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비모수적 조기경보모형 방법론을 응용하여 금융부문을 은행, 증권, 저축은행 부문으로 나누어 금융 부문별로 조기경보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통합하여 통합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금융부문별 조기경보모형은 각 부문의 위기를 조기에 적절히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합한 통합조기경보모형도 금융전반의 종합조기경보모형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부문별 조기경보모형은 금융 부문의 특성에 맞추어 미시적 건전성 정책을 집행하고 금융안정을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 집행과 연계시키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New Approach to Computing Equilibrium in Incomplete Markets Dong Chul Won pp.1-21

Estimation of the impact of the statutory labor hours cut on labor earnings in Korea Hosin Song pp.22-35

금융부문별 조기경보 모형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Sector Early Warning System 박의환, 김동헌, 김균 pp.36-67

Feller제곱근 확률변동성모형에 대한 베이지언 MCMC알고리듬 =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algorithm for Feller square-root stochastic volatility modles 김태형, 박정민 pp.68-149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수(2009). 새로운 목적함수를 이용한 외환위기예측모형의 구축과 성과, 국제경제연구 제 11권 3호, 143-165. 미소장
2 김동헌·김균·박의환(2015). 금융경보지수 개발 및 금융부문별 응용에 대한 연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보고서. 미소장
3 김동헌·배병윤 (2013). 미국 금융시장 여건변화가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FCI를 중심으로, 금융안정연구 제14권 제1호, 75-107. 미소장
4 A Study on the Framework of Macroprudential Policy Instruments and It`s Application Method 네이버 미소장
5 Predicting Korea`s Currency Crisis 소장
6 2008년 위기 예측 가능했나? : 신호접근법 분석 소장
7 Global Financial Crisis and Early Warning 소장
8 Compar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Early Warning Systems for Currency Crises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9 박원암·최공필(1998). 한국 외환위기의 원인과 예측가능성, 한국경제의 분석 4권 2호, 1-73 미소장
10 銀行危機의 原因과 豫測可能性 네이버 미소장
11 금융연구원 (2012). 국내외 조기경보활동 동향 점검 및 금융시장 조기경보 모형 개선, 한국금융연구원 용역보고서. 미소장
12 Babecky, J., Havranek, T., Mateju, J., Rusnak, M., Smıdkova, K., and Vasıcek, B. (2014). Banking, debt, and currency crises in developed countries: Stylized facts and early warning indicators, Journal of Financial Stability 15, 1-17. 미소장
13 Assessing Fiscal Stress 네이버 미소장
14 Robust lessons about practical early warning systems 네이버 미소장
15 Predicting currency crises: - The indicators approach and an alternative 네이버 미소장
16 The Initial Impact of the Crisis on Emerging Market Countries [with Comments and Discussion] 네이버 미소장
17 Borio, C., and Lowe, P. (2002a). Asset prices, financial and monetary stability : exploring the nexu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114. 미소장
18 Borio, C., and Lowe, P. (2002b). Assessing the risk of banking crises. BIS Quarterly Review December, 43-54. 미소장
19 Borio, C., and Drehmann, M. (2009). Assessing the risk of banking crises–revisited. BIS Quarterly Review March, 29-46. 미소장
20 Bussiere, M., and Fratzscher, M. (2006). Towards a new early warning system of financial crises.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25(6), 953-973. 미소장
21 Caprio, G., and Klingebiel, D. (2002). Episodes of systemic and borderline banking crises. Managing the real and fiscal effects of banking crises,World Bank Discussion Paper, 428, 31-49. 미소장
22 Compar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Early Warning Systems for Currency Crise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네이버 미소장
23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Logit and Probit Early Warning Systems for Currency Crise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네이버 미소장
24 Davis, E. P., and Karim, D. (2008). Comparing early warning systems for banking crises. Journal of Financial stability, 4(2), 89-120. 미소장
25 Demirguc-Kunt, A., and Detragiache, E. (1997). The Determinants of Banking Crises; Evidence From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97(106). 미소장
26 CROSS-COUNTRY EMPIRICAL STUDIES OF SYSTEMIC BANK DISTRESS: A SURVEY 네이버 미소장
27 Drehmann, M., and Tsatsaronis, K. (2014). The credit-to-GDP gap and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s: questions and answers. BIS Quarterly Review 55. 미소장
28 Exchange Market Mayhem: The Antecedents and Aftermath of Speculative Attacks 네이버 미소장
29 Frankel, J., and Saravelos, G. (2012). Can leading indicators assess country vulnerability? Evidence from the 2008–09 global financial crisis.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87(2), 216-231. 미소장
30 Goldstein, M., Kaminsky, G. L., and Reinhart, C. M. (2000). Assessing financial vulnerability: an early warning system for emerging markets. Peterson Institute. 미소장
31 Gourinchas, P. O., and Obstfeld, M. (2011). Stories of the Twentieth Century for the Twenty-First . NBER Workinf Paper 17252. 미소장
32 Hoggarth, G., Reis, R., and Saporta, V. (2002). Costs of banking system instability: some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26(5), 825- 855. 미소장
33 IMF. (2007). Assessing Underlying Vulnerabilities and Crisis Risks in Emerging market Countries-A New Approach. 미소장
34 IMF. (2010). The IMF-FSB EarlyWarning Exercise–Design and Methodological Toolkit. IMF Occasional Paper. 미소장
35 Kaminsky, G., Lizondo, S., and Reinhart, C. M. (1998). Leading indicators of currency crises. Staff Papers, 45(1), 1-48. 미소장
36 The Twin Crises: The Causes of Banking and Balance-of-Payments Problems 네이버 미소장
37 The Aftermath of Financial Crises 네이버 미소장
38 Reinhart, C. M., and Rogoff, K. S. (2009b). This time is different: Eight centuries of financial fol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39 From Financial Crash to Debt Crisis 네이버 미소장
40 Cross-country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2008 crisis: Early warning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