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부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도시이자, 해양 도시로써 차별화된 도시브랜드 개발을 위해 다양한 해양관광 스토리발굴과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해양관광활성화를 위하여 ‘부산 해양레저 갈맷길’ 관광스토리텔링의 개발을 목적으로 부산 해양레저 및 갈맷길 현황조사를 통해 ‘관광스토리텔링 5단계 모형’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부산의 해양레저 갈맷길’ 콘텐츠의 스토리와 갈맷길 코스를 개발 하였고, 둘째, 부산 해양레저 갈맷길 스토리텔링 책 디자인을 위한 갈맷길 코스 맵과 그래픽요소를 디자인개발 하였다.
갈맷길은 해안가를 중심으로 조성된 걷는 길로 부산을 대표하는 관광콘텐츠 중 하나이며, 부산은 대표적인 해양레저의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이를 결합하여 새로운 부산만의 관광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관광객과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감성적 스토리와 정보를 담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해양레저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체험관광까지 이어 질 수 있을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ual dimension for tourism storytelling to Galmaetgil of Busan as a tourist destination | 소장 |
2 | 디지털부산문화대전-갈맷길, http://terms.naver. com/entry.nhn?docId=2818437&cid=55772&cate goryId=55849 | 미소장 |
3 | Evaluation for the Liking on the Oceanic Recreation Activity Type | 소장 |
4 | 한강희, “문화콘텐츠와 ‘관광스토리텔링’연구,” 전남도립대학교 논문집, 제8권, pp.163-165, 2006. | 미소장 |
5 | 우석봉, “부산의 새 블루오션 ‘해양레저산업’ 키워라,” BDI 포커스, 제37호, p.3, 2009. | 미소장 |
6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해양레저 육성 및 지원에관한 조례, 부산광역시, 제5470호, 2016. | 미소장 |
7 | 김희국, 권혁범, “부산 ‘체류형 해양레저’ 급물살,”국제신문, 2016.10.10.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161011.22001201603 | 미소장 |
8 | Global Vision of Marine Leisure Sports in Busan and Directions for Policy Setting | 소장 |
9 | 김영표, “해양레저참여자 특성분석을 통한 해양레저관광 발전방안,”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0권, 제3호, p.1692, 2008. | 미소장 |
10 | 이경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방안연구 : 전라북도 사례분석과 그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2호, p.315, 2009. | 미소장 |
11 | A Study on space storytelling and design for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of Seoul attractive spots | 소장 |
12 | 류인평, 조여호, 심우석, “관광스토리텔링과 관광목적지 매력,” 브랜드가치연구, 관광연구, 제29권, 제2호, p.185, 2014. | 미소장 |
13 | 김혜진,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가 관광목적지 매력 지각, 브랜드 자산,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집, p.14, 2010(8). | 미소장 |
14 | 강범규, 이보배, “부산울산경남 해양레저 콘텐츠&스타일,” 부산디자인센터, DIDIC, 2014. | 미소장 |
15 | 강범규, 이보배, “부산울산경남 해양레저 즐기기,” 부산디자인센터, DIDIC, 20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