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 고전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본 〈운영전〉의 인물 성격 = The Character Study of Unyeong-jeon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Novels / 호길 ; 차충환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문제 제기 2

2. 기존 연구 검토 3

3. 〈운영전〉의 구조와 중국 고전소설과의 관련성 7

4. 〈운영전〉과 중국 고전소설, 인물 형상의 비교와 그 차이 15

4.1. 운영 15

4.2. 김 진사 19

4.3. 안평대군 23

4.4. 특 26

4.5. 유영, 자란, 무녀 29

5. 맺음말 30

참고문헌 32

Abstract 3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손창섭 전후소설의 초점화 양상 고찰 = The Study on Focalization Aspects of Sohn Chang-Seop's Postwar Novels : Focused on the Yusilmong and Chimong : <유실몽>과 <치몽>을 중심으로 강희안 pp.221-245

보기
<쌍주기연>의 보조인물 고찰 = Research on Assistant Characters in Ssangjugiyeon 윤보윤 pp.155-186

보기
한·중 여성소설의 전쟁 체험과 여성 주체성 형성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r Experience and Female Subjectivity Formation in Korean and Chinese Female Novels : 박완서의『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와 장졔(张洁)의『무자(无字)』를 중심으로 방문정 pp.247-275

보기
소나무 수용 시조의 작품 유형과 그 의미 = The types and meaning of Sijo accepting pine trees 변승구 pp.67-92

보기
중국 고전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본 <운영전>의 인물 성격 = The Character Study of Unyeong-jeon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Novels 호길, 차충환 pp.187-220

보기
<심청전>의 고전소설 수용양상과 그 의미 = Acceptance aspects and the meaning of classic novels in <Shimcheongjeon> 경일남 pp.43-66

보기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기녀의 양상과 서사적 기능 = Aspects and Narrative Functions of Gisaengs Appearing in Pansori-Based Novels 신효경 pp.93-121

보기
자모의 교육 목표와 그 교육 내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The Goal of Teaching Korean Alphabet and Reviewing its Contents : Focusing on Vowel Alphabets : 모음 자모를 중심으로 오광근 pp.5-42

보기
雲養 金允植의 '傳' 硏究 = A Study on the Unyang(雲養) Gim Yunsik(金允植)'s 'Jeon'(傳) 연민희 pp.123-153

보기
카자흐스탄 고려인 희곡의 고전 수용 양상과 의미 = Aspect and Meaning of Kareisky Drama's Reception of Korean Classics in Kazakhstan 송재일 pp.277-301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동욱 옮김, (교역) 태평광기언해 , 보고사, 2009-2011. 미소장
2 김현룡, 「 태평광기 에 나타난 신선고(神仙攷)-한국 고소설과의 상관성 고찰」, 국어국문학 52, 국어국문학회, 1971, 29-47쪽. 미소장
3 김현룡,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 , 일지사, 1977. 미소장
4 성현경, 「운영전」, 고전소설연구 , 일지사, 1990. 미소장
5 양승민, 「<운영전>의 연구 성과와 그 전망」, 고소설연구사 , 월인, 2002. 미소장
6 Unyeongjeon: Its Stylistic Features an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소장
7 한국 고전소설의『전등신화』수용 연구 :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소장
8 이병혁 역주, 전등신화 , 태학사, 2002. 미소장
9 이상구 역주, 17세기 애정전기소설 , 월인, 1999. 미소장
10 The Relativ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Romantic Novels 네이버 미소장
11 张紫微, 「从柳毅到崔生看唐传奇中文人形象的转变」, 文学界(理论版), 2013. 미소장
12 전용오, 운영전의 비교문학적 연구 , 지식과 교양, 2011. 미소장
13 田海花, 「侠肝义胆“昆仑奴”-试析《昆仑奴》中磨勒形象」, 剑南文学 经典阅读, No.3, 20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