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Ethnically-based Sporting Culture Among the 1.5-2nd Generation Korean-Australian Children | 소장 |
2 | Necessity of Bilingual Education and a Policy Suggestion | 소장 |
3 | Everyday Information Practices of 'Isolated' Adolescents : A Case Study of New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U.S. | 소장 |
4 | 교육부 아이디어팩토리, (2011), 어려움을 극복하고 호주에서 우뚝 선 한국 청년, http://if-blog.tistory.com/1057(인출일; 2016. 9. 1.). | 미소장 |
5 | 김민경, (2014), 다문화가족 청소년 개인문화적 요인, 부모 및 가족요인과 진로성숙도와의관계,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35-53. | 미소장 |
6 | A Comparative Study Regarding New Identity 'Korean-American' | 소장 |
7 |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소장 |
8 | 김이선, 정해숙, 이은아, 채수홍, (2010), 다문화가족의 언어, 문화사용 및 세대 간 전수에 관한 연구: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Ⅳ),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3-1. | 미소장 |
9 | 김종선, (2015),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청소년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혜민, (2011),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효영, (2011),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노충래, 홍진주, (2007),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서울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2, 127-159. | 미소장 |
13 |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소장 |
14 | Impact of Bilingual,Bicultural Home Environment on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Outcomes ![]() |
미소장 |
15 | A Study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 Focused on Korean children and mothers living in U.K. | 소장 |
16 |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해외이주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 소장 |
17 | 박휴용, (2008), 언어자본과 언어전환: 한/영 이중어구사 학생들의 모국어학습과 언어정체성, 이중언어학, 36, 137-166. | 미소장 |
18 | A Study on Differences that Newly Arrived Korean Junior High Students Recognized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chool Experience: In the Perspective of School Social Work Intervention | 소장 |
19 | 신윤진,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과 또래관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여성가족부, (2016), 2015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 미소장 |
21 | 외교부, (2017), ,2015 재외동포현황, 서울: 외교부 | 미소장 |
22 |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 | 소장 |
23 | 윤아름, (201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다문화 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 소장 |
25 | Acculturation Type and Acculturation Stress of Korean Cross-Culture Kids(CCKs) in Asian Countries | 소장 |
26 | 서울 지역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교육 주체의 요구 조사 | 소장 |
27 | 임언, 정윤경, 상경아, (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01-19. | 미소장 |
28 | 장은영, (2011), 한국어를 배워야 하나요?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다중 사례연구, 이중언어학, 47, 139-164. | 미소장 |
29 | 장인옥, (2013), 캐나다 거주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의 민족정체성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한국 다문화사회에 있어서 이주민의 이중문화 정체성과 사회문화적응의 관계 ![]() |
미소장 |
31 | 중앙일보, (2012), 사설: 호주의 인종증오 범죄를 우려한다, http://news.joins.com/article/10008742(인출일: 2017. 4. 16) | 미소장 |
32 | 최동선, (2003), 청소년 진로개발을 위한 정책 방향성 탐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 03-R21. | 미소장 |
33 | 최윤희, (2009),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한국고용정보원, (2017), 2017 한국직업전망, 음성:한국고용정보원. | 미소장 |
35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36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Ⅲ: 총괄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37 | 한호일보, (2017), 한인청소년도 우울증, 알콜, 마약 문제 사각지대에, http://www.hanho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731(인출일;2017. 4. 16) | 미소장 |
38 | 허소린, 최윤화, (2015), 한글학교교육이 미국대학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 및 학습동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교육, 26(3), 287-318. | 미소장 |
39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
미소장 |
40 | Cognitive Complexity and Attentional Control in the Bilingual Mind ![]() |
미소장 |
41 |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Mexican Youth: The Relationship of Bilingualism ![]() |
미소장 |
42 | Bilingualism: The good, the bad, and the indifferent ![]() |
미소장 |
43 | The Role of Heritage Language in Soci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Reflections from a Language Minority Group ![]() |
미소장 |
44 | Language Proficiency and Academic Success: Relationships between Proficiency in Two Languages and Achievement among Mexican American Students. ![]() |
미소장 |
45 | Giles, H. and Coupland, N., (1991), Language: Contexts and Consequences. Pacific Groove, CAl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46 | The relationship of ethnic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mong Latino/a high school students ![]() |
미소장 |
47 | Hinton, L., (1999), Involuntary language loss among immigrants: Asian American linguistic autobiographies, In a Alatis and Tan(ed.)Language in Our Time: Bilingual Rducation and Official English, Ebonics and Standard English, Immigration and the Unz Initiative, 203-252.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 미소장 |
48 | Hoffman, C., (1991), Introduction to bilingualism, New York, NY: Longman. | 미소장 |
49 | Self-reported biliteracy and self-esteem: A study of Mexican American 8th graders ![]() |
미소장 |
50 | Correlates of Korean immigrants' mental health. ![]() |
미소장 |
51 | Acculturation and Hope as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mong Korean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 |
미소장 |
52 | Kerka, S., (1992),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and Development, Eric Digest, 123, 1-8. | 미소장 |
53 | Kline, T. J., 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54 | Psychological impact of biculturalism: evidence and theory. ![]() |
미소장 |
55 | Lambert, W., (1975), Culture and language as factors in learning and education. In a Wolfgang(ed.) Education of Immigrant Students, Toronto: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 미소장 |
56 | Lee, J. S., (2002), The Korean language in America: The role of cultural identity in heritage language learning, Language, Culture, Curriculum, 15(2), 117-133. | 미소장 |
57 | Lee, K. S., (1994), Korean American cultural identification: Effects on mental stress and self esteem,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58 | Acculturation, Language Use, and Demographic Variables as Predictors of the Career Self‐Efficacy of Latino Career Counseling Clients ![]() |
미소장 |
59 | Acculturation, Enculturation, Ethnic Identity, and Conscientiousness as Predictors of Latino Boys' and Gir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
미소장 |
60 | The relation of bilingualism to intelligence. ![]() |
미소장 |
61 | Portes, A. and Rumbaut, R. G., (1990), Immigrant America.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62 | Quintana, S. M., (2007), Racial and ethnic identity: Developmental perspectives and research,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54, 259-270. | 미소장 |
63 | Assessing the long-term effects of an experimental bilingual–multicultural programme: implications for drop-out prevention, multicultural development and immigration policy ![]() |
미소장 |
64 | Rifenbary, D., (1991),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issues in career development, Albuquerque: University of New Mexico(ED 338940). | 미소장 |
65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and Teaching Practice: How Do They Fit? ![]() |
미소장 |
66 | Bilingualism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Sample of Elderly Hispanics ![]() |
미소장 |
67 | Wu,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30499844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