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石村 尹用求(1853~1939)의 《山水花鳥六幅屛風》 考察 = Six-panel folding screens of landscapes and birds and flowers by Yun Yong-gu, 1853-1939 / 김취정 1
I. 머리말 1
II. 《山水花鳥六幅屛風》구성과 특징 4
III. 《山水花鳥六幅屛風》의 畵風 考察 7
IV. 《山水花鳥六幅屛風》의 題畵詩 분석 17
V. 맺음말 22
참고문헌 24
국문초록 28
Abstract 29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朝鮮 15世紀 塔內 奉安 佛像의 考察 = Buddha images enshrined in fifteenth-century pagodas of Joseon | 이분희 | pp.5-30 |
|
보기 |
'獨聖'의 개념정립과 信仰에 관한 硏究 = The concept of Dokseong and their faith | 신은미 | pp.31-53 |
|
보기 |
조선 왕릉 石獸 연구 = Stone animal statues at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 김은선 | pp.55-82 |
|
보기 |
조선시대 倭鏡의 유입과 배경 = The transmission of Japanese mirrors in Joseon | 권주영 | pp.83-114 |
|
보기 |
개항기 '김홍도 풍속화'의 모방과 확산 = Imitations of genre paintings by Kim Hong-do during the "opening of ports" period in Korea | 신선영 | pp.115-142 |
|
보기 |
石村 尹用求(1853∼1939)의 ≪山水花鳥六幅屛風≫ 考察 = Six-panel folding screens of landscapes and birds and flowers by Yun Yong-gu, 1853-1939 | 김취정 | pp.143-171 |
|
보기 |
「감성(感性)과 오성(悟性) 사이, 한국미술사의 라이벌」, 이태호 저 [서평] | 고연희 [평] | pp.173-174 |
|
보기 |
「한국의 나한도」, 신광희 저 [서평] | 김정희 [평] | pp.175-176 |
|
보기 |
「그림 소담-간송미술관의 아름다운 그림」, 탁현규 저 [서평] | 김상엽 [평] | pp.177-178 |
|
보기 |
「모던·혼성-동아시아의 근현대미술」, 문정희 저 [서평] | 강민기 [평] | pp.179-18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大韓民國 國會圖書館 編, 『國朝榜目』影印本, 서울 : 國會圖書館, 1971. | 미소장 |
2 | 齋藤實(1858~1936), 『齋藤實文書』, 서울 : 高麗書林, 1990. | 미소장 |
3 |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官報』影印本, 서울 : 亞細亞文化社, 1985. | 미소장 |
4 | 邱燮友 註譯, 戴明坤 音, 『(新譯)唐詩三百首』, 台北 : 三民書局 , 1973. | 미소장 |
5 | 邱燮友 編著, 安秉烈 譯, 『(韓譯)唐詩三百首』, 대구 : 啓明大學校出版部, 1991. | 미소장 |
6 | 仇兆鰲(淸) 撰, 『杜詩詳註』(中國影印), 台北 : 商務印書館, 1976. | 미소장 |
7 | 金學淳, 『華棲集』, 1912, 고려대도서관, 서강대도서관, 충남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8 | 大韓民國 國會圖書館 編, 『國朝榜目』, 서울 : 國會圖書館, 1971. | 미소장 |
9 | 李秉延, 『朝鮮寰輿勝覽』, 1929, 국립중앙도서관, 경기대 금화도서관, 경기대 중앙도서관, 경북대 중앙도서관, 경상대도서관, 고려대도서관, 공주대도서관,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순천대도서관, 연세대 학술정보원, 영남대도서관, 울산대도서관, 전남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10 | 朴淵祚, 『曲阜聖廟慰安事實記』, 1931, 서강대도서관, 영남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11 | 白鳳洙, 『白經野堂遺稿』, 1912, 고려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12 | 蕭滌非·程千帆·馬茂元·思汝昌·周振甫·藿松林 編, 『唐詩大觀』, 上海: 商務印書館香分館, 1986. | 미소장 |
13 | 元昊, 『觀瀾先生遺稿』, 1926, 국립중앙도서관, 이화여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14 | 尹用求 譯編, 『正史紀覽』, 1909년. | 미소장 |
15 | 尹用求 編, 『國讌呈才唱詞抄錄』, 편찬 시기 1894년, 제작 시기 1901년. | 미소장 |
16 | 尹用求 編, 『徽琴歌曲譜』, 1893년, 서울대 규장각 소장. | 미소장 |
17 | 尹用求, 『碧樹山莊一覽』, 1913,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18 | 尹用求, 『亦睡軒琴譜』, 1894년. | 미소장 |
19 | 尹用求, 尹顯求, 『七絃琴譜』, 1885년, 청주대도서관, 연세대 중앙도서관 소장. | 미소장 |
20 | 殷芸, 김장환 역, 『小說』, 서울 :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 미소장 |
21 | 李白, 幸田露伴 校閱, 漆山又四郞 譯註, 『(譯註) 李太白詩選』上·下卷, 東京 : 岩波書店, 1957. | 미소장 |
22 | 田中鴻城 編, 『朝鮮紳士寶鑑』, 朝鮮出版協會, 1913. | 미소장 |
23 | 祝穆(宋) 編, 『事文類聚』(影印本), 서울 : 曺龍承, 1979. | 미소장 |
24 | 韓相晋, 『靜浦先生實記』, 1935, 경북대 중앙도서관, 안동대도서관, 영남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25 | 韓容麟, 『後齋遺稿』, 1926, 전남대도서관 소장. | 미소장 |
26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e-kyujanggak.snu.ac.kr | 미소장 |
27 | 승정원일기 웹사이트 : http://sjw.history.go.kr | 미소장 |
28 | 조선왕조실록 웹사이트 : http://sillok.history.go.kr | 미소장 |
29 | 한국고전종합DB : http://db.itkc.or.kr | 미소장 |
30 | 『2006년도 조사보고서』1,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6. | 미소장 |
31 | 『韓國歷代書畵家事典』下,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미소장 |
32 | 『한국음악학자료총서』16, 국립국악원, 1984. | 미소장 |
33 |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문화예술종합출판사, 1999. | 미소장 |
34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미소장 |
35 | 송방송, 『한국근대음악인사전』, 도서출판보고사, 2009. | 미소장 |
36 |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 미소장 |
37 |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 미소장 |
38 | 『東亞日報』 | 미소장 |
39 | 『매일신보』 | 미소장 |
40 | 『澗松文華 49-眞景時代 人物畵』, 서울 : 韓國民族美術硏究所, 1995. | 미소장 |
41 | 『澗松文華 64-近代繪畵名品』, 서울 : 韓國民族美術硏究所, 2003. | 미소장 |
42 | 『芥子園畵譜』 | 미소장 |
43 | 『芥子園畵傳』 | 미소장 |
44 | 『顧氏歷代名人畵譜』 | 미소장 |
45 | 『唐詩畵譜』 | 미소장 |
46 | 『墨香으로의 초대 : 한국 근현대 서화 100인전』, 서울 : 국민대학교 박물관, 2008. | 미소장 |
47 | 『선인들의 풍류와 아취-문인화』, 순천 : 순천대학교 박물관, 2004. | 미소장 |
48 | 『조선말기회화전 : 화원·전통·새로운발견』, 서울 : 삼성미술관, 2006. | 미소장 |
49 | 『한국 근대 서화의 재발견』, 학고재, 2009. | 미소장 |
50 | 『한국미술, 근대에서 길찾기展-추사에서 박수근까지』, 일주&선화 갤러리, 2010. | 미소장 |
51 | 『韓國書藝一百年 : 1848~1948』, 서울 : 예술의전당, 1988. | 미소장 |
52 | 『韓國의 墨迹 : 近三百年 先覺者의 遺墨』, 서울 : 延世大學校 博物館, 1987. | 미소장 |
53 | 『石田大穰-吴门画派之沈周』, 中國 蘇州博物館, 2012. | 미소장 |
54 | 『繪畵-南京博物院珍藏系列』, 上海古籍出版社, 1998. | 미소장 |
55 | 張萬夫 編輯, 『明四家畵集 : 沈周, 文徵明, 唐寅, 仇英』, 天津 : 天津人民美術出版社, 1993. | 미소장 |
56 | 鄭燮 繪, 王之海 責任編輯, 『揚州畵派書畵全集: 鄭燮』, 天津 : 天津人民美術出版社, 1998. | 미소장 |
57 | 『朝鮮王朝の繪畵と日本 : 宗達, 大雅, 若沖も學んだ隣國の美』, 大阪 : 讀賣新聞大阪本社, 2008. | 미소장 |
58 | 高秀翊, 『表具美學槪論』, 서울 : 고륜, 2007. | 미소장 |
59 | 吉川幸次郞, 조영렬·박종우 역, 『시절을 슬퍼하여 꽃도 눈물 흘리고 : 요시카와 고지로의 두보 강의』, 서울 : 뿌리와이파리, 2009. | 미소장 |
60 | 金彰顯, 「韓國文人畵槪觀-特히 四君子를 中心으로-」, 『澗松文華』11, 韓國民族美術硏究所, 1976.10, pp. 35-44. | 미소장 |
61 | 김취정, 「開化期 畵壇의 後援과 繪畵 活動 硏究」,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62 | 개화기 화단의 신경향과 잡화병 | 소장 |
63 | Art Patronage and Painting Activities in Seoul Painting Circles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 소장 |
64 | A Study of Seoul and Local Painting Circles in Early Modern Korea | 소장 |
65 | 김취정, 「韓國 近代期의 畵壇과 書畵 需要 硏究」,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66 | 변영섭, 「한국문인화의 보편성 이해(1)」,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2, 사회평론, 2006, pp. 574-593. | 미소장 |
67 | 변영섭, 「문인화 읽기[讀畵]와 사의성(寫意性) 이해」, 『미술사, 자료와 해석 : 泰弘燮先生賀壽論文集』, 일지사, 2008, pp. 15-54. | 미소장 |
68 | 설림(設林) :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 독화[讀畵]와 여백(餘白) ![]() |
미소장 |
69 | Improvement of Yeonhyang Akjang in the Reign of Gojong, Examined Through『Gukyeon Jeongjae Changsa Chorok(國연呈才唱詞抄錄)』 | 소장 |
70 | 송영주, 『중국시와 시인 : 고금 중국 삼대시인 이백과 두보와 왕유』, 서울 : 시간의물레, 2009. | 미소장 |
71 | 신은경, 『風流』, 보고사, 1999. | 미소장 |
72 | 안영길,「宋代 畵論에 나타난 形神論 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73 | 劉復烈 編, 『韓國繪畵大觀』, 서울 : 文敎院, 1969. | 미소장 |
74 | 이선옥,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난 선비의 마음』, 파주 : 돌베개, 2011. | 미소장 |
75 | 李成美, 『어진의궤와 미술사 : 조선국왕 초상화의 제작과 모사』, 서울 : 소와당, 2012. | 미소장 |
76 | 李順愛, 鄭東洙 共編, 『韓國의 傳統表具』, 서울 : 靑莪出版社, 1986. | 미소장 |
77 | 두순학시가의 현실성 | 소장 |
78 | 川合康三, 심경호 역, 『중국 고전시, 계보의 시학』, 서울 : 이회문화사, 2005. | 미소장 |
79 | 최열, 『근대 수묵 채색화 감상법』, 서울 : 대원사, 1996. | 미소장 |
80 | 최열, 「은일지사, 윤용구 행장」, 『인물미술사학』7, 인물미술사학회, 2011, pp. 47-144. | 미소장 |
81 | 석촌 윤용구, 학이 되어 천년 만에 돌아온 은일지사 ![]() |
미소장 |
82 | 홍선표, 「吾園 양식의 풍미와 근대적 표상 시스템」, 『월간미술』14권 5호, 2002. | 미소장 |
83 | 홍선표, 「미술의 근대적 유통공간의 개념의 등장」, 『월간미술』14권 8호, 2002, pp. 152-157. | 미소장 |
84 | 홍선표, 『한국 근대미술사』, 서울 : 시공사, 200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