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resent study analyzes Christian worship dance in terms of Christian theological aesthe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ocial phenomena of the Middle Ages.

First, worship dance was a religious ceremony led by priests. Moderate gestures and motions in accordance with doctrine were means of communication of performing the church doctrine to the people through the body. Second, worship dance was based on semiotics. Semiotics took an important role in religious ceremonies as the optimum theory for reproducing afterlife images. This was shown by circles, the supreme figure in semiotics, which expressed God.

Third, worship dance reproduced an afterlife direction through the body. The light of faith was the result of transcendence ruling man. Light inspired man, and the nonvisible mind was reproduced through the body to draw out a visible image. Worship dance allowed man to reform before God through the bod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퍼포먼스 개념으로 본 컨템포러리 댄스의 지식과 보존 담론 = Contemporary Dance, Knowledge, and Preservation Discourse : 머스 커닝험 무용단과 부퍼탈 탄츠테아터를 중심으로 정옥희 pp.97-119

기독교적 미학의 특징에 따른 서양 중세의 예배무용 분석 = An Analysis of Worship Dance according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during Western Medieval History 정보영, 박순자 pp.83-96

뤼진후이(黎錦暉) 아동가무극에 나타난 무용적 특성과 의의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Children's Musicals by Liu jinhui 이주희, 호열 pp.69-81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 시대 춤의 아우라(Aura) = The Aura of the Digital Media Era Dance : Based on Media Aesthetics by Walter Benjamin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매체미학을 기반으로 이동원 pp.55-68

미술관, 박물관이 신체표현 중심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 탐색 = A Study on an Integrated Artistic Education Program of the Gallery and Museum Focused on Dance 서예원 pp.39-53

중국 영화에서 춤 활용하기 = Dance in Chinese films : Focusing on Zhang Yimou :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김주희 pp.25-37

대학교 무용학과 교과과정 내 다문화 무용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 Culturally and Ethnically Inclusive Curriculum Design in Korean Dance Higher Education 박정선 pp.1-24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택광(2008). 중세의 가을에서 거닐다. 파주: 아트북스. 미소장
2 진중권(2014). 미학오디세이 I.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미소장
3 한국철학사상연구회(1989). 철학대사전. 서울: 도서출판 동녘. 미소장
4 홍덕선, 박규현(2009). 몸과 문화.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5 뒤비, G.(1999). 중세의 예술과 사회. 김웅권(역). 서울: 東文選. 2005. 미소장
6 빌라데서, R.(1999). 신학적 미학. 손호현(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1. 미소장
7 소렐, W.(1986). 서양무용사상사. 신길수(역). 서울: 예전사. 1999. 미소장
8 타타르키비츠, W.(1970). 미학사 2. 손효주(역). 서울: 미술문화. 2005. 미소장
9 프뤼도모, G.(1990). 무용의 역사Ⅰ. 양선희(역). 서울: 삼신각. 1995. 미소장
10 川野洋(1992). 예술·기호·정보. 진중권(역). 서울: 중원문화. 2010. 미소장
11 김명숙(2015). 종교의식의 의식무용화 작업에 관한 연구 : 육법공양(六法供養)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예술학회, 56: 23-37. 미소장
12 김수진, 박순자 2015). 중세 시대의 무용현상을 통한 무용의 발전방향 모색. 기독교 학문 연구회, 20: 7-38. 미소장
13 박영애(2006). 중세 시대의 교회무용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1: 1-23. 미소장
14 Significance of the Middle Ages’ Dance Art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소장
15 이명주(2005). 기독교무용에 나타난『죽음의 춤』과 도상해석학을 통한 의미체계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이미영(2006). 9-13세기 이태리ㆍ프랑스와 고려 의식무용 양식 비교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17: 161-199. 미소장
17 조찬래(2006). 중세시기 교황절대주의(papal absolutism) 관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6: 445-464. 미소장
18 최경희, 박영애(2016).기독교 무용 지도자 양성의 현황 및 개선 방향. 한국무용예술학회. 61: 73-86. 미소장
19 송유레(2013년 04월). 기호학으로 드러낸 기독교 황제의 절대적 神觀. 신동아. . 미소장
20 황효진(2016년 03월 30일). 지카 바이러스, 수혈로도 감염된다는데… 효과적인 예방책은?. 동아일보. . 미소장
21 Jean-Jacques Annaud(1986). Le Nom De La Rose, The Name Of The Rose. Warner Bros. (dvd, 131 minutes). 미소장
22 네이버 지식백과.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