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요즘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간편 조리 할 수 있는 라면은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라면을 대상으로 여러 면류 영상광고의 소구유형(가족, 남성, 여성)을 분류한 후 각각의 제품특징을 분석하여 제품 포지셔닝 내용분석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미를 중요시하는 여성은 로(low)칼로리 포지셔닝하고, 남성은 남성적이고 화끈한 이미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광고를 포지셔닝하고, 라면의 맛과 광고의 특징이 여성, 남성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유형의 라면들은 가족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하에 라면 제품에 따른 메인타겟(목표소비자)의 포지셔닝 내용분석을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학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라면 영상광고의 경향을 보면 라면 종류의 맛, 특징에 따라 소비자 타겟의 다양성을 볼 수 있었다.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맛의 ‘짜파게티’, 담백한 맛의 ‘꼬꼬면’제품은 가족 중심의 광고로 따뜻함,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가족애를 보여주었고, 매운맛이 강한 ‘신라면’과 ‘진라면’ 광고는 어른들이 선호하는 매콤하면서도 얼큰한 맛을 군대와 야구를 연상할 수 있는 남성성을 어필하였다. 라면을 좋아하는 여성들도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는 칼로리가 적은 라면인 ‘컵누들’ 광고는 관능적임과, 날씬한 몸매의 여성성을 보여주었고, 오동통한 면발이 특징인 ‘너구리’ 제품 광고는 발랄하고 귀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제품의 특성과 소구유형으로 인한 메인타겟의 포지셔닝에서 가족성, 남성성, 여성성의 이미지가 소비자의 심리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Nowadays, ramen has become an indispensable food. We will classify the appeal types (family, male, and female) of ramen advertisements and analyze the product positioning by analyzing each product characteristic. Research shows, women who care about beauty are positioned as low calorie ads and men are positioned with ads that are full of masculine images. For ramen tastes and advertising not specifically directed at either women or men, are targeted towards the entire famil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ypes of ramen have famili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the positioning content of the main target (target consumer) is analyzed through the works of Roland Barthes' semio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ramen's television advertising, we could see variety of consumer targets according to tas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ular ramen. ‘JJapagetti’ and ‘Kokomyun’ showed advertisements with a lovely family concept that viewers can feel the fun and warmth of the family through the advertisement. For the much spicier ‘Shin Ramen’ and ‘Jin Ramen’, which is very spicy, prefer to appeal to men by showing advertisements full of masculinity, such as scenes from army duty and baseball. For women that enjoy ramen, they also can enjoy it with worrying according to ‘Cup noodle’, a ramen noodle that advertises low calorie content to women through a slim and sexy model/actress. For ‘Neoguri’, a ramen that’s unique characteristic is thicker noodles, focuses on cute and energetic theme. These advertisements show that the image of family, masculinity, and femininity have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 psychology in positioning of the main target due to product characteristics and appeal typ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올림픽 스포츠스타의 공신력이 국가평판과 생산제품태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Olympic Athlete's Credibility on Country Reputation and Attitudes toward Product : A Comparison of Jamaican Olympic Star Usain Bolt and Prime Minister Andrew Holness : 자메이카 올림픽스타 우사인 볼트와 국가지도자 앤드류 홀니스 총리 비교연구 진용주, 유재웅 pp.5-16

심뇌혈관 질환의 인식 개선을 위한 공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분석 = Olympic Sports Star, Country Reputation, Attitude Towards Product 조아라, 정정호 pp.17-30
디지털 네이티브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유형분석 = A Study on the Types of Communication Design in Digital Native Advertising 이가윤, 정정호 pp.31-42

웹사이트 평가요인을 활용한 브랜드 웹사이트 구축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of Brand Web site through Web site Evaluation Factor : Centered on the Result of Hyundai BNG Steel Web site : 현대비앤지스틸 웹사이트 구축 결과를 중심으로 홍영일 pp.43-54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s :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Presentation Type and Clutter Level : 커뮤니케이션 제시 형태와 클러터 수준을 중심으로 이현선 pp.55-68

한·일 편의점 PB제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 분석 = Visual elements analysis of PB product package design in Korea and Japan convenience store : Focus on Coffee Milk Package Design : 커피우유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변경원, 최인영 pp.69-80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의 개념과 기능 고찰 = A Conceptual and Function Study on Package design by Paradigm Change : Focused on Smart Package Design :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윤혜진 pp.81-92

교수학습시스템 만족도 분석을 통한 웹사이트 디자인 리뉴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ebsite Design Renewal through Analysis of Satisfaction on the Teaching-Learning System : Focus on the Case of Development of K University : 'K대학교' 개발 사례 중심으로 송영은, 권영애, 황성원 pp.93-110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이해도와 매체 태도가 광고 매체 호감도 및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nderstanding and medium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using netspeak on the preference and support for such advertisements 함의정, 성열홍 pp.111-122

프리미엄 브랜드 스토어 구축을 통한 스타일 매니지먼트 사례 연구 = A Study on Style Management Case Analysis through establishing the Premium Brand Store : Based on the Experience Design Construction Model : 경험 디자인의 구성 모형을 기반으로 신현희 pp.123-136

크로스섹슈얼 마케팅을 활용한 TV광고에서의 남성성에 대한 의미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s of Masculinity in TV Commercials Utilizing Cross-Sexual Marketing : Focusing on Rational and Emotional Products advertisement 2010-2015 : 2010년부터 2015년 이성제품과 감성제품 광고를 중심으로 김윤주, 서진영 pp.137-150

오행론에 근거한 한국 문화디자인의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Expandability of Korean Culture Design in the Five Natural Elements : Focus on 12 Zodiacal Animals as Culture Code : 문화코드로서 12지신을 중심으로 정유경 pp.151-160

한·중 대표 SNG UI 디자인 비교분석을 통한 사용성 연구 = A Study on Usability between Comparison of SNG User Interface Design from Korea and China : Focused on Puzzle Game of Kakaotalk and Wechat : 카카오 톡 및 웨이신 퍼즐게임을 중심으로 이소추, 고은영 pp.161-170

인터넷 기사가림형 팝업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Intrusiveness of Internet pop-up ads Interrupting Editorials on Attitude Toward pop-up ad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 Elicited by Internet News Articles : 인터넷 기사가 유발하는 감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경열 pp.171-184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시각디자인 분야 수상작의 디지털기술 특성 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Prize-Winning Works of the Korea Design Exhibition in the Categor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Focused on Works Recognized with Prizes from Heads or Higher-ranking Officials of Organizations from 1977 to 2015 : 1977~2015년 기관장급 이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민달식 pp.185-198

Korea Luxury 디자인 컨셉의 패키지디자인 개발 사례 = Cases of Developing the Package Design of Korea Luxury Design Concept : Focusing on the Renewal Cases of Esse Golden Leaf Package Design : 에쎼 골든리프 패키지디자인 리뉴얼 사례중심 박현경 pp.199-212

프리미엄 생수의 브랜드 이미지와 시각 요소 관련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Visual Elements of Premium Bottled Water : Focused on Twenty Brands of Domestic and Foreign and Premium Bottled Water : 국내·외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 20개를 중심으로 고지영, 최인영 pp.213-224

프랜차이즈 음식점 DID의 GUI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of DID for Franchise Restaurant 박은영 pp.225-236

중국 인기 화장품 브랜드의 용기 디자인 비교 분석 = Analysis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s Packaging Designs in China 김지연, 박지선, 김찬주 pp.237-248

라면광고 소구유형별 메인타겟의 포지셔닝 기호학적 연구 = Positioning semiotics of main target by advertisement appeal type : Familial, male, and female focused targets : 가족성, 남성성, 여성성 소구유형을 중심으로 서진영, 김윤주 pp.249-260

규합총서와 성호사설의 전통색 색명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color names between Gyuhapchongseo and Seonghosaseol : Focused on 10 traditional secondary color : 상극간색과 상생간색을 중심으로 정성환 pp.261-272

소비자의 감성어휘를 통한 아파트 브랜드이미지 평가 = An Evaluation of Apartment Brand Image By the Sensibility Vocabularies : Comparative analysis of Sensibility Image changes for Symbol Mark : 심볼마크에 대한 감성이미지 변화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정병국 pp.273-286

인간중심 디자인의 요소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Human-centered Design on Audiences' Attitude : Focusing on Desirability, Feasibility, and Viability : 적합성, 실현가능성, 지속성을 중심으로 구자준 pp.287-300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중 잡지광고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비교분석 소장
2 ∙ 김인숙, 다이어트 광고에 대한 제 3자 효과, 한국지역언론학회, 15권 4호, 2015. 미소장
3 한국 TV 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소장
4 Semiotic Analysis on Advertisement Expression of Men`s Toiletries 소장
5 ∙ 박유식, 성적소구광고에서 신체노출과 은유의 효과차이, 충북대학교, 2011. 미소장
6 ∙ 박일재․송광철,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성적소구(Sex appeal)광고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디자인포럼9권, 2004. 미소장
7 ∙ 손소영,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권 5호, 2013. 미소장
8 ∙ 손소영,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의 섹슈얼리티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권 1호, 2015. 미소장
9 ∙ 신성철, 현대 패키지디자인 소구유형의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Vol.15, 2004. 미소장
10 ∙ 유경진․정효선․윤혜현, 수도권 거주 성인의 라면류 섭취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2013. 미소장
11 Changes in representations of femininity and their ideological implications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is on TV automobile ads- 소장
12 광고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선호 유형에 관한 연구 소장
13 디자인 마케팅과 크리에이티브 포지셔닝 연구 네이버 미소장
14 Socio-cultural discourses of exercising female body in TV comedy program 소장
15 ∙ 조희선․백선기․양다진, 기업광고를 통해 본 가족신화와 젠더의 기호학적 의미, 대한하정학회지, 제48권 9호, 2010. 미소장
16 Persuasive Effects of Public Communication Using a Familistic Appeal: Based on the Comparison of Advertising Attitudes between South Korean and American Women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