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현모양처’ 담론과 더불어 조선시대 여성 담론의 우위를 차지하는 ‘내조’라는 어휘가 조선시대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대변하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여성을 남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자로 한정하거나, 혼인 가정 내의 역할로 규정하는 역할을 했다는 관점에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정 구조를 드러내는 자품(資稟) 수사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남성 문인이 작성한, 이른바 ‘생애성찰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18세기 전장류(傳狀類), 비지류(碑誌類), 애제문(哀祭文) 및 동 시기의 여성 문인의 ‘문(文)’ 양식을 중심으로, 여성의 자품 수사를 분석하고, 그것이 결코 ‘내조’라는 어휘의 의미망 안에 수렴될 수도, 한정될 수도 없음을 논증했다.

이를 위해 첫째, 여성의 탁월성, 가치를 존중하는 ‘인정구조’ 속에서 통용된 여성 호칭, 둘째, 여성의 인격과 역량, 자질을 형용하는 자품 수사의 실상과 젠더 경계, 셋째, 남성을 차용한 여성적 자품 수사의 실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오늘날 어휘적 차원에서 조선시대의 젠더 차이를 보여준 것으로 간주된 상당부분이 젠더 경계를 넘나들며 활용되었음을 논증했다.

또한 여성의 ‘내조’에 대한 실질적 함의가 보조자가 아니라 권면과 격려, 지지의 감성 동력이며, 이는 감정이 아니라 성찰성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실제로 여성들은 삶의 현장에서 남성, 가족, 가문을 이끄는 상담자, 조언자, 훈계자, 엄사(嚴師)로서의 역할을 했고, 이를 당대적으로 인정받았다. 여성이 자녀를 양육할 때에도 신체적, 생물학적 성장 관리 이외에 교육 철학의 영역을 담당하는 스승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해명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구축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ated DB of dictionary compilation information 도원영, 신상현, 최경봉 pp.17-37

전거중심 인물정보 사전 편찬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uthority Centered Cyclopedia of Korean Historical Figures 양창진 pp.39-66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과 그 쟁점 = A Study on the Compilation of the Hunminjeongeum(1446) Terminology Dictionary and its Issues : 원본『訓民正音』(1446)의 <例義>를 중심으로 이상혁 pp.67-89

『한국 근대 행정구역 사전 : 1895-1963년』편찬 방법과 의의 = The Compilation Method and significance in Dictionary of Modern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1895-1963 이송순 pp.91-123

민주공화국과 역량강화의 정치 = A Democratic Republic and Politics of Empowerment 이재승 pp.129-165

경제민주주의 = Economic Democracy : Origin and Historical Context : 기원과 역사적 맥락 류동민, 이명헌 pp.167-194

분단의 마음과 환대의 윤리 = Minds of Division and Ethics of Hospitality : Focusing on 'Tagukki' rally and North Korean Migrants : '태극기'집회 참가자들과 탈북자를 중심으로 김성경 pp.195-227

동아시아 淸言小品의 전파와 향유 = The Dispersion and Appreciation of Cheongeon Sopum in East Asia 安大會 pp.231-260

숨기는 힘, 숨은 역량 = Hiding Power and Hidden Potentiality : Restructuring of Women's Social Role for Recapturing Respectable Language for Woman : Reflecting the Rhetorics of Women's Personalities and Capabilities during the 18th-Joseon : '내조'의 경계 해체와 여성 존경 언어의 회복을 위하여 : 18세기 조선의 '문(文)' 양식에 나타난 여성의 자품(資稟) 수사 재성찰 최기숙 pp.261-300

尊經閣 所藏『詩調』와 18세기 가집과의 친연성에 대하여 = The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hijo anthology Shijo(詩調), owned by and housed in the Jongyeongak(尊經閣) and other Shijo anthologies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강혜정 pp.301-327

역사 해석에서 외부성과 우연성 = Coincidences in history : Daedongbeop and Chosun-Qing Relation : 대동법과 대청관계 이정철 pp.329-352

신간회의 창립 과정 연구 = The Korean Communist Party Transforming Singanhoe(新幹會) from a Nationalist Association into the National Mass Party of Korea : 조선공산당의 활동을 중심으로 윤효정 pp.353-385

일제시기 재정통계의 활용과 해석의 지형 = Utilization of Finance Statistics and the Scope of Interpre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이명학 pp.387-420

반계 유형원의 평등사상과 도덕국가체제론 = Yu Hyongwon's Concept of Equality and Moral State System 정종원 pp.421-467

『고려대장경』을 통해 본 悉曇章의 세 측면 = A study on three aspects of Siddhavastu through the analysis of Tripitaka Koreana 강대현 pp.469-497

1980년대 결혼이민과 재일코리안 여성의 의식 변화= Marriage Immigration in the 1980s and Consciousness Change of Zainichi Korean woman. 1, Discrimination, Assimilation, Historical Recognition . 1, 차별, 동화, 역사인식 양아람, 이행선 pp.499-529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인터넷 한국고전종합DB 사이트 http://db.itkc.or.kr 미소장
2 강성숙 외,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8권, 보고사, 2010 미소장
3 이영춘, 「임윤지당(국역 윤지당유고)」, 혜안, 1998, 1-336면. 미소장
4 이혜순·정하영 편역,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470면. 미소장
5 허미자 편, 「조선조여류시문전집」 2, 태학사, 1988, 1-550면. 미소장
6 Gentry men's perception of women's writi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ranscriptional method 소장
7 A Study on Ways of Reading Yeobeom 소장
8 모로오카 야스코(師岡康子), 조승미·이혜진 옮김, 「증오하는 입」, 오월의봄, 2015, 1-287면. 미소장
9 General Edition : Fictionalized aspects and meaning of "Confucian Lessons for women" -Focusing on Seolssinaebeom 소장
10 relation between Naehun(內訓) and its reference books 네이버 미소장
11 조선시대 여성 지식의 성격과 그 구성원리 : 임윤지당과 강정일당을 중심으로 소장
12 姜靜一堂의 生涯와 學問 소장
13 이은선, 「조선후기 여성성리학자의 생애와 학문에 나타난 유교 종교성 탐구 : 임윤지당과 강정일당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7, 1-180면. 미소장
14 The Wife’s Life written by a Noblema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 The Power of Wife’s Assistance in the 26 Records of a deceased Wife’s Life 소장
15 The ethical textbook of women and literacy of women 소장
16 이해진, 「여성'에서 ‘인간'으로, 주체를 향한 열망」, 「한국여성학」 30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14, 89-125면. 미소장
17 이혜순·정하영 편역,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470면. 미소장
18 Im Yun-ji-dang`s Philosophy Considered as Discourse of Woman Introduction to Women`s Intellectual History in the Late Chosun 네이버 미소장
19 이혜순, 「임윤지당의 정치담론: 조선후기 여성지성사 서술의 일환으로」, 「한국한문학회」 35집, 한국한문학회, 2005, 319-352면. 미소장
20 任允摯堂의 傳 서술 방식과 여성의식 네이버 미소장
21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 : 향수를 넘어서 성찰로, 잃어버린 마음/행동/태도에 대한 책임의 인문학 소장
22 Emotional Discipline and Female Life, Represented in Life History during the 18th Century 소장
23 Affect of Anguish and the Ethics of Hope: Investigation for Humanistic Reflectivity and Analogic Correspondence between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Classic /History 소장
24 지속 가능한 '감성–성찰' 자원 구축을 위한 한국 '고전/전통' 자원의 재맥락화 소장
25 Feminism Reading of 소장
26 The expectaion and caution of the woman on the Kyuhunseo in Chosun dynasty 소장
27 Butler, Judith, 조현준 옮김,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1-376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