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제주도 서사무가 <서귀포본향당본풀이>에 나타난 권력과 젠더의 향배(向背) = A drift of power and gender in Jeju shaman epic Seogwipo-Bonhyangdang-Bonpuri : Focusing on the 'bride shifting' motif : '신부 바꿔치기' 화소를 중심으로 이소윤 pp.7-43
제주도 '척박성 담론'의 재검토 = Reconsidering the 'Sterility Discourse' on Jeju Island 김석준 pp.45-65

제주에서 사회학하기 = Doing Sociology in Jeju-Reclaiming Raison d'etre of Sociology : 사회학의 존재이유 되찾기 서영표 pp.67-104

제노사이드 영화와 사회치유 = Genocide Films and Social Healing : focusing on Documentary of Joshua Oppenheimer : 조슈아 오펜하이머의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임정택 pp.105-141
제주지역 佛敎 石造美術의 특징과 의의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Buddhist Stone Art in Jeju province 嚴基杓 pp.143-177
제주 정착주민 정책 현황 연구 = Case Study of Policies on Internal Migrants to Jeju 김미량, 김민영 pp.179-208
제주 올레에 대한 장소 애착심이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Place Attachment in Pro-environmental Behavioural Intentions for Jeju Olle Trail 서세진, 서용건 pp.209-233
조선 초기 고득종(1388~1452)의 시문과 서예 연구 = Study on Ko Deuk-jong(1388~1452)'s Literary Works and Calligraph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오창림 pp.237-263
구한말 제주 문인 海隱 金羲正의 삶과 문학 = The life and literature of scholar Haeun Kim Hee-Jeong born in Jeju island 김새미오 pp.265-291
'오키나와 문학'이라는 물음 = The question of 'Okinawa literature' : The method of Tami Sakiyama's The Story of Water and Wind : 사키야마 다미(崎山多美)「바람과 물의 이야기(風水譚)」의 방법 조정민 pp.293-322

오키나와 폭력에 대한 문학적 보복과 '오키나와 리얼리즘' = Literary Revenge on Okinawa's Violence and 'Okinawa Realism' : focusing on Medoruma Shun's Early Works : 메도루마 슌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고명철 pp.323-347
2009 개정교육과정과 고등『한국사』교과서의 麗蒙交流史 서술 분석 = An Analysis o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Exchanges between Goryeo and Mongolia in the 2009 Curriculum and High School Textbooks『Korean History』 전영준 pp.349-388
대만 차이잉원의 탈중국화정책 = The De Chinization Policy of Tsai Ing-wen and Influence on Cross-Straight Relations : 양안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공유식, 강준영 pp.389-412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준기,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시그마북스, 2009. 미소장
2 아도르노, 미니마 모랄리아, 김유동 옮김, 도서출판 길, 2005. 미소장
3 캐롤린 요더, 트라우마의 이해와 치유, 김복기 옮김, 아나뱁티스트, 2014. 미소장
4 파울 첼란, 죽음의 푸가, 전영애 역, 민음사, 2011. 미소장
5 A study on the self-reflexive film`s strategy to dismantle the ideology -A focus on < The Act of Killing >- 소장
6 제주4·3사건으로 침묵된 언어 표현 소장
7 Local Memories in Reproduced Images-Focused on Films Jiseul and Jeju Prayer 소장
8 신명훈, 드라마 <홀로코스트>와 독일의 과거청산 , 역사와 문화 20, 2010. 미소장
9 오멸감독 인터뷰, 스포츠경향 2013년 3월 25일. 미소장
10 장우진, 설화, 땅, 그리고 모성에 대한 그들의 이야기, <지슬 - 끝나지 않은 세월 2> , 현대영화연구 17, 2014. 미소장
11 제주 4.3사건과 국가의 로컬기억 포섭 과정 소장
12 The (Non-)Representation of the Unrepresentable : Joshua Oppenheimer's The Look of Silence 네이버 미소장
13 ‘재난의 재현’이 ‘재현의 재난’이 될 때: 재현불가능성의 문화정치학 소장
14 Was ist Genozid? - Eine Auseinandersetzung mit den Diskussionen über die Definition Genozid - 네이버 미소장
15 황인성, ‘기억’으로서의 영화 <지슬>과 <지슬>이 구성하는 ‘기억’의 의미에 대하여 , Speech & Communication 23, 2014. 미소장
16 Adorno, Theodor W., “Cultural Criticism and Society”, in: Can we live after Auschwitz? , ed. Rolf Tiedermann,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미소장
17 Alter, Ethan, “PRESCRIBING JUSTICE”, Film Journal International 118(7), 2015. 미소장
18 Blanchot, Maurice, The Writing of the Disaster, Lincoln: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6. 미소장
19 The atrocity exhibition 네이버 미소장
20 Bradshaw, Peter, “The Look of Silence: Act of Killing director’s second film is as horrifically gripping as first”, Venice film festival review, 2015. 미소장
21 DiDi-Huberman, Georges, Images in Spite of All:Four Photographs from Auschwitz,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미소장
22 50 years of silence 네이버 미소장
23 Harkins-Cross, Rebecca, “Performing History, Performing Truth:The Act of Killing”, Metro Magazine 180, 2014. 미소장
24 Lyotard, Jean-Francois, Heidegger and “the Jews”, Minneapolis: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0. 미소장
25 Of Monsters and Men: Perpetrator Trauma and Mass Atrocity 네이버 미소장
26 Pacatte, Rose, “Film exposes genocide’s lingering legacy”, National Catholic Repoter 51(21), 2015. 미소장
27 Schenkel, Hanna, “Clarifying the past. Joshua Oppenheimer's The Look of Silence”, Metro Magazine 186, 2015. 미소장
28 Genocide documentary as intervention 네이버 미소장
29 To See Die, Again: The Act of Filming and The Act of Killing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