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此島正年(1973)、『助詞助動詞の研究、大系と歴史』、桜楓社、p. 100 | 미소장 |
2 | 寺村秀夫(1986)、『日本語のシンタクスと意味Ⅰ』第5版、くろしお出版、pp.275~276 | 미소장 |
3 | 長瀬 治(1987)、『古代語研究ーことばとフオークロア─』、桜楓社、p. 24 | 미소장 |
4 | 吉田金彦(1978)、『上代助動詞の史的研究』、明治書院、pp. 181~182 | 미소장 |
5 | 柳椿姫(2005)、『類似を表す表現の言葉』、不二文化、pp. 108~109、p. 200 | 미소장 |
6 | 慶野正次(1936)、「「おぼゆ」といふ語の再検討」、『国語解釈』11、瑞穂書店, p. 103 | 미소장 |
7 | 石川徹(1956)、「平安時代語彙考証(その三)」、『平安文学研究』19ー12、pp. 42~46 | 미소장 |
8 | 五味保美(1941)、「万葉集詩句考ー「おもほゆ」の性質」、『国語国文』4ー11 | 미소장 |
9 | 今泉忠義(1960)、「源氏物語の敬語法の一つー「おぼえ給ふ」ー」、『国学院雑誌』6、pp. 8~12 | 미소장 |
10 | 後藤和彦(1973)、「上代語の助動詞「ゆ‧しむ‧す‧ふ」の働きについて」、『研究年報』17、pp. 21~36 | 미소장 |
11 | 高橋太郎(1991)、「寺村秀夫における可能と自発」、『日本語学』2月号、pp. 34~42 | 미소장 |
12 | 辻村敏樹(1959)、「『る』の研究ー付『ゆ』ー」、『国語学解説と教材の研究』4ー2、 pp. 55~67 | 미소장 |
13 | 西田直敏(1964)、「可能、<含自発>の助動詞、る‧らる<付、ゆ‧らゆ>」、『国語学解釈と教材の研究』9ー13 | 미소장 |
14 | 柳田征司(1989)、「助動詞「ユ」「ラユ」と「ル」「ラル」との関係」、『奥村三雄退官記念、国語学論叢』、桜楓社、pp. 150~155. | 미소장 |
15 | 和田利政(1964)、「受身の助動詞、る·らる(付、ゆ·らゆ)」、『国文学解釈と教材』9ー13、pp. 29~32 | 미소장 |
16 | 平安時代에 있어서의 「おぼゆ」에 대한 고찰 ![]() |
미소장 |
17 | The meaning of「Oboyu」in ancient language : Focused on its conversion to the modern language「oboeru」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