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金思燁, 嶺南民謠(수고본, 작성일자 미상). | 미소장 |
2 | 김사엽, 김사엽전집 제1․2․14․17․18권, 박이정, 2004. | 미소장 |
3 | 金思燁․崔常壽․方鍾鉉, 朝鮮民謠集成, 正音社, 1948. | 미소장 |
4 | 金思燁, 朝鮮文學史, 正音社, 1948. | 미소장 |
5 | 金思燁, 改稿國文學史, 正音社, 1954. | 미소장 |
6 | 金思燁 譯, 韓譯萬葉集: 古代日本歌集, 東京: 成甲書房, 1984/1985/1987/1991. | 미소장 |
7 | 金思燁, 記紀万葉の朝鮮語, 東京: 六興出版 1979/1989. | 미소장 |
8 | 김사엽, 日本의 萬葉集: 그 內包된 韓國的 要素, 민음사, 1988/1990. | 미소장 |
9 | 김광식, 일본 문부성과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구비문학 조사와 그 활용 , 연민학지 제20집, 연민학회, 2013. | 미소장 |
10 | 김광식,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문학부 계열 장서 분석, 연민학지 제25집, 2016. | 미소장 |
11 | 임동권, 朝鮮總督府의 1912年에 實施한 俚謠․俚言及通俗的讀物等調査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제27권, 국어국문학회, 1964. | 미소장 |
12 | 高橋亨, 朝鮮の文學, 朝鮮 第201號, 朝鮮總督府, 1932.2. | 미소장 |
13 | 高橋亨, 民謠に現はれた濟州の女, 朝鮮 第212號, 朝鮮總督府, 1933.1. | 미소장 |
14 | 高橋亨, 北鮮の民謠, 朝鮮 第219號, 朝鮮總督府, 1933.8. | 미소장 |
15 | 高橋亨, 嶺南の民謠に現はれたる女性生活の二筋道, 京城帝國大學文學會, 京城帝國大學文學會論纂 第6輯(語學․文學篇), 東京: 岩波書店, 1936. | 미소장 |
16 | 高橋亨, 朝鮮文學硏究―朝鮮の小說, 日本文學講座 第15卷, 東京: 新潮社, 1927/1932. | 미소장 |
17 | 손세일, 한국논쟁사(제2권), 청람문화사, 1976. | 미소장 |
18 | 정근식 외, 식민지 권력과 근대지식: 경성제국대학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 미소장 |
19 | 정선이, 경성제국대학 연구, 문음사, 2002. | 미소장 |
20 | 다카하시 도루, 구인모 옮김,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 미소장 |
21 | 다카하시 도루, 박미경 옮김,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속담집, 어문학사, 2006. | 미소장 |
22 | 다카하시 도루, 이시준․김광식․조은애 옮김, 완역 조선이야기집과 속담, 박문사, 2016. | 미소장 |
23 | 다카하시 도루, 편영우 옮김, 조선의 모노가타리, 역락, 2016. | 미소장 |
24 |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 편, 엄인경․이윤지 옮김, 조선 민요의 연구, 역락, 2016. | 미소장 |
25 | 藤澤衛彦, 日本民謠史, 東京: 雄山閣, 192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