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불교에서 신행단체(信行團體)의 전통과 현대적 과제 = The Religious Acts groups and Modern Challenges in Chinese Buddhism / 김진무 1

국문초록 1

I. 서언(緖言) 2

II. 중국의 신행단체의 출현과 전개 4

III. 근대 거사단체의 형성과 그 역할 15

IV. 결어(結語) : 중국불교의 신행과 그 현대적 과제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식이십론』한역 3본의 경명 변천과 역자 이설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scriptures' names and other claims about translator on three version translated into Chinese of THE TREATISE IN TWENTY VERSES ON CONSCIOUSNESS ONLY : Against Uihakuzu' argument that Bodhiruci translated this text at Wei dynasty : 宇井伯壽박사의 魏譯 '菩提流支'說에 대한 반론 구미숙 pp.3-28

보기
유식론에서의 식의 존재와 초기불교 수행체계에서의 식의 구현 = Existence of Consciousness for Yusiklon and Realization of Consciousness in the Training Methods of Early Buddhism 김근중 pp.29-61

보기
세친의 '직접지각의 자각(pratyakṣabuddhi: 現量覺)' 이해 = Vasubandhu's Understanding on 'Awareness of Direct Perception (pratyakṣabuddhi: 現量覺)' : In Relation to Viṃśatikāvijñaptimātratāsiddhi v.16th : 『唯識二十論』제16송과 관련하여 권오민 pp.63-92

보기
유식(唯識)과 기억[念]에 관하여 = On only a recognition[唯識] and memory[念] : focusing on Viṁśatikāvtti and Pramāṇavārttika : 『유식이십론』과『양평석』을 중심으로 권서용 pp.93-113

보기
양의 도살에 비유된 타심상속의 단절과 과보 = Termination and its result of saṃtānāntara described by sheep's death in vv. 18-20 in Viṃśatikā Vijñaptimātratāsiddhi : 『유식이십론』18~20시송과 자주를 중심으로 박기열 pp.115-138

보기
世親『유식이십론』제9게송 論考 = Investigation on the 9th Verses of Vasubandhu's Viṃṡatikā : especially, focusing on indriya is bīja : 특히, '근은 종자이다' 中心으로 유리 pp.139-164

보기
유식가 세친의 극미설 = The paramāṇu Theory of Vasubandhu, the Yogācāravādin : Focusing on the Types of Atomic Combination : 극미의 결합방식에 대한 일고찰 이규완 pp.165-197

보기
觀音신앙의 構造와 信行體系 = Structur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s Belief and System of Practice 이기운 pp.201-226

보기
중국불교에서 신행단체(信行團體)의 전통과 현대적 과제 = The Religious Acts groups and Modern Challenges in Chinese Buddhism 김진무 pp.227-252

보기
조선후기 불교 신행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 The Tradition of Buddhistic Religious Beliefs and Modern Succession in Late Joseon Dynasty 이종수 pp.253-276

보기
사찰기반 신행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ddhist activities in temple 이혜숙 pp.277-302

보기
도신(道信)의 선사상(禪思想)에 관한 고찰 = A Study for the Thought of Seon by Doshin(道信)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ientai : 천태(天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종두 pp.303-330

보기
『삼국유사』소재 여성주체설화의 수록배경 논구 =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collecting narratives of independent women in Samgukyusa(三國遺事) 구자상 pp.331-360

보기
불탑 선관의 연원과 전개사 고찰 = A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Visualization Practice on Buddha Stupa 김성호 pp.363-386

보기
불교의식무용과 영산재 = Buddhist Ritual Dance and Yeongsanjae : Focusing on classifying Buddhist dance into Jakbeopmu and Yeongsanjae Jakbeopmu in the scriptures : 경전에 보이는 작법무와 영산재 작법무 분류 중심으로 김화미 pp.387-412

보기
作風 및「改金記」를 통해본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불좌상의 편년 연구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the Bulamsa Temple's Seated Wooden Statue of Sakyamuni Buddha in Namyangju Through its Style(作風) and Kaegeumgi(改金記) 고승희 pp.413-432

보기
石坡 李昰應 書畵의 無心境界의 心卽是禪的 審美體現 考察 =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Mind is Zen in Seokpa Lee Ha-eung's Calligraphy and Paintings 김명주 pp.433-466

보기
詩를 통한 鏡峰의 오후 보림과 점검 = Gyeongbong's Borim and Inspection through poetry 최두헌 pp.467-501

보기
단기출가 경험자의 출가 수행생활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fe of Sangha who had a short-term experience : Focused on example of people who graduated sangha in short term in Woljeongsa temple : 월정사 단기출가 수료자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귀, 조성희 pp.503-529

보기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Buddhist viewpoint of clinical application of heterologous organs 김민주, 윤종갑 pp.531-550

보기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 T 미소장
2 만신찬속장경(卍新撰續藏經) : X 미소장
3 [梁]慧皎撰, 「高僧傳」(T50) 미소장
4 [梁]蕭統集, 「文選」(원문출처: ‘百度文庫’, https://wenku.baidu.com/) 미소장
5 [隋]慧遠撰, 「涅槃義記」(T37) 미소장
6 彌勒菩薩說, [唐]玄奘譯, 「瑜伽師地論」(T30) 미소장
7 [唐]遁倫集撰, 「瑜伽論記」(T42) 미소장
8 [唐]道宣撰, 「續高僧傳」(T50) 미소장
9 [唐]道宣撰, 「大唐內典錄」(T55) 미소장
10 [宋]志磐撰, 「佛祖統紀」(T49) 미소장
11 [宋]贊寧撰, 「大宋僧史略」(T54) 미소장
12 [明]幻輪彙編, 「釋鑑稽古略續集」(T49). 미소장
13 [淸]胡(王+延)述, 「淨土聖賢錄續編」(X78) 미소장
14 釋東初(1987), 「中國近代佛敎史」上,下, 東初出版社. 미소장
15 于凌波(1995), 「中國近現代佛敎人物志」, 宗敎文化出版社. 미소장
16 任繼愈主編(1981), 「中國佛敎史」1,2,3, 中國社會科學出版社. 미소장
17 김진무(2013), 「중국불교의 거사들」, 운주사. 미소장
18 龐朴主編(1997), 「中国儒学」, 東方出版中心. 미소장
19 佛日(1998), 「近现代居士佛教」, 「法音」 第5期, 中國佛敎協會. 미소장
20 청말 묘산흥학과 근대불교학의 부흥 소장
21 중국 근대 居士佛敎의 성격과 사회적 역할 소장
22 Accepting Buddhism and Policies of the Imperial Family of China 네이버 미소장
23 Péngjìqīng(彭際淸)'s Buddhism revival and layman Buddhism in Qing period 소장
24 張國剛(2000), 「佛教的世俗化与民间佛教结社」, 「中国中古社会变迁国际学术讨论会论文集」, 中国中古社会变迁国际学术讨论会.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