공간 조성의 필요성 분류 26

V. 결론 및 시사점 29

참고문헌 33

Abstract 3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화예술기관에서의 문화매개활동 구상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a Decisio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Mediation Activities : Focusing on the notion of "Médiation culturelle" and Cultural Mediation Activities of the "Centquatre" : '썽꺄트르' 문화매개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민지은 pp.257-284

보기
뮤지컬 공연 관객의 사회관계망서비스를 이용한 공연정보 추구가치 분석 = Analysi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Performing Arts Desire Value for the Musical Audiences 한소희, 오동옥, 박지환, 이주경, 류승완 pp.63-90

보기
박물관, 미술관과 비엔날레의 거버넌스로서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 Governanc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of Museums and Biennials 박양우, 조현정 pp.147-176

보기
음원서비스 플랫폼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 가치와 서비스 사용품질이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Value and Servqual in Selection of Music Service Platform 양승규, 이상호, 김재범 pp.91-115

보기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 Reflections on the Rationales and Directions for Public Support of Museums 양지연 pp.233-256

보기
서울시 공공미술의 통합적 사후관리 방안 연구 = Introduc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Art in Seoul Metropolitan City 양현미 pp.285-312

보기
관람체험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구조적 고찰 = A Structural Study on Influence of Viewing Experience on Viewing Intention : Focused on Classical Performances : 클래식공연을 중심으로 이샛별 pp.33-62

보기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포스트 뮤지엄의 관람객 참여와 소셜 미디어 = Visitors' Participation of the Post-museum and Social Media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ource Community 이정선, 여운승 pp.177-203

보기
미술관 협력망 구축을 위한 소장품 네트워크 분석 = Network Analysis of Object Loan in Museum As a Means of Activating Collaborative Network in Museum 이진화, 김설희 pp.117-146

보기
클래식공연의 관람수요 결정요인 = Determinants on Demand for Classical Music Concerts with Reference to Transaction Cost : 거래비용을 중심으로 이창진, 김재범 pp.5-32

보기
국내 기업박물관의 방향성 연구 = Analyz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rporate Museum in Korea 장재희, 김동언 pp.205-232

보기
통영시 예술인 기념 공간의 조성 과정과 특징 = On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Property of Commemorative Museums of Tongyeong Artists 진금주 pp.313-346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렬·구정태(2006), 랜드마크 건립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상징조형물의 시장가치와 비시장가치추정,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 16(2): 189-211. 미소장
2 김민영(2011), 김용익 문학의 서지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3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소장
4 김한도(2007), 제주도 박물관의 특성 변화와 지역 관광개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5 The formation of 5.18 memorial spaces and regional identity: the issues and assignment after the 1990s 소장
6 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 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7 이병준·김미화(2008), 기념관, 역사, 미학 그리고 학습 - 미국과 독일의 사례 연구, Art Education Review , 31: 143-165. 미소장
8 이승욱(2005), 지역기반산업의 위기에 대한 지역엘리트의 대응양식 : 통영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9 이정훈(2005), 지역 관광개발의 전략적 과제와 지리학적 상상력: 목적지 브랜드 개발과 문화·관광의 영역적 시스템 구축, 대한지리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127-129. 미소장
10 A Theoretical Review on Place Branding as a Major Toolkit of Soft Regional Development 소장
11 New Spatial Perspective of Sacred Space: The case of ``Jeoldusan Martyrs`` Shrine 소장
12 5·18과 도시공간의 상징적 구성 소장
13 정호기(2002),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한국에서의 민주화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기념관 건립운동의 변화와 동학 : 민주화운동 기념관들을 중심으로 소장
15 진금주(2015a), 장소마케팅을 위한 통영시 예술인 기념 공간의 조성 과정,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6 예술인 기념 뮤지엄이 통영의 문화예술적 도시 이미지 형성에 미친 영향 소장
17 An Analysis of the Place Branding Methods for Regenerat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소장
18 최기석·구영민(2011), 홀로코스트 기념관 건축을 통해서 본 감각적 장소성 재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 31(2): 119-120. 미소장
19 5·18 Commemoration Space and Social Conflicts of Commemoration 소장
20 Tuan(1977), Space and place, Arnold, Lond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