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 사전의 구축을 위한 번역 전략 / 정호정 1
1. 들어가기 1
2. 왜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학습사전》에 주목하는가? 2
3. 사용자의 눈높이를 겨냥한 '충실한' 번역 4
4. 번역 과정의 설계와 앞으로의 과제 6
참고 문현 7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새로운 언어 사전과의 만남 : ≪우리말샘≫, ≪한국어기초사전≫, ≪한-외 학습사전≫ | 김선철 | pp.9-25 |
|
보기 |
한국어 웹 사전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생각 | 정철 | pp.27-41 |
|
보기 |
사전의 진화와 미래 | 배연경 | pp.43-63 |
|
보기 |
≪우리말샘≫ 편찬 결과 | 이현주 | pp.65-85 |
|
보기 |
≪우리말샘≫의 활용과 발전 방향 : 신어, 생활 용어의 구축 | 남길임 | pp.87-93 |
|
보기 |
신생 분야인 스마트 그리드 용어를 포함한 전기, 전자, 컴퓨터 분야의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집필 시스템 및 세계화를 위한 제언 | 김정훈 | pp.95-103 |
|
보기 |
≪우리말샘≫의 정착과 발전을 위하여 | 최경봉 | pp.105-109 |
|
보기 |
≪한국어기초사전≫과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학습사전≫의 편찬 경과와 의의 | 박정아 | pp.111-125 |
|
보기 |
≪한국어기초사전≫의 구축 | 강현화 | pp.127-130 |
|
보기 |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 사전의 구축을 위한 번역 전략 | 정호정 | pp.131-137 |
|
보기 |
한국어 학습 사전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 이동은 | pp.139-142 |
|
보기 |
시는 예술 이전에 언어문화다 : 김대행 서울대학교 명예 교수 [인터뷰] | 김대행 ; 이경우 [취재] | pp.143-158 |
|
보기 |
시조가 그린 그리움 | 조하연 | pp.159-167 |
|
보기 |
리투아니아의 언어 정책 : 러시아어의 배제와 축출을 향해서 | 정경택 | pp.169-191 |
|
보기 |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 이병근 | pp.193-206 |
|
보기 |
몇몇 웹 소설을 읽고 | 최인호 | pp.207-219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