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모든 우울증의 가장 깊은 배경에는 ‘근원적 상실’에 의한 공허감, 무의미함이 자리 잡고 있고, 그것을 극복하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은 ‘초월’과 ‘연결’의 감각을 회복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즉 본 논문에서 살펴본 한강의 『채식주의자』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다 외롭고 쓸쓸한 존재들이다. 모두 다 자기 나름대로 살고는 있지만, 진정으로 살아있지는 못하다. 즉 로버트 제이 리프톤이 말한 ‘형성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삶이다. 한마디로 모두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못하며, ‘근원적 실재’와의 상징적 통합도 이루지 못한 채, 자기만의 트라우마나 공허감에 갇혀 정체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면서 그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이 우울증과 자살충동이다. 그러한 그들의 모습이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들의 삶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로버트 제이 리프톤의 ‘형성화’ 개념을 중심으로 『채식주의자』에 나타난 우울증 증상과 자살충동이 현대인의 전반적 현상인 ‘근원적 상실’에 연유함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그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모색하였다.

This paper asserts that the deepest background of all depression lies in the emptiness and meaninglessness caused by ‘ultimate loss,’ and that the key to overcoming it is to restore the sense of ‘transcendence’ and ‘connection.’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Vegetarian by Kang Han are all lonely human beings. They live in their own way, but they are not truly alive. In their lives, they do not properly create what Robert J. Lifton calls a ‘formulation.’ They are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have no symbolic integration with ‘Ultimate Reality.’ They are living in a moribund life trapped by their own trauma or emptiness. At the same time, they all show sign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Therefore, by observing the novel, this paper examines human lives in modern times where depressions are prevalent, and suggests ways to solve such problem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도리스 레싱의 수피즘 = Sufism in Doris Lessing's The Memoirs of a Survivor : 『어느 생존자의 회고록』을 중심으로 박선화 pp.87-11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 Humanitie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박병준 pp.1-21

블레이크의 초기 예언시에 나타난 여성의 목소리 = The Female Voice in the Earlier Prophetic Poetry of William Blake 강옥선 pp.23-40

이청준의『당신들의 천국』에 나타난 유대감 회복 = The Restoration of Fellowship in Your Paradise by Chung-jun Lee 강준수 pp.41-64

SF 서사에 나타나는 과학기술시대의 '종교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ligious Experience' in the Age of Science & Technology Represented in SF Narratives 윤인선 pp.187-207

신동엽 시에 나타난 동학의 영적 체험과 구도(求道)의 형식 = The Spiritual Experience of Donghak and Forms of Religious Search in the Poetry of Dong-youp Shin : Focusing on "The Talking Ploughman's Earth"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를 중심으로 김희정 pp.65-85

반 버스커크의『과학과 종교』에 나타난 기독교 사회진화론 연구 = A Study of Christian Social Evolution in J.D. Van Buskirk's Science and Religion : 사회주의에 대한 대응과 20년대 지식 구성 송인화 pp.147-166

한강의『채식주의자』에 나타난 '근원적 상실'과 우울·자살충동의 상관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ltimate Loss' and Depression or Suicidal Impulse in Kang Han's The Vegetarian : Based on Robert J. Lifton's Idea of 'Formulation' : 로버트 제이 리프톤의 '형성화' 개념을 중심으로 배병훈 pp.111-145

토마스 아퀴나스의『신학대전』과 전통에서 보는 T.S. 엘리엇의『네 사중주』와『대성당의 살인』 = Four Quartets and Murder in the Cathedral in the Light of Thomas Aquinas's Summa Theology and the Tradition 양재용 pp.167-186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강 소설,『몽고반점』연구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에로티시즘과의 상관관계 연구 소장
2 베커, 어네스트. 『죽음의 부정』. 김재영 옮김. 고양: 인간사랑, 2008. [Becker, Ernest. The Denial of Death. Trans. Chae-young Kim. Goyang: Ingansalang. 2008. Print.] 미소장
3 Chidester, David. Patterns Of Transcendence. Belmont: Wadsworth, 2002. Print. 미소장
4 Eating and Trauma in Han Kang's The Vegetarian 소장
5 한강. 『채식주의자』. 파주: 창비, 2017. [Han, Kang. The Vegetarian. Pajoo: Changbi, 2017. Print.] 미소장
6 김재영. 『종교심리학의 이해』. 파주: 집문당, 2017. [Kim, Chae-young. Psychology of Religion: Special Reference on the Issues of Death and Dying Consciousness. Pajoo: Jipmoondang, 2017. Print] 미소장
7 김지훈. 한강의 『채식주의자』에 나타난 자기서사와 자기실현의 문제』 『한민족어문학』73 (2016): 507-31. [Kim, Ji-hun. “Issues of Self-Narrative and Self-Realization in Han Kang’s The Vegetarian.” Hanminjok Emunhak 73 (2016): 507-31. Print.] 미소장
8 Lifton, Robert Jay. Death in Life. New York: Random House, 1967. Print. 미소장
9 Lifton, Robert Jay. The Broken Connection.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79. Print. 미소장
10 오은엽. 한강 소설에 나타난 ‘나무’ 이미지와 식물적 상상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72 (2016): 273-95. [Oh, Eun-yeop. “The Image of a Tree and the Botanical Imagination in Han Gang’s Novel.” Korean Literature Theory and Criticism 72 (2016): 273-95. Print.] 미소장
11 A Glossematic Interpretation of Hangang’s The Vegetarian 소장
12 The Meaning of Being vegetarian in the Novels of Han Gang : Focusing on the 『Vegeterian』 소장
13 솔로몬, 앤드류. 『한낮의 우울』. 민승남 옮김. 서울: 민음사, 2014. [Solomon, Andrew. The Noonday Demon. Trans. Seung-nam Min. Seoul: Minumsa, 2002. Print.] 미소장
14 우미영. 주체화의 역설과 우울증적 주체 —한강의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30 (2013): 451-81. [Woo, Mi-yeong. “A Study of Paradox of Subjection and Its Melancholic Subject:Focusing on Han Gang’s Novel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30 (2013):451-81. Prin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