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중국불교에서 신행단체(信行團體)의 전통과 현대적 과제 = The Religious Acts groups and Modern Challenges in Chinese Buddhism / 김진무 1
국문초록 1
I. 서언(緖言) 2
II. 중국의 신행단체의 출현과 전개 4
III. 근대 거사단체의 형성과 그 역할 15
IV. 결어(結語) : 중국불교의 신행과 그 현대적 과제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 T | 미소장 |
2 | 만신찬속장경(卍新撰續藏經) : X | 미소장 |
3 | [梁]慧皎撰, 「高僧傳」(T50) | 미소장 |
4 | [梁]蕭統集, 「文選」(원문출처: ‘百度文庫’, https://wenku.baidu.com/) | 미소장 |
5 | [隋]慧遠撰, 「涅槃義記」(T37) | 미소장 |
6 | 彌勒菩薩說, [唐]玄奘譯, 「瑜伽師地論」(T30) | 미소장 |
7 | [唐]遁倫集撰, 「瑜伽論記」(T42) | 미소장 |
8 | [唐]道宣撰, 「續高僧傳」(T50) | 미소장 |
9 | [唐]道宣撰, 「大唐內典錄」(T55) | 미소장 |
10 | [宋]志磐撰, 「佛祖統紀」(T49) | 미소장 |
11 | [宋]贊寧撰, 「大宋僧史略」(T54) | 미소장 |
12 | [明]幻輪彙編, 「釋鑑稽古略續集」(T49). | 미소장 |
13 | [淸]胡(王+延)述, 「淨土聖賢錄續編」(X78) | 미소장 |
14 | 釋東初(1987), 「中國近代佛敎史」上,下, 東初出版社. | 미소장 |
15 | 于凌波(1995), 「中國近現代佛敎人物志」, 宗敎文化出版社. | 미소장 |
16 | 任繼愈主編(1981), 「中國佛敎史」1,2,3,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미소장 |
17 | 김진무(2013), 「중국불교의 거사들」, 운주사. | 미소장 |
18 | 龐朴主編(1997), 「中国儒学」, 東方出版中心. | 미소장 |
19 | 佛日(1998), 「近现代居士佛教」, 「法音」 第5期, 中國佛敎協會. | 미소장 |
20 | 청말 묘산흥학과 근대불교학의 부흥 | 소장 |
21 | 중국 근대 居士佛敎의 성격과 사회적 역할 | 소장 |
22 | Accepting Buddhism and Policies of the Imperial Family of China ![]() |
미소장 |
23 | Péngjìqīng(彭際淸)'s Buddhism revival and layman Buddhism in Qing period | 소장 |
24 | 張國剛(2000), 「佛教的世俗化与民间佛教结社」, 「中国中古社会变迁国际学术讨论会论文集」, 中国中古社会变迁国际学术讨论会.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