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傳奇小設 揷入時의 미학적 의미 = Aesthetic meaning of inserted poem in Jeongi 이채경 pp.5-32
신선담과 신이 서사의 향방 = The Stories of Immortals and the Directions of the Mythical Epics 김수연 pp.33-56
「おぼゆ」「思ほゆ」「思はる」の用法 = A Usage of「oboyu」and「omohoyu」and「omoharu」 : Focused on the「genjimonogatari」 유춘희 pp.57-82
서사무가「원천강본풀이」의 인물 기능과 우주 인식 = Function of Figure and Perception of the Universe in Narrative Myths <Woncheongangbonpuri> 권복순 pp.83-108
"BEN KİMİM?"DEN, "BİZ KİMİZ?"E CEMİL MERİÇ = "나는 누구인가"에서 "우리는 누구인가"로 : 제밀 메리치 Bahtiyar Aslan pp.109-132
ÜÇ ŞAİR, ÜÇ KİMLİK ANLAYIŞI = 세 명의 시인, 세 가지 정체성 모색 İsa KOCAKAPLAN pp.133-160
간접 인용 표현의 제시 양상 = A Study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최은경 pp.179-206
학교문법 교육에서 인지문법적 접근의 필요성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ognitive Grammar Approaches in the Complex Word Education 김억조 pp.207-234
On the Evasion Approach to Island Repair in Sluicing in English and Korean = 영어와 한국어 섬 제약 위반 보수 회피접근법에 관하여 Jong Un Park pp.261-282

TÜRK EDEBİYATI'NDA KİMLİK BUNALIMINA ÇÖZÜM ARAYAN USTALAR! = 터키 문학에서 정체성 위기에 해결책을 모색한 작가들 Taceddin Ural pp.161-178
관련성 이론에 의한 중의적 영어 시간 개념 분석 = Analysis of Time Concept of Native Speakers with the Ambiguous Time Sentences : Focusing on Relevance Theory 곽면선, 이상철 pp.235-260
영어영재의 개념설정과 프로그램의 당위성 = Conception of English Giftedness and appropriateness of its programs 박진규 pp.283-310
고고학적 탐구 서사와 역사 철학적 알레고리 = The Archaeological Researching Narration and the Allegory of the Historical Philosophy : A Study on the Text Creation Principle of Choi In-hoon's novel「Seoyougee」 : 최인훈 소설『서유기』의 텍스트 생성 원리 연구 김정관 pp.335-362
The Poetic Theory of Philip Sidney= 필립 시드니의 시론 Ku, Bonchul pp.363-384
잭 케루악의 자아로의 여행 = Jack Kerouac's Journey into His Self : '사유'와 '성찰' 김은성 pp.385-410
시진핑의 정치 = Xi Jinping's Politics : Korean Wave Fever : 한류 문화 갈등 유신일 pp.443-462
韓国の初級日本語教育と待遇表現 = Japanese Education of Beginner's Course in Korea and Expression of Politeness 守屋美佐子 pp.311-334
守拙堂 李宜潛의 생애와 詩文學을 통해 본 삶의 行蹟 = Soojoldang Lee Eui-jam's Life Trajectory seen through His Life and Poetry 신일권 pp.411-442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此島正年(1973)、『助詞助動詞の研究、大系と歴史』、桜楓社、p. 100 미소장
2 寺村秀夫(1986)、『日本語のシンタクスと意味Ⅰ』第5版、くろしお出版、pp.275~276 미소장
3 長瀬 治(1987)、『古代語研究ーことばとフオークロア─』、桜楓社、p. 24 미소장
4 吉田金彦(1978)、『上代助動詞の史的研究』、明治書院、pp. 181~182 미소장
5 柳椿姫(2005)、『類似を表す表現の言葉』、不二文化、pp. 108~109、p. 200 미소장
6 慶野正次(1936)、「「おぼゆ」といふ語の再検討」、『国語解釈』11、瑞穂書店, p. 103 미소장
7 石川徹(1956)、「平安時代語彙考証(その三)」、『平安文学研究』19ー12、pp. 42~46 미소장
8 五味保美(1941)、「万葉集詩句考ー「おもほゆ」の性質」、『国語国文』4ー11 미소장
9 今泉忠義(1960)、「源氏物語の敬語法の一つー「おぼえ給ふ」ー」、『国学院雑誌』6、pp. 8~12 미소장
10 後藤和彦(1973)、「上代語の助動詞「ゆ‧しむ‧す‧ふ」の働きについて」、『研究年報』17、pp. 21~36 미소장
11 高橋太郎(1991)、「寺村秀夫における可能と自発」、『日本語学』2月号、pp. 34~42 미소장
12 辻村敏樹(1959)、「『る』の研究ー付『ゆ』ー」、『国語学解説と教材の研究』4ー2、 pp. 55~67 미소장
13 西田直敏(1964)、「可能、<含自発>の助動詞、る‧らる<付、ゆ‧らゆ>」、『国語学解釈と教材の研究』9ー13 미소장
14 柳田征司(1989)、「助動詞「ユ」「ラユ」と「ル」「ラル」との関係」、『奥村三雄退官記念、国語学論叢』、桜楓社、pp. 150~155. 미소장
15 和田利政(1964)、「受身の助動詞、る·らる(付、ゆ·らゆ)」、『国文学解釈と教材』9ー13、pp. 29~32 미소장
16 平安時代에 있어서의 「おぼゆ」에 대한 고찰 네이버 미소장
17 The meaning of「Oboyu」in ancient language : Focused on its conversion to the modern language「oboeru」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