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What is the status of women in Islamic society and in the home? In particular, what is the status of women in Iran, Shi’ite Islam country?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viewpoint of woman that is shown in Iran's Shi’ite Ulama, S.M. Khamenei's work, The Philosophy of Being a Woman. It is because the female view of S.M. Khamenei, who is Ulama, is judged to represent Iranian Shi’ite sect Muslims, especially the female viewpoint of Ulamas.

S.M. Khamenei emphasizes the fact that European Christian society has a wrong viewpoint of woman based on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that it is contrary to nature (natural law), and he also emphasizes that Islam has a female viewpoint according to God's law, nature (natural law) principle. However, if we evaluate based on modern feminist perspectives including Islamic feminism, S.M.Khamenei‘s viewpoint of woman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position of Islamic fundamentalism. It needs to be reinterpreted and applied in the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 of Shariah's provisions on women.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대성․조희선․정상률․김정아․유달승(1994). 『이슬람사회의 여성』,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 이슬람의 여성관 소장
3 문은영(2001). 「이슬람문화와 여성의 정치 참여: 이란 사례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4 The Reinterpretation on the Traditional Women`s Role in Islamic Society - An Iranian Case Study - 네이버 미소장
5 벨 훅스 지음, 이경아 역(2017).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파주, 문학동네. 미소장
6 서미화(2013). 「이슬람 여성베일에 나타난 양가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Muslim Women's Veiling : The Shift from Political System to Religious Symbol 소장
8 오은경(2003). “이슬람 여성과 전쟁,” 「여성과 평화」. 미소장
9 이슬람 여성의 할례를 보는 다양한 시각에 대한 소고 소장
10 유달승(2004). “이란여성,” 김대성․조희선 외 『이슬람사회의 여성』,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1 이수인(2014). “이슬람근본주의자들에 맞서는 무슬림여성주의자들의 실천전략,” 「한국여성학」 30(1). 미소장
12 이인섭․이훈동․계경문․곽순례․박재원․이명원(2016). 『파트와를 통해 본이슬람 사회의 규범과 현실: 가족 문화 관련 파트와』, 서울, 세창출판사. 미소장
13 정상률(2004). “사우디아라비아 여성,” 김대성. 조희선 외 『이슬람사회의 여성』,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4 조희선(2009). 『이슬람여성의 이해: 오해와 편견을 넘어서』, 서울, 세창. 미소장
15 조희선(2015). 『변화하는 무슬림 여성: 코란, 하디스, 이슬람법 샤리아에서 여성 읽기』, 서울, 세창출판사. 미소장
16 최영길(2010). 『꾸란 주해 연구』, 서울, 세창출판사. 미소장
17 한국 영미문학 페미니즘 학회(2000).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서울, ㈜민음사. 미소장
18 홍성주(2016). “민족전통으로서의 여성 할례와 성적억압,” 「여성학연구」 26(2),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미소장
19 아프리카의 여성할례와 문제점 네이버 미소장
20 Heywood, Andrew. 김계동 옮김(2016). 『국제관계와 세계정치』, 제17장 “세계정치에서의 젠더,” 서울, 명인문화사. 미소장
21 Abdalati, Hammudah(1997). Islam in Focus, Doha-Qatar, A Publication of the Ministry of Awqaf & Islamic Affairs. 미소장
22 Graves, Alison E.(1996). “Women in Iran: Obstacles to Human Rights and Possible Solutions,” Social Policy & the Law.5, no.1(American University Journal of Gender), pp.57-92. 미소장
23 Kandiyoti, Deniz(1996). “Contemporary Feminist Scholarship,”Gendering the Middle East, Syracus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4 Khamenei, Ayatollah S.M(2007). The Philosophy of Being Woman, Sadra Islamic Philosophy Research Publication. President of the Iranology Foundation (http://91.98.46.102:8100/president.aspx 2017/08/17). 미소장
25 IslamReligion.com(2008). “Justice as a basic objective of Islam and a moral virtue, and the standard of justice envisaged by the Koran.” (http://www.islamreligion.com/articles/376 2017/8/28). 미소장
26 Rudolph Touba, Jacquiline(1985). “Effects of the Islamic Revolution on women and the Family,” Women and the Family in Iran 13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