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고, 여타의 교육과정보다 ‘인성교육’의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2018학년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될 교과서가 현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영어 교과서의 인성교육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인성교육 친화적인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영어 교과에서 적용 가능한 효율적인 인성교육 방법과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영어 교과의 특성과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인성교육 핵심요소 목록을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총 16종의 영어Ⅰ과 영어Ⅱ 교과서들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영어Ⅰ과 영어Ⅱ 교과서들은 흥미와 호기심, 다문화와 세계시민의식, 환경윤리의식 등 몇 가지 특정 인성 요소에만 과도하게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다양한 인성교육 요소를 폭넓게 접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내용 소재상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인성 요소인 자아수용, 자기표현, 도덕적 판단력, 협력․책임, 공감․수용 등의 요소들은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에 영어 교과의 효율적인 인성교육 접근 방법으로 과업중심학습(Task-based Learning)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등 학습자 중심 수업의 적용을 통해 과업과 협동학습의 형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신재한, 김현진과 오동환, 2013; 김만곤 외 16인, 2016). 학습자들에게 인성적 갈등 상황을 담고 있는 과업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그들이 그러한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목표 언어의 사용을 유도하며,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학생의 인성적 가치 내면화를 돕는 방식으로 수업과 교사 역할의 변화가 요구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변화 분석 =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Free Learning Semester :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 학교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동심 pp.101-121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요소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 Developing students' moral virtue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홍성우, 송해성 pp.25-49

'비판적 담화분석' 기반 비판적 수용의 통합 활동 개발 = Developing Integrated Activity of Critical Acceptance ba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Focusing on Integration with "Language and Media" : '언어와 매체'의 통합을 중심으로 김규훈, 김효연, 김다슬 pp.75-99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 요구 분석 = A Study on the Methods to Improve Hangul Literacy of Primary School Entrants 이승미, 박순경, 김중훈 pp.1-24

도덕·인성교육에서 신경 신화에 관한 비판적 성찰 = A critical reflection on neuromyths in moral & character education 추병완 pp.51-74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008). 인성교육. 서울: 양서원. 미소장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4].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3 교육부. (2015).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4]. 세종: 교육부. 미소장
4 김만곤, 신재한, 최정빈, 송영기, 손재윤, 김재광, 김진희, 서우철, 신연수, 김현진, 김수경, 박선영, 유은진, 최미란, 한정선, 노훈준, 윤영식. (2016). 모두가 행복한 인성중심배움수업 이야기.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5 An Analysi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소장
6 배두본. (2002). 영어교육학 총론.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7 배두본. (2014). 영어 교재론 개관: 이론과 개발.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8 Exploring the connectedness of listening tasks according to grad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소장
9 송해성. (2015). 지식의 효용성 제고를 위한 영어과 인성교육. 2015년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를 위한 고등학교 핵심교원 연수 자료집 (pp. 173-185). 국립공주대학교 인성교육중심수업지원센터. 미소장
10 신재한, 김현진, 오동환. (2013).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파주: 교육과학사. 미소장
11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Flipped Learning 소장
12 이영희, 송해성, 이은자, 이지현. (2015).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를 위한 고등학교 교수·학습자료: 영어. 세종: 교육부. 미소장
13 새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교과서의 방향 소장
14 The Revision of the English Curriculum and Recent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 in Korea 소장
15 An analysis and teaching of cultural contents in the first-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소장
16 The practical exemplification of producing English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소장
17 장복명. (1995). 제 6차 교육과정과 영어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8 정창우. (2015).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19 정창우, 김란, 이경은, 황광원. (2016).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구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 2013-6. 미소장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검정 심사 운영 방안(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5-9. 미소장
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018학년도 수능 영어 절대평가 학습안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 http://www.suneung.re.kr/sub/info.do?m=0401&s=suneung(검색일: 2017. 05. 10.) 미소장
23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Eugene, OR: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미소장
24 Second Language Learning Theories (review) 네이버 미소장
25 Cockrum, T. (2014). Flipping your English class to reach all learners: Strategies and lesson plans.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26 Ellis, R. (2003).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7 McGrath, I. (2002). Materials evaluation and design for language teaching. Edinburgh:Edinburgh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 Richards, J. C. (2001).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9 Skehan, P. (1998). A cognitive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0 Tharp, R. G., & Gallimore, R. (1988). Rousing minds to life: Teaching, learning and schooling in social contex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1 Tomlinson, B. (2012). Materials development. In A. Burns & J. C. Richards (Eds.), The Cambridge guide to pedagogy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pp. 269-27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2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