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고려는 국초부터 여진에 대해 번인으로서 인식하며 기미정책을 유지하고 있었다. 여진인들의 대부분은 고려의 서계와 동계 주변에 흩어져 살면서 고려에 내조하여 물자를 얻어가면서 생활하였다. 때로는 고려의 국경을 침범하여 일찍부터 이들에 대한 방비태세를 갖췄다. 동여진에 대한 대책은 기본적으로 동계 방면에 성보를 축조하여 이들의 침구에 대비하였다. 그리고 이 군사기지에 주진군이 배치되어 군사적 대비를 하였다. 또한 궁노 등 다양한 무기들을 변경에 배치하기도 하였다. 고려는 거란 침략이후 커다란 침략을 겪지 않았는데, 이로 말미암아 군사적 역량이 약화되어 갔다. 숙종대 문제가 된 동여진은 문종 때 변경을 침범하여 두 차례에 걸친 정벌을 감행하였다. 동계가 안정된 이후 문제가 된 숙종 9년 이전에는 커다란 침구는 없었다. 여진의 오아속이 여진부족을 통합하고 함경도 지방으로 진출하면서 고려 국경에 위기를 가져왔다. 특히 정주관문 근처에 주둔하면서 고려를 위협하였다. 이에 숙종은 임간을 출전시켜 여진에 대한 군사작전을 전개하는데, 뜻하지 않게 패전하였고 이어 윤관을 보내 다시 정벌에 나섰으나 그 마저 실패하였다. 윤관은 적은 기병이고 아군은 보병이라서 패하였다고 하여 별무반 설치를 건의하였다. 별무반은 기병을 강화가 명분이었으나 기병은 생각만큼 강화되지 못하였다. 전마를 낼 수 있는 계층이 문무산관 정도였으며, 더 중요했던 것은 마상무예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별무반 내에는 弓과 弩가 중심이 되는 특수부대를 집중적으로 편성하였다. 경궁, 정노, 강노, 대각, 사궁 등이 그것으로 이들 무기는 오랜 훈련을 받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으며, 성보 등 방어시설에 들어가서 접근해 오는 적을 먼 거리에서도 사격을 할 수 있었다.

고려군은 17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여진정벌에 나섰으나 여진군의 본대와 대규모 전면전을 치루지 못하였다. 고려의 전술은 기동성을 바탕으로 여진의 본거지를 완전히 토벌하여 항복을 받아내는 것이 아니라 정주관으로부터 여진의 통로인 함주, 길주 등지로 이어지는 요충지를 점거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고려군은 대규모 공격작전 보다는 점령지역에 대한 성곽을 수축함으로써 수성전을 통해 여진의 침구를 막고자 하였다. 17만 명의 대군이 동원되었지만 실제 신보반에 소속된 주·부·군·현민들의 대부분은 전투병으로써 보다는 성보를 수축하는 공병적 성격의 부대를 이루었다. 이들은 기존의 주현군들이 대부분이었다. 고려의 여진정벌은 단순히 國恥를 씻기 위해 여진의 정치적 항복을 받아내기 보다는 거점 성을 구축하여 향후 장기적으로 고려의 영토로 편입하고자 한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 동북공정, 중국의 고구려 국가형성 및 초기 정치제제 연구 동향 =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Establishment and Primary Political Regime of Goguryo in China after the Northeast Project 曺泳光 pp.53-82

1920~30년대 북경지역 한인들의 사회주의 혁명운동 = Socialist revolution movements of Korean people in Beijing in 1920~30's 孫艶紅 pp.293-330

고려전기 義天撰『圓宗文類』所收 불교 문헌의 현황과 전승 = The Wonjong-Munryu's(圓宗文類) handing down and buddhism exchange of East Asia in 11-12th century 朴鎔辰 pp.111-146

漢陽都城의 개축과 지방 동원 체계의 변화 = The Change of regional mobiliz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Hanyangdoseong 申泳文 pp.183-212

조선후기 서울의 호구 변동과 인구기록의 특성 = A Study on the Census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Records in Seoul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 With a focus on the census data of Hanseongbu : 한성부 호구 자료를 중심으로 權奇重 pp.213-240

신라 통일기 罽衿幢·二罽幢의 설치와 확대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Gyegeumdang(罽衿幢)·Igyedang(二罽幢) in Unified Silla period 韓準洙 pp.83-110

고려 숙종·예종대 여진정벌과 별무반의 전술체계 = Goryeo's Conquest of the Jurchen and Tactical Systems of Byeolmuban during the Reign of Sukjong and Yejong 金洛珍 pp.147-182

1880년대 釜山海關·監理署의 개항장 업무 관할 체계 = The responsibility system for works by the Customs(海關) and the Superintendent Office(監理署) at Busan(釜山) Port in 1880s 閔會修 pp.241-272

영국의 산업혁명 = The British Industrial Revolution : the Duality of Tradition and Innovation : 전통과 혁신의 이중주 趙庸旭 pp.435-468

안중근과 빌렘 = Ahn Jung-geun and J. Wilhelem 張錫興 pp.273-292

야마나카 상회(山中商會)와 일본으로 유출된 한국 문화재 = Yamanaka & Co and the Korean cultural assets taken to Japan 朱洪奎 pp.403-434

조선족 해원 일기를 통해서 본 북한의 항일빨치산 투쟁사 활용과 문혁기의 '석동수 특무 조직사건' = The Utilization of Anti-Japanese Guerrila Warfare History in North Korea and 'Suk Dongsu(石東洙) Spy Organiz[at]ion Incident' at the Cultural Revolution through the Diary of a Chin[e]se Korean Interpreter of Film Haewon(海元) 廉仁鎬 pp.363-402

요령~서북한 지역 청동기(동검) 제작 기술의 전개를 통하여 본 고조선과 그 주변 = Go-Joseon and its periphery as seen through bronze(dagger) manufacture technology of Liaoning and Northwestern Korea 吳江原 pp.1-52

해방 직후 일본군의 한반도 점령 실태와 귀환 = Japanese army's policing and returning to the Korean Peninsula shortly after liberation 曺健 pp.331-362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려사』 미소장
2 『고려사절요』 미소장
3 『백전기법』,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5. 미소장
4 『풍천유향』,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90. 미소장
5 津田左右吉, 「尹瓘經略地域考」, 『朝鮮歷史地理』Ⅱ, 1913. 미소장
6 池內宏, 「完顔氏の曷懶旬經略と尹瓘の九城の役」, 『滿鮮歷史地理報告書』, 1921. 미소장
7 稻葉岩吉, 「高麗尹瓘九城考」, 『史林』 16-1, 1931. 미소장
8 Kil-chu fortress and Kong-hom Garrison 네이버 미소장
9 김상기, 「여진관계의 시말과 윤관의 북정」, 『국사상의 제문제』 4, 국사편찬위원회, 1959; 『동방사논총』, 서울대출판부, 1974. 미소장
10 이기백, 「고려 지방제도의 정비와 주현군의 성립」, 『조명기박사 화갑기념 불교사학논총』, 1965;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미소장
11 이기백, 「고려 주현군고」, 『역사학보』 29집, 1965;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미소장
12 이기백, 「高麗別武班考」, 『김재원박사회갑기념논총』, 1968;『고려귀족사회의 형성』, 一潮閣, 1990. 미소장
13 公嶮鎭과 先春嶺 碑 네이버 미소장
14 방동인, 「尹瓘九城再考」, 『白山學報』 21, 1976. 미소장
15 김구진, 「尹瓘九城의 範圍와 朝鮮六鎭의 開拓」, 『史叢 』 21ㆍ22, 1977. 미소장
16 홍승기, 「고려초기 중앙군의 조직과 역할」, 『고려군제사』, 육군본부, 1983 미소장
17 홍승기,『고려정치제도사』, 일조각, 2001. 미소장
18 김당택, 「別武班의 設置와 軍制의 변화」, 『高麗軍制史』, 육군본부, 1983. 미소장
19 나만수, 「高麗前期 對女眞政策과 尹瓘의 北征」, 『軍史』 7, 1983. 미소장
20 채웅석, 「고려전기 화폐유통의 기반」, 『한국문화』 9, 1988. 미소장
21 尹瓘勢力의 形成 네이버 미소장
22 高麗 肅宗代 降魔軍 組織의 政治的 背景 소장
23 숙종대 정국의 추이와 정치세력 소장
24 남인국, 『고려중기 정치세력연구』, 신서원, 1999. 미소장
25 김당택, 「高麗 肅宗⋅睿宗代의 女眞征伐」, 『동아시아의 역사의 환류』, 지식산업사, 2000. 미소장
26 11世紀後半~12世紀初 女眞征伐問題와 政局動向 소장
27 김병인, 「예종의 즉위와 측근세력의 형성」, 『고려 예종대 정치세력 연구』, 경인문화사, 2003. 미소장
28 임용한, 「여진전쟁」, 『전쟁과 역사』 2, 혜안, 2004. 미소장
29 정해은, 「고려의 여진정벌」, 『고려시대 군사전략』,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미소장
30 이홍두, 「고려의 여진정벌과 기마전」, 『군사』 6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7. 미소장
31 The Range of "the Nine fortresses in the Northea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동북 9성)" and the matter of the stone monument that was erected at Gong'heom-jin(公嶮鎭) in Goryeo Dynasty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