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중 유교의 발전과 교육에 미친 영향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Korea and China and its Effects on Education / 김연지 ; 한용수 1
요약문 1
1. 머리말 2
2. 한·중 유교의 변천과 교육 4
1) 중국 4
2) 한국 6
3. 한·중 유교의 교육관 9
1) 중국 9
2) 한국 12
3) 한·중 유교의 교육관 14
4. 맺음말 16
참고문헌 19
Abstract 2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법전편찬회,『교육법전』, 교학사, 2015. | 미소장 |
2 | 금장태,『다산 정약용』, 살림출판사, 2007. | 미소장 |
3 | 김철환,『漢韓大字典』, 민중서림, 2014. | 미소장 |
4 | 박석무,『다산 정약용 일일수행(다산에게 시대를 묻다)』, 생각의 나무, 2011. | 미소장 |
5 | A Confucian Understand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Dosan Seodang(陶山書堂) - Looking for the Confucian Meaning of Representation, Relation, and Cultivation - | 소장 |
6 | 栗谷李珥の更張論に対し | 소장 |
7 | 신철원,『논어 대학 중용』, 은광사, 2010. | 미소장 |
8 | 여경환, 유교적 가치가 개인의 집단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경북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9 | 유흔우, 청대 유학의 전개 양상 ,『철학 사상 문화』,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창간호, 2006. | 미소장 |
10 | 조화태·박종배,『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사, 2013. | 미소장 |
11 | 최석기·전병철 외5인,『주자』, 술이도서출판, 2005. | 미소장 |
12 | A Review of Modern Chinese Higher Education | 소장 |
13 | 황의동,『율곡 이이』, 살림출판사, 2007. | 미소장 |
14 | 『新华字典(第11版)』, 商务印书馆,2011. | 미소장 |
15 | 卢西恩派伊(Lucian Wilmot Pye ): “亚洲价值观”:从狄娜莫到多米诺?,『文化的重要作用– 价值观如何影响人类进步』,新华出版社, 2002년. | 미소장 |
16 | 西米, 何为师道,『中国西部』, 第24期, 四川省社会科学院, 2012. | 미소장 |
17 | 舒新城,『中国近代教育史资料』, 上册, 人民教育出版社, 1962. | 미소장 |
18 | 吴茹芝,『四书五经』, 三秦出版社, 2007. | 미소장 |
19 | 王炳照郭齐家等4人,『简明中国教育史』,北京师范大学出版社,2008. | 미소장 |
20 | 宁菁菁, [孟庙再现儒家传统礼仪"订制礼"为千年文化注入新活力], 大众网www.lhwww.com.cn, 2015.11.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