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독일유기농업 동향과 발전의 주요인 3가지 = The Current Status of Organic Agriculture and 3 Main Factors of it's Progress in Germany / 손상목 1

ABSTRACT 1

서언 1

독일 유기농업의 동향 2

독일 유기농업 발전의 주요인 3가지 4

1) 독일 유기노업연구소에서의 과학적 유기농업기술 개발 4

2) 독일대학에서의 유기농 교육 5

3) 유기농영농기술센터의 설립 운영 6

적요 7

REFERENCES 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내습성 옥수수 품종개발에 야생옥수수 테오신트의 이용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vailability of Wild Corn Teosinte to Develop Flooding-tolerant Maize Varieties 김상곤, 배환희, 이진석, 손범영, 백성범, Basil J. Nikolau, 김정태 pp.134-140

보기
국내육성 벼 품종의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미질관련 특성 변화 =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Grains Treated with Different Storage Periods and Temperatures 신운철, 김기영, 모영준, 남정권, 김정주, 박현수, 백만기, 조영찬, 김보경 pp.141-149

보기
수분 퍼텐셜에 따른 고구마 유식물체의 생장 반응 = Growth Response of Sweet potato Plantlets under Different Water Potential Conditions 남상식, 양정욱, 황엄지, 이형운, 이준설 pp.155-159

보기
간척지에서 사료용 피 계통들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Millet Varieties in the Reclaimed Tidelands 황재복, 박홍규, 구본일, 김학신, 조광민 pp.189-195

보기
유기재배 인삼 농가의 경영성과 분석 =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for Organic Cultivation in Panax ginseng C.A. Meyer 임진수, 박기춘, 윤은정, 최덕천 pp.160-171

보기
독일유기농업 동향과 발전의 주요인 3가지 = The Current Status of Organic Agriculture and 3 Main Factors of it's Progress in Germany 손상목 pp.95-102

보기
몽골의 감자산업 현황과 전망 =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Potato Production in Mongolia 임주성, 조현묵, 박영은, 조지홍, 조광수, 김화영 pp.112-119

보기
새마을운동 접근법을 활용한 미얀마의 농업 및 농촌 개발 방안 =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Measures Through Saemaul Undong Approach in Myanmar 임상봉 pp.120-128

보기
Construction of Complete DNA Marker set for 32 Korean Wheat Cultivar Identification Jae-Han Son, Young-Keun Cheong, Jong-Chul Park, Yang-Kil Kim, Kyong-Ho Kim, Tae-Il Park, Bo-kyeong Kim, Chon-Sik Kang pp.150-154

보기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무 육종 계통 저항성 평가 = Evaluation of Radish (Raphanus raphanistrum subsp. sativus L.) Inbred Lines Resistant to Cucumber mosaic virus 윤주연, 최국선, 김수, 최승국 pp.180-184

보기
성숙기 야간온도 차이에 따른 '흑구슬' 포도의 과실품질 = The Effect of Difference of Night Temperature During Ripening Period on Fruit Quality of 'Heukgoosul' Grape 이석호, 김승덕, 박재성, 홍성택, 홍의연, 정성민, 허윤영, 남종철, 박정관 pp.185-188

보기
Status of Vietnam's Agricultural Production, Trade and Policy = 베트남 농업생산량 및 무역 정책의 현황 Thi Thuy-Luu, Seon-Yeong Im, Dong-Jin Lee, Yong-Hwan Kim pp.103-111

보기
대중국 우리 수출쌀과 중국내 유통중인 고급 중단립종의 품질 차이 = Quality Differences in High Grade of Medium-short Grain Milled Rice Between the Exported Korean Rice and Chinese Circulating Rice in China 고재권, 이광원, 김기종, 백만기, 신운철, 전재범, 김우재, 정지웅, 강경호, 김현순, 김보경 pp.129-133

보기
약용식물 추출물의 포도나무 탄저병균 항균활성 및 병 발생억제 효과 =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Ripe Rot in Grapevines of Crude Extracts from 7 Medicinal Plants 김은수, 김승희, 윤해근 pp.172-179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Gerold Rahmann. 2016. ISOFAR President. von Thuenen Institute,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2 http://www.ecologyandfarming.com 미소장
3 http://www.agrar.uni.kassel.de 미소장
4 Martin Kuecke. 2016. JKI Institute. Institute of Crop and Soil Sciences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5 Organic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Kassel. www.uni-kassel.de/agrar 2016.6 15 미소장
6 Peter von Franstein. 2016. Dean of Organic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Kassel.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7 손상목. 2007. 유기농업: 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Page 292 미소장
8 영국의 유기농 영농기술이전 조직과 운영 소장
9 The Present State of Structure and Management of German Organic Center 소장
10 손상목. 2011. 외국의 유기농업 기술지도 현황 분석 및 모델 제시. 농촌진흥청 최종연구보고서 Pages 84. 미소장
11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Organic Demonstration Farm in Germany 소장
12 Ulrich Koepke. 2016. University of Bonn, Personal communication. 미소장
13 www.bmel.de/DE/Landwirtschaft/Nachhaltige-Landnutzung/Oekolandbau/_Texte/OekologischerLandbauDeutschland.html 미소장
14 www.bmel.de/Landwirtschaft/Nachhaltige-Landnutzung/Oekolandbau 미소장
15 Willer,H. and Schaack,D. 2016. Organic Farming and Market Development in Europe. PP 199-225, in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 Emerging Trends 2016. FiBL and IFOAM -Organics International. 340 Pages 미소장
16 Zenner,S. Bichler,H. Wesseler,M. and Hamm,U. 2006. The Faculty of Organic Agricultural Science University of Kassel. Boxan, Kassel, 39 page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