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현모양처’ 담론과 더불어 조선시대 여성 담론의 우위를 차지하는 ‘내조’라는 어휘가 조선시대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대변하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여성을 남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자로 한정하거나, 혼인 가정 내의 역할로 규정하는 역할을 했다는 관점에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정 구조를 드러내는 자품(資稟) 수사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남성 문인이 작성한, 이른바 ‘생애성찰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18세기 전장류(傳狀類), 비지류(碑誌類), 애제문(哀祭文) 및 동 시기의 여성 문인의 ‘문(文)’ 양식을 중심으로, 여성의 자품 수사를 분석하고, 그것이 결코 ‘내조’라는 어휘의 의미망 안에 수렴될 수도, 한정될 수도 없음을 논증했다.
이를 위해 첫째, 여성의 탁월성, 가치를 존중하는 ‘인정구조’ 속에서 통용된 여성 호칭, 둘째, 여성의 인격과 역량, 자질을 형용하는 자품 수사의 실상과 젠더 경계, 셋째, 남성을 차용한 여성적 자품 수사의 실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오늘날 어휘적 차원에서 조선시대의 젠더 차이를 보여준 것으로 간주된 상당부분이 젠더 경계를 넘나들며 활용되었음을 논증했다.
또한 여성의 ‘내조’에 대한 실질적 함의가 보조자가 아니라 권면과 격려, 지지의 감성 동력이며, 이는 감정이 아니라 성찰성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실제로 여성들은 삶의 현장에서 남성, 가족, 가문을 이끄는 상담자, 조언자, 훈계자, 엄사(嚴師)로서의 역할을 했고, 이를 당대적으로 인정받았다. 여성이 자녀를 양육할 때에도 신체적, 생물학적 성장 관리 이외에 교육 철학의 영역을 담당하는 스승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해명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인터넷 한국고전종합DB 사이트 http://db.itkc.or.kr | 미소장 |
2 | 강성숙 외,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8권, 보고사, 2010 | 미소장 |
3 | 이영춘, 「임윤지당(국역 윤지당유고)」, 혜안, 1998, 1-336면. | 미소장 |
4 | 이혜순·정하영 편역,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470면. | 미소장 |
5 | 허미자 편, 「조선조여류시문전집」 2, 태학사, 1988, 1-550면. | 미소장 |
6 | Gentry men's perception of women's writi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ranscriptional method | 소장 |
7 | A Study on Ways of Reading Yeobeom | 소장 |
8 | 모로오카 야스코(師岡康子), 조승미·이혜진 옮김, 「증오하는 입」, 오월의봄, 2015, 1-287면. | 미소장 |
9 | General Edition : Fictionalized aspects and meaning of "Confucian Lessons for women" -Focusing on Seolssinaebeom | 소장 |
10 | relation between Naehun(內訓) and its reference books ![]() |
미소장 |
11 | 조선시대 여성 지식의 성격과 그 구성원리 : 임윤지당과 강정일당을 중심으로 | 소장 |
12 | 姜靜一堂의 生涯와 學問 | 소장 |
13 | 이은선, 「조선후기 여성성리학자의 생애와 학문에 나타난 유교 종교성 탐구 : 임윤지당과 강정일당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7, 1-180면. | 미소장 |
14 | The Wife’s Life written by a Noblema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 The Power of Wife’s Assistance in the 26 Records of a deceased Wife’s Life | 소장 |
15 | The ethical textbook of women and literacy of women | 소장 |
16 | 이해진, 「여성'에서 ‘인간'으로, 주체를 향한 열망」, 「한국여성학」 30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14, 89-125면. | 미소장 |
17 | 이혜순·정하영 편역,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470면. | 미소장 |
18 | Im Yun-ji-dang`s Philosophy Considered as Discourse of Woman Introduction to Women`s Intellectual History in the Late Chosun ![]() |
미소장 |
19 | 이혜순, 「임윤지당의 정치담론: 조선후기 여성지성사 서술의 일환으로」, 「한국한문학회」 35집, 한국한문학회, 2005, 319-352면. | 미소장 |
20 | 任允摯堂의 傳 서술 방식과 여성의식 ![]() |
미소장 |
21 |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 : 향수를 넘어서 성찰로, 잃어버린 마음/행동/태도에 대한 책임의 인문학 | 소장 |
22 | Emotional Discipline and Female Life, Represented in Life History during the 18th Century | 소장 |
23 | Affect of Anguish and the Ethics of Hope: Investigation for Humanistic Reflectivity and Analogic Correspondence between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Classic /History | 소장 |
24 | 지속 가능한 '감성–성찰' 자원 구축을 위한 한국 '고전/전통' 자원의 재맥락화 | 소장 |
25 |
Feminism Reading of |
소장 |
26 | The expectaion and caution of the woman on the Kyuhunseo in Chosun dynasty | 소장 |
27 | Butler, Judith, 조현준 옮김,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1-376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