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장르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닌 텍스트집단을 가리킨다. 한 텍스트가 특정 텍스트 집단에 속한다는 것은 이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집단에 속하는 텍스트들의 성격이 상이하며, 더 나아가 이 텍스트집단과 다른 텍스트집단들이 서로 다르다는 뜻을 내포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장르 개념은 보편성과 역사성 중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보편성을 강조하는 장르개념은 존재론적 혹은 인간학적 특성이나 작품내재적 근거에 기초한다. 이러한 장르이론들은 장르를 고정불변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장르현상의 가변성과 역사성에 전혀 주목하지 않는다. 반면 장르의 역사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장르이론들은 장르를 역사적으로 상이한 소통방식이나 전달형식으로 이해한다.

오늘날에는 장르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문화적, 사회적 합의과정의 결과라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이러한 인식에 기반을 둔 장르이론들은 장르 현상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장르의 생성조건, 사회적 기능, 독자의 기대지평, 장르들 간의 경쟁 등) 다소 차이는 있지만 공히 장르의 변화과정과 제반 조건을 밝히고 기술하는데 역점을 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제국주의 담론의 내적 모순 = Contradictions in the Discourse of Imperialism with a Focus on Writings by Western Visitors to Korea : 개항기 서양인의 조선 체험기를 중심으로 강정구 pp.53-70

브레히트의 서사극과 연극치료 = Brecht's Epic Theater and Theater Therapy 이승진 pp.423-442

전통의 변용(transformation)과 글로벌 재영토화(reterritorialization) = A Transformation of Tradition and a Global Reterritorialization : A Study of Some New Features of Indian Blockbuster Bollywood Films : Centering on Bajrangi Bhaijaan, PK, and Dhoom3 : 최근 인도 발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의 새로운 특징 분석 : <카쉬미르의 소녀>(2015), <피케이(PK): 외계에서 온 얼간이>(2014), <둠3>(2013)를 중심으로 강내영 pp.9-51

스페인 황금세기의 문학과 예술후원 연구 = A study on Patronage of literature and art in Spanish Golden Age 신정환 pp.281-300

문학적 풍자와 근대과학지식 사이에서 읽는 다니엘 켈만의『세계를 재다』 = Between Literary Satire and Modern Scientific Knowledge : Daniel Kehlmanns Novel The Measure of the World 김연수 pp.115-147

지식인의 '역할 role'과 '기능 funtion'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작가' 타부키와 에코의 논쟁연구 = The arguments of the post-modernist 'writers' Tabucchi and Eco on the 'role' and 'function' of intellectuals 박문정 pp.213-232

프랑스 르네상스기 주해문학에 나타난 근대적 주체의 등장에 관한 소고 = Study on the Subjectivity in the Literature of Comment during the French Renaissance 이선희 pp.401-421

문학 장르의 체계와 역사성 = On the system and historicity of literary genre 라영균 pp.195-212

인도네시아 현대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변모 양상 =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in Modern Indonesian Novels : From Sacrifice and Obedience to Revolt : 희생과 순종 그리고 저항 고영훈 pp.71-94

『源氏物語』에 나타난 의례와 남성 의복 = Ritual and noble costume in The Tale of Genji 김종덕 pp.175-194

「베오울프 Beowulf」에 등장한 괴물 그렌델 Grendel의 정체성 연구 = A Study on the Identity of Grendel in「Beowulf」 이동일 pp.379-399

<춘향전>과 <쿤창과 쿤팬의 이야기>의 애정담 및 여성의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ChunhyangJeon and The story of Khun Chang KhunPhaen with the love story and female consciousness 양민정 pp.301-327

하비에르 마리아스와 자의식적 픽션 = Javier Marías and Self-conscious Fiction : 『새하얀 마음』을 중심으로 전기순 pp.463-480

위스망스의『거꾸로』와 세기말의 성(性) = Sexuality of "fin-de-siècle" in A Rebours 유진현 pp.355-377

쁘렘짠드의 소설「이드가흐」(Īdgāh) = Premchand's Short Story Īdgāh : Harmony and Hindu-Muslim Coexistence : 힌두와 무슬림의 화합과 공존 이은구 pp.443-461

유럽 문학에 나타난 현대 기술문명의 상상력 = The imagination of modern technology and civilization as it appeared in European literature : based on the Iliad, the Odyssey, the One Thousand and One Nights and the French fairy tales of 17th century : 『일리아스』,『오뒷세이아』,『천일야화』, 17세기 프랑스 콩트 등을 중심으로 최은희 pp.481-510

문학적 주술과 욕망 서사 = Literary Charms and Narrative of Desire : Focused on Jasei no in : 「뱀 여인의 애욕」을 중심으로 김경희 pp.95-113

승화되지 않은 죽음 = Death Un-sublimated : The End of Literature and Theresa Hak Kyung Cha's Dictée : (국민)문학의 종언과 테레사 학경 차의『딕테』읽기 박선주 pp.233-252
「샐러리맨 센류」를 통해 보는 일본인의 의식 연구 = Contemporary Japanese thinking as seen through the study of 'Salaryman Senryu' 박혜성 pp.253-279

돈이란 무엇인가 = What is Money? : A Study of the Dual Narratives in L'Argent : 졸라의『돈』에 나타난 이원대립적 서사 연구 유기환 pp.329-353

신경에서 지낸 시인 백석 = Poet Baek Seok in Xinjing(新京, New capital) : 만주국 경제부, 백석 거주지, 조선인의 요설지역, 창씨개명 김응교 pp.149-174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nz, Thomas. Literatur und Lust, München, 1998. 미소장
2 Bakhtin, Mikhail. Speech Genre and Other Late Essays, Austin 1986. 미소장
3 Eichenbaum, Boris. “Das literarische Leben”, J. Striedter (Hg.), Russischer Formalismus, München, 1969, 463-481. 미소장
4 Gaiser, Gottlieb. Literaturgeschichte und literarische Institutionen. Zu einer Pragmatik der Literatur, Meitingen, 1993. 미소장
5 Goethe, Johann Wolfgang, Werke. Hamburger Ausgabe, hrsg. v. E. Trunz, Hamburg, 1965. 미소장
6 Gunkel, Hermann. Einleitung in die Psalmen, Göttingen, 1966. 미소장
7 Hempfer, Klaus W.. Gattungstheorie, München, 1973. 미소장
8 Horn, András. Theorie der literarischen Gattungen, Würzburg, 1998. 미소장
9 Jauß, Hans Robert. “Theorien der Gattungen und Literatur des Mittelalters”, H. R. Jauß u. E. Köhler (Hg.), Grundriß der romanischen Literaturen des Mittelalters, Bd. 1, Heidelberg. 1972, 107-138. 미소장
10 Jauß, Hans Robert, Literaturgeschichte als Provokation, Frankfurt a. M., 1979. 미소장
11 Jolles, André. Einfache Formen, Tübingen, 1972. 미소장
12 Marsch, Edgar. “Gattungssystem und Gattungswandel”. W. Haubrichs (Hg.), Probleme der Literaturgeschichtsschreibung, Göttingen 1979, 104-123. 미소장
13 Müller, Harro. “Literaturgeschichte und allgemeine Geschichte”, H. Brackert u. E. Lämmert (Hg.), Literatur. Frankfurt a. M., 1981. 미소장
14 Müller-Dyes, Klaus. “Gattungsfragen”, H. L. Arnold u. H Detering (Hg.), Grundzüge der Literaturwissenschaft, München, 1997, 323-348. 미소장
15 Meyer, Holt. “Gattung”, M. Pwchivanos u. a. (Hg.), Einführung in die Literaturwissenschaft, Stuttgart, 1995, 66-77. 미소장
16 Schnur-Wellport M.. Aporien der Gattungstheorie aus semiotischer Sicht, Tübingen, 1983. 미소장
17 Staiger, Emil. Grundbegriffe der Poetik, München, 1978. 미소장
18 Striedter, Jurij. Russischer Formalismus. Texte zur allgemeinen Literaturtheorie und zur Theorie der Prosa, München, 1981. 미소장
19 Suerbaum, Ulrich. “Texte, Gattung, Intertextualität”, B. Fabian (Hg.), Anglistischer Grundkurs. Einführung in die Literaturwissenschaft, Berlin, 2004, 81-123. 미소장
20 Tynjanow, Jurij. Die literarische Kunstmittel und die Evolution in der Literatur, Frankfurt a. M., 1967. 미소장
21 Voßkamp, Wilhelm. “Gattungen und Epochen in der Literaturgeschichte”, H. Brackert u. E. Lämmert (Hg.), Literatur, Frankfurt a, M., 1981, 170-192. 미소장
22 Voßkamp, Wilhelm, “Gattungen als literarisch-soziale Institutionen. Zu Problemen sozial- und funktions- geschichtlich orientierter Gattungstheorie und –historie”, W. Hinck (Hg.), Textsortenlehre – Gattungsge- schichte, Heidelberg, 1977, 27-42. 미소장
23 Wenzel, Peter. “Gattungsgeschichte”, A. Nünning (Hg.), Metzlers Lexikon. Literatur- und Kulturtheorie, Stuutgart, 1998, 174-175. 미소장
24 Wittgenstein, Ludwig.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Frankfurt a. M., 198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