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러 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러 관계 / 고재남 1
I. 문제의 제기 1
II. 오바마 행정부 하 한국의 대러 관계 현황 3
1. 미·러 관계의 악화와 한국의 대러 협력관계의 위축 3
2. 수교 25주년을 활용한 한·러 협력관계 복원 시도 6
3. 박근혜 대통령의 방러와 대러 협력 확대 모멘텀 재구축 7
III. 트럼프 행정부의 미·러 관계 개선 움직임 9
1. 관계 개선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 9
2. 트럼프 행정부하 미·러 관계 전망 12
IV. 한국의 대러 관계에 미칠 영향 1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동북아 세력정치의 귀환과 한국 안보 | 전봉근 | pp.7-21 |
|
보기 |
미국 우선주의가 한·미 관계에 미칠 영향 | 김진하 | pp.22-37 |
|
보기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변화 가능성과 한국의 대응방안 | 이희옥 | pp.38-51 |
|
보기 |
한반도 정세변화와 한국의 대일본 외교 재점검 | 조양현 | pp.52-64 |
|
보기 |
미·러 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러 관계 | 고재남 | pp.65-79 |
|
보기 |
미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적 힘을 통한 통상정책'과 향후 대응 방향 | 최원기 | pp.80-92 |
|
보기 |
북한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 손선홍 | pp.93-106 |
|
보기 |
전후 아랍세계의 형성과 중동 분쟁 | 정기종 | pp.109-122 |
|
보기 |
쿠바 미사일 위기와 북한의 핵·미사일 위기 | 장동철 | pp.123-135 |
|
보기 |
범지역적 현상으로서의 유럽 클럽축구 : 발전과정과 그 의의 | 신동민 | pp.136-142 |
|
보기 |
파리, 종교 갈등의 그늘에 서서 | 배상길 | pp.143-148 |
|
보기 |
이니스프리(Innisfree) | 이원영 | pp.149-154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