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군정기 도미유학에 관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Studying in America in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Period / 張泳敏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미군정 초기의 유학생 파견 계획 6
3. 미군정의 재교육·재정향 정책과 유학생 파견 계획 12
4. 미군정의 사비 유학 허가와 유학 실태 24
5. 맺음말 37
참고문헌 39
[요약] 4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Open Doors: Report on International Educational Exchange, 2014. | 미소장 |
2 | RG 165, General and Special Staffs, Civil Affairs Division, Policy and Government Branch, Security Classified Policy Correspondence Relating to the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of Government in Liberated and Occupied Areas, 1943 – 1948. | 미소장 |
3 | RG 331, Assistant Chief of Staff, G-1, Civil & Foreign Affairs Division, Subject-Chronological File, 1946~1950. | 미소장 |
4 | RG 331, Correspondence File, 1945~1952. | 미소장 |
5 | RG 331, GHQ/SCAP Record, Korea(5), Oct. 1945~Oct.1950. | 미소장 |
6 | RG 331, Office of Comptroller, Correspondence File, 1945~1952. | 미소장 |
7 | RG 332, Military Government-Chief Adviser (Civilian), 1945~1948. | 미소장 |
8 | RG 338, General Correspondence Files, 04/1944~1948. | 미소장 |
9 | RG 469, Far East Geographic Files, 1948~1952. | 미소장 |
10 | RG 554, USAFIK Adjutant General, General Correspondence (Decimal Files) 1945~1949. | 미소장 |
11 | RG 554, USAFIK: XXIV Corps, G-2 Historical Section, 1945~1948. | 미소장 |
12 | RG 59, Central Decimal File, 1945~1949. | 미소장 |
13 | RG 59, Country Files, 1942~1948, General Korea. | 미소장 |
14 | RG 59, Records of the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Public Affairs, 1945~1950, Office Symbol Files. | 미소장 |
15 | RG 59, Records of the Division of Exchange of Persons, General Records, 1941~1944. | 미소장 |
16 | RG 59, Records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relating to Internal Affairs of Korea, 1945~1949. | 미소장 |
17 | RG 59, Records of the Wedemeyer Mission to China, subject File, 1947. | 미소장 |
18 | RG 84, Japan; Office of the US Political Advisor for Japan, Tokyo; Classified General Records, 1945~1952. | 미소장 |
19 | Special Committee on Overseas Information Programs, OVERSEAS INFORMATION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SENATE, 83D Congress 1st Session, USGPO, Washington: 1953. | 미소장 |
20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6, The Far East(1946), Japan. | 미소장 |
21 |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사자료집』, 홍지원, 1992. | 미소장 |
22 | 『이승만관계서한자료집』 1, 국사편찬위원회, 1996. | 미소장 |
23 | ≪경향신문≫ | 미소장 |
24 | ≪농민주보≫ | 미소장 |
25 | ≪독립신보≫ | 미소장 |
26 | ≪동아일보≫ | 미소장 |
27 | ≪민국일보≫ | 미소장 |
28 | ≪민중일보≫ | 미소장 |
29 | ≪자유신문≫ | 미소장 |
30 | 韓國의 敎育制度와 敎育行政에 미친 美國文化의 影響 | 소장 |
31 | 미군정 초기 한국학생의 미국파견 정책과 그 성격 | 소장 |
32 | Th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American Language Institute in the Period of U.S. Army Military Government | 소장 |
33 | 한 · 미 교육관계의 재조명 ![]() |
미소장 |
34 | 임대식, 「1950년대 미국의 교육원조와 친미 엘리트의 형성」, 『1950년대 남북한의선택과 굴절』, 역사문제연구소 편, 역사비평사, 1998. | 미소장 |
35 | 미군정기 미국의 대한선전정책 | 소장 |
36 | 敎育交換에 依한 美國文化의 影響 | 소장 |
37 | 정용욱,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미소장 |
38 | 학술단체협의회 엮음, 『우리 학문 속의 미국』, 한울아카데미, 2003. | 미소장 |
39 | 일제하 미국유학연구 | 소장 |
40 | 阿部 洋, 「미군정기 대한교육정책」,『해방 후 한국의 교육개혁』, 한국연구원, 1987. | 미소장 |
41 | Arndt, Richard T., The First Resort of Kings, Potomac Books, Dulles, Virginia, 2005 | 미소장 |
42 | Brazinsky, Gregg, Nation Building in South Korea: Koreans, Americans, and the Making of a Democracy,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9. | 미소장 |
43 | Liem, Wol-san, Telling the ‘truth’ to Koreans:U.S. 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during the early Cold War, 1947∼1967, Dissertation of Department of History, New York University, 201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