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경학사에서 이황의 《사서석의》는 선초(鮮初)에 유입된 명(明)의 성리학을 조선식으로 이해한 것이자, 이황만의 독특한 견해가 충실하게 반영된 텍스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이의 《사서석의》는 조선조 경서 언해의 지침을 마련하여 후대 학자들의 경서 해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서명의 두 텍스트는 간행 및 성서 과정에서 내부의 갈등, 확실하지 않은 유전(遺傳) 경로 등으로 인해 다소 오해의 소지를 남겼다.

본고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서명으로 간행된 《사서석의》의 차이를 구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학술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순서는 첫째, 16-17세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경서 해석 관련 자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두 학파에서 간행한 《사서석의》의 성서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을 거친 뒤 이 자료가 당대 및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 관련 자료는 ①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국학기관에 소장된 《사서석의》, ②소수박물관에 소장된 《퇴계선생용학석의변오》, ③경북대학교에 소장된 《사서석의》, ④금보의 《사서질의》, ⑤이덕홍의 《사서질의》 등 총 5종이 전존(傳存)한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이황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이황 직전제자들이 편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이다.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관본 언해의 오류를 수정한 16세기 기호학파의 대표적 경학 관련 자료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이이가 직접 편찬한 것으로, 대전본 소주 가운데 의문이 있는 대목을 선정하여 권주와 권점으로 평한 것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조선 중기 율곡학파 및 이후 우암학파-농암학파 계열의 주요 경서 해석 텍스트이자 대본이 되었다.

《사서석의》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제명(題名)으로 간행되었지만, 그 내력과 편찬 목적 등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석의》는 당대에 유통되던 구결과 석의를 총집(總輯)한 것이다. 그러나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후대 학자에 의해 서명이 부가된 것이며, 이이가 주안점을 둔 것은 대전본 소주와 언해의 올바른 해석 제시이다. 그러므로 두 텍스트는 서명만 동일할 뿐, 편찬 목적이나 성격, 내력, 전승 과정 등이 상이한 자료이다. 또한 두 텍스트는 학파 내에서 각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Sosu-Seowon : Focusing on Learn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김자운 pp.289-319

키에르케고어와 퇴계(退溪)가 본 심병(心病)과 그 극복 = Kierkegaard and Toegye : Psychosis and its healing : '순간(Øieblik)'과 '경(敬)'을 중심으로 이원진 pp.39-62

『논사록(論思錄)』을 통해 본 고봉(高峰)의 도학정신(道學精神) = The Study of Kobong's Dao Learning Spirit : Focusing on <NonSaRok(論思錄)> 이동건 pp.125-179

격치를 통한 율곡 독서방법론의 확장 = The Expansion of Yulgok(栗谷)'s Reading Method Theory through Gyeokchi(格致) 김원준 pp.181-213

이덕무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 Lee Deok-Mu(李德懋)'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Jingling school(竟陵派) 권정원 pp.255-288

조선시대 서원향사례 비교연구 = A Study on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 9대서원 향사의절을 중심으로 한재훈 pp.321-353

다산(茶山)의 인성교육 연구 = Research on Dasan's Education on Humanity : Focused on family caution : 「가계(家誡)」를 중심으로 진성수 pp.355-385

조선 유학(朝鮮儒學)의 일본 전파 경로에 관한 재론(再論) = The Reargument on the Japanese propagation route of Korean Confucianism 김언종 pp.215-254

柳宗元'反对以去孝出世'的思想探微 = 유종원의 '去孝出世 반대' 의 사상 연구 : 영주(永州) 서신을 중심으로 : 以永州书信为中心 崔在穆, 金明月 pp.387-406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 탐구 = Research on Public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Korea : Focusing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Kyoto Forum : 교토포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야규마코토 pp.491-538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 The study on differentiation of two Ch'engs philosophy through transmission aspect 박승원 pp.407-434

『명심보감』의 행복관 = Myoungshimbogams' viewpoint of happiness 성해준 pp.435-460

양명학의 도통론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Daotong in Yangming Studies 선병삼 pp.461-489

상호문화철학에 대한 제언 = Some Proposals on intercultural philosophy 박홍규 pp.539-567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 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 Chosun Confucianism's attention to Heavenly Mandate, and the significance of Toegye's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philosophy 강경현 pp.7-38

퇴계의 경의 관점에서 바라본『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도덕함' = 'Doing Moral' of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Viewed from Perspective of ToeGye(退溪)'s Gyeong(敬) : Focusing on <SeongHakSipDo(聖學十圖)>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중심으로 김민재 pp.93-123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사서석의(四書釋義)』간행(刊行)과 그 의의 = A Study of Toegye and Yulgok school of SASESUKYEI(四書釋義) publishing and its meaning 전재동 pp.63-92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상하(權尙夏), 한수재집(寒水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2 김장생(金長生), 사계전서(沙溪全書)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3 박세채(朴世采), 남계집(南溪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4 송병선(宋秉璿), 연재집(淵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5 송시열(宋時烈), 송자대전(宋子大全)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6 안정복(安鼎福), 순암집(順菴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7 이유태(李惟泰), 사서답문(四書答問)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미소장
8 이유태(李惟泰), 초려전집(草廬全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9 이이(李珥), 사서석의(四書釋義)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미소장
10 이이(李珥), 율곡전서(栗谷全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번역본 미소장
11 이재(李栽), 밀암집(密菴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12 이황(李滉), 퇴계집(退溪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미소장
13 미상, 퇴계선생용학석의변오(退溪先生庸學釋義辨誤) , 소수박물관 소장본(필사본) 미소장
14 미상, 퇴계사서석의(退溪四書釋義) , 경북대학교 소장본(필사본) 미소장
15 退溪의 『論語釋義』 小考 소장
16 李退溪 『四書釋義』에 나타난 經學的 特徵 소장
17 Korean History : A Study of Sa - rim`s Reformation late in the 16th Century 네이버 미소장
18 『經書釋義』를 다시 찾아 소장
19 이퇴계의 경서주해 연구,1 :문인에의 답서를 통하여 소장
20 이퇴계의 경서주해 연구,2 소장
21 退溪 經書釋義의 音注에 관하여 네이버 미소장
22 A Brief Review on the studies of Yulgok's annotation of the Four Books 소장
23 「論語栗谷先生諺解」의 번역학적 분석 소장
24 이동희, 「회재 이언적의 경학사상」,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 , 여강신서, 1988. 미소장
25 退溪 經學을 통해 본 조선주자학의 독자성 문제 네이버 미소장
26 이충구, 「경서언해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0. 미소장
27 전재동, 「16-17세기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과 그 의미-금보·이덕홍·조호익의 사서 해석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3, 한국국학진흥원, 2013. 미소장
28 艮齋 李德弘의 『四書質疑』 硏究 : 異本 檢討와 『論語』 解釋을 中心으로 소장
29 『四書釋義』成書 과정과 관련 자료의 書誌 분석 소장
30 草廬 李惟泰의『四書答問-大學』硏究 소장
31 『四書栗谷先生諺解』硏究 소장
32 『四書大全』黃氏·勉齋黃氏 註解 硏究 소장
33 청주고인쇄박물관, 한국의 옛 인쇄문화 , 2009, 174쪽. 미소장
34 최석기, 한국경학가사전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미소장
35 退溪의 『詩釋義』에 대하여 : 釋義 內容을 중심으로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