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주. (2012). 「체르노빌 후쿠시마 한국」. 아카이브. | 미소장 |
2 | Articles :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tomic Institute and Its Background ![]() |
미소장 |
3 | 고이데 히로아키. (2012). 「원자력의 거짓말」(고노 다이스케 역). 녹색평론사. | 미소장 |
4 | A Discourse Network Analysis of Newspaper Editorials on Nuclear Energy : A Focus on Change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 소장 |
5 | 김광균. (2012).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전지역 지자체와 협력 강화. 전기신문(2012. 10. 11). | 미소장 |
6 | 김명자・최경희. (2013). 「원자력 트릴레마: 여론, 커뮤니케이션, 해법의 모색」. 서울: 까치글방. | 미소장 |
7 | 김수정. (2015). 보육서비스의 트릴레마 구조와 한국보육정책의 선택. 「경제와 사회」, 2015년 봄호(통권 제105호): 64-93. | 미소장 |
8 | 김수진 등. (2011). 「기후변화의 유혹, 원자력: 원자력 르네상스의 실체와 에너지정책의 미래」. 도요새. | 미소장 |
9 | 김영규. (2012). 동남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대응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海峽圈硏究」, 제12호. | 미소장 |
10 | 김영평. (1995).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1 | 김영평. (2013). 원자력안전을 위한 정책전망. 「행정포커스」, 통권 제103호: 26-31. | 미소장 |
12 | 김영평・최병선. (1994).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서울: 나남출판. | 미소장 |
13 | 제도변화와 대체요인으로서 딜레마 대응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14 | Risk Society and the Benefit of Redundancy: An Analysis on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Blackout Accident | 소장 |
15 | 한국 관료제의 트릴레마 해부 | 소장 |
16 | 김창수. (2016). 「공공갈등과 행정이론」. 서울: 피앤씨미디어. | 미소장 |
17 | The Dilemma of Local Governments in Building Nuclear Safety Systems: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소장 |
18 | 김해창. (2013). 고리1호기, 폐로가 지역경제를 살린다. 「원전안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사)인본사회연구소・한정애 국회의원실. | 미소장 |
19 | 김희재. (2007). 고리원전 1호기의 계속운전과 사회적 수용에 대한 지역사회의 대응. 「원자력포럼심포지엄: 국내원전 1호기의 현재와 미래」, 원자력포럼. | 미소장 |
20 | 다카기 진자부로. (2009). 「원자력 신화로부터의 해방」(김원식 역). 녹색평론사. | 미소장 |
21 | 마쓰오카 슌지. (2013). 「일본 원자력 정책의 실패: 후쿠시마 원전사고 대응과정의 검증과 안전규제에 대한 제언」(김영근 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2 | 박광국. (2008). 과학기술행정체제 속의 원자력행정조직. 서울행정학회 발표논문집. | 미소장 |
23 | 백완기. (1989). 「행정학」.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24 | 부산광역시. (2013). 「2013 원자력 안전 추진계획」. | 미소장 |
25 | 부산광역시소방본부. (2013). 「제4차 원전안전특별위원회 업무보고」. | 미소장 |
26 | 부산광역시의회. (2013). 「원전안전특별위원회 활동결과보고서」. 제228회 정례회. | 미소장 |
27 | 부산광역시의회 사무처. (2012~2013). 「원전안전특별위원회 회의록」. 2012. 7. 24~2013. 2. 4. | 미소장 |
28 | 산업통상자원부. (2015). 「2013-2014 산업통상자원백서」. | 미소장 |
29 | Dilemma Theory, Meaning and Problems: An Essay for Theoretical Consistency | 소장 |
30 | 심기보. (2008). 「원자력의 유혹: 핵무기, 원자력발전, 방사성 및 방사성 동위원소」. 한솜미디어. | 미소장 |
31 |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행정행정학보」, 45(3): 173-202. | 미소장 |
32 | 안상규・육동일. (2003). 지방자치단체와의 안전규제 역할분담 방안 연구. 「한국원자력학회 2003춘계학술발표회」. | 미소장 |
33 | 야마모토 요시타카. (2011). 「후쿠시마, 일본 핵발전의 진실」(임경택 역). 동아시아. | 미소장 |
34 | Groping a new paradigm of fiscal policy in order to overcome fiscal trilemma in the low-growth age | 소장 |
35 | 원병출. (2006). 한국의 원자력 개발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변화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과학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유재국. (2012). 원자력발전소 가동정지와 동계 전력수급대책. 「이슈와 논점」, 제575호. 국회입법조사처. | 미소장 |
37 | 윤견수. (2013). 이종범 교수 중심의 딜레마이론: 선택상황에서의 공정 의사결정. 김현구 편. (2013). 「한국행정학의 한국화론: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 서울: 법문사: 284-309. | 미소장 |
38 | 기후변화 대응전략으로서의 원자력발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 소장 |
39 | 이상윤. (2011). 「원자력 관련법령 체계 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 미소장 |
40 | 이상훈. (2013). 원전의 안전과 품질을 확보하는 원전구매제도 개선방안. 「정책지식포럼」, 제694회 (2013. 10. 14). 한국정책지식센터. | 미소장 |
41 | Public Administration Forum : Nuclear Energy Policy and the Dilemma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Korea | 소장 |
42 | 이원근. (2012). 「원자력 안전의 현황과 정책 및 입법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정책보고서(제24권). | 미소장 |
43 | Analyzing the Relative Seriousness on Social Risk of Various Power Systems | 소장 |
44 | 불확실성, 모호성과 딜레마 상황하에서 절차적 합리성의 탐색 | 소장 |
45 | 이종수. (2000). 「행정학사전」.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46 | 임채영. (2008). 국내외 원자력 정책동향 분석. 한국원자력연구원. | 미소장 |
47 | 임현진 등. (2003). 「한국사회의 위험과 안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8 | 장성록・이의주・오창보. (2012). 「원자력안전공학개론」. 부산: 도서출판 고려동. | 미소장 |
49 | 장정욱. (2011). 원자력안전협정의 체결과 주민의 안전보장. 프레시안(2011. 7. 4). | 미소장 |
50 | 전지은. (2016). 원자력발전소 다수기 밀집현상과 대응방향, 「이슈와 논점」, 제1237호. 국회입법조사처(2016. 12. 23). | 미소장 |
51 | 위험사회의 사회이론 : 위험을 어떻게 이론화할 것인가? | 소장 |
52 | 조성경. (2005). 「핵폐기장 뒤집어보기: 도마(Defend Only My Area」 위에 오른 위험」,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미소장 |
53 | 주성돈. (2011). 원자력정책 변화요인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1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미소장 |
54 | 지식경제부. (2013).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 2013. 2. | 미소장 |
55 | 지식경제부(산업통상자원부). (2013). 「2012 지식경제백서(산업통상자원백서)」. | 미소장 |
56 | A Study on the Path Dependency of Korea Nuclear Energy Policy | 소장 |
57 | 최병선. (1993). 「정부규제론」. 서울: 법문사. | 미소장 |
58 | 최병선. (1994). 부처간 정책조정의 개선: 경제정책분야를 중심으로. 김영평・최병선 편. (1994).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서울: 나남출판. | 미소장 |
59 | 하타무리 요타로・아베 세이지・후치가미 마사오 등. (2015). 「안전신화의 붕괴(福島原發事故はなぜ 起こったか 政府事故調核心解說)」. 김해창・노익환・류시현 역. (2015). 미세움. | 미소장 |
60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012). 원자력 안전 정책방향. 제16회 원자력 안전기술정보회의. | 미소장 |
61 | 홍사균 등. (2011).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을 둘러싼 주요 쟁점 및 향후 정책 방향」, STEPI Insight 제84호. | 미소장 |
62 | 행정안전부. (2011). 「과학적 조직관리를 위한 조직진단 매뉴얼」. | 미소장 |
63 | 행정학용어표준화연구회. (1999). 「행정학용어사전」. 서울: 새정보 미디어. | 미소장 |
64 | Allen, James. (1952). Atomic Imperialism.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 미소장 |
65 | Beck, Ulrich (1986).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찾아서」. 홍성태 역. (2000). 새물결. | 미소장 |
66 | Bendor, Jonathan B. (1985). Parallel Systems: Redundancy in Government. Berkeley. C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67 | The Pressman-Wildavsky Paradox: Four Addenda or Why Models Based on Probability Theory Can Predict Implementation Success and Suggest Useful Tactical Advice for Implementers ![]() |
미소장 |
68 | Applying the Redundancy Concept to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 |
미소장 |
69 | Experimental Evaluation of Five Designs of Redundant Organizational Systems ![]() |
미소장 |
70 | The Tragedy of the Commons ![]() |
미소장 |
71 | Hertsgaard, M. (1983). Nuclear Inc. New York: Pantheon Books. | 미소장 |
72 | Hirschman, A. (1970). Exit, Voice, and Royalty.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3 | Equality, Employment, and Budgetary Restraint: The Trilemma of the Service Economy ![]() |
미소장 |
74 | Redundancy, Rationality, and the Problem of Duplication and Overlap ![]() |
미소장 |
75 | On the Concept of a Self-Correcting Organization ![]() |
미소장 |
76 | To Manage Is Not to Control: Or the Folly of Type II Errors ![]() |
미소장 |
77 | Olson, M.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8 | Redundancy in Organizational Systems ![]() |
미소장 |
79 | Weick, Karl E. (1979).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2nd ed., Addison-Wesley. | 미소장 |
80 | WNA. (2012). Emerging Nuclear Energy Countries, Available from http://www.worldnuclear. org/info/Country-Profiles/Others/Emerging-Nuclear-Energy-Countries/ | 미소장 |
81 | 金井利之. (2012). 原子力発電所と地元自治体同意制. 「生活經濟政策」. 2012年 9月(No. 188): 15-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