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 구석기고고학사 시론 = A Short History of Paleolithic Archaeology in Korea: Achievements and Challenges / 성춘택 1
목차 1
요약 2
I. 머리말 3
II. 학사를 보는 시각 4
III. 구석기고고학의 형성 6
1. 1950년대까지 6
2. 굴포리와 석장리 8
IV. 이후 지역별 조사의 진전 10
1. 1970년대에서 80년대까지 10
2. 1990년대 이후 11
V. 북한의 구석기고고학 15
VI. 구석기고고학의 주제와 과제 17
1. 연구주제 17
2. 자연과학 분석 18
3. 석기기술 연구 20
4. 편년과 문화변화 22
5. 동물 뼈와 예술품의 문제 24
VII. 구석기고고학계의 지평 25
1. 고고학과 "구석기학" 25
2. 구석기고고학계의 지평 26
VIII. 맺음말 28
참고문헌 30
Abstract 37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전환기의 고고학에 대한 학사적 검토 = Review of Archeology of the Transition Period : 1990~2000년대의 성과를 통해 | 裵眞晟 | pp.43-68 |
|
보기 |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시각, 자율과 통합 = Perspectives on Ancient States, Individualism & Unity | 金在弘 | pp.69-94 |
|
보기 |
11~16세기 도기가마의 변화과정과 의미 =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 김태홍 | pp.127-158 |
|
보기 |
한국 구석기고고학사 시론 = A Short History of Paleolithic Archaeology in Korea: Achievements and Challenges | 성춘택 | pp.5-41 |
|
보기 |
考古學으로 본 古代 東亞細亞 王陵 =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on Ancient East Asian Royal Tombs | 朴天秀 | pp.95-12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갬블, 클라이브(성춘택 옮김), 2013, 『기원과 혁명: 휴머니티 형성의 고고학』, 사회평론. | 미소장 |
2 | 권수진, 2015, 「포천 늘거리 후기구석기유적에서의 돌감획득과 이용양상」,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 | 구석기시대 동물뼈 해석의 방법론적 고찰 | 소장 |
4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한국고고학전문사전-구석기시대편』 국립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5 | 김경진, 2013, 「한국 석영계 석기 쓴자국 분석 방법 시론」, 『야외고고학』 13: 35-56. | 미소장 |
6 | Use-wear Analysis on the Lithic Tools Uncovered from the Wolseong-dong Site in Daegu | 소장 |
7 | 김상태, 2012,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연구』, 서경문화사. | 미소장 |
8 | 김신규·김교경, 1974, 「상원 검은모루 구석기시대 발굴 보고」, 『고고학자료집』 4: 3-39. | 미소장 |
9 | 김신규·김교경·백기하·장우진·서국태, 1985, 『평양 부근 동굴 유적 발굴 보고』, 유적발굴보고 14. | 미소장 |
10 | 김용간, 1984, 『조선의 구석기시대』. | 미소장 |
11 | 김용간·서국태, 1962, 「서포항 원시유적 발굴보고」, 『고고민속론문집』 4: 33-40. | 미소장 |
12 | 김용남, 1962, 「함북 화대군에서 털코끼리의 유골을 발견」, 『문화유산』 62-2 | 미소장 |
13 | 公州 馬岩里 洞窟遺蹟豫報 | 소장 |
14 | Note pr?liminaire sur l'industrie acheul?eanne de Chongokni en Cor?e ![]() |
미소장 |
15 | 김원용·최무장·정영화, 1981, 『한국구석기문화연구』, 한국정신분화연구원(연구논총 81-1). | 미소장 |
16 | 김원용·배기동, 1983, 「서울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17 | 동북아시아의 좀돌날몸돌 연구 동향 | 소장 |
18 | 김정학, 1958, 「한국에 있어서 구석기문화의 문제」, 『고려대학교문리논집』 3: 1-23. | 미소장 |
19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Discerning the Function of Sites in Upper Paleolithic in Jungwon Region of Korea | 소장 |
20 | 도유호, 1963, 「학계소식: 1963년 중 고고학에서 거둔 성과」, 『고고민속』 63-3 | 미소장 |
21 | 도유호, 1964, 「조선의 구석기시대 문화인 굴포 문화에 대하여」, 『고고민속』 64-2 | 미소장 |
22 | 도유호, 김용남, 1964,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와 이른 신석기시대의 연대론에 대하여」, 『역사과학』 64-5. | 미소장 |
23 | 박가영, 2012, 「한반도 출토 슴베찌르개 연구」,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4 | 박동원, 1983, 「유적의 고환경 및 지형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25 | 몇몇 구석기 유적 에 대한 의견 | 소장 |
26 | 박영철, 1992, 「한국의 구석기문화: 유적 현황과 편년 문제」, 『한국고고학』 28: 5-130. | 미소장 |
27 | A Study on Relation between Large Flakes and Large Flake Tools Excavated on Imjin-Hantan River Basin in Terms of Producing Techniques | 소장 |
28 | 박희현, 1984, 「제원 사기리 후기 구석기 유적 발굴조사 보고」,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 | 미소장 |
29 | 창내의 후기 구석기 문화 | 소장 |
30 | 배기동, 1980, 「전곡리 출토 주먹도끼의 비교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1 | A Study on Handaxes Form Chongok-ri Paleolithic Site in Korea ![]() |
미소장 |
32 | 배기동, 1983b, 「한국 고고학 40년: 구석기시대」, 『한국고고학연보』 10, 서울대학교 박물관. | 미소장 |
33 | 배기동, 1992, 「구석기시대」, 『한국선사고고학사』, 까치, pp.9-75. | 미소장 |
34 | 배기동, 1996, 「한국구석기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박물관신문』 297-300호. | 미소장 |
35 | A Comparative Study of Evolution and Regional Patterns of Acheulean or Achelean-typed Biface/Handaxe Industries in East Asia and near East | 소장 |
36 | 서국태, 1987, 「만달리 동굴유적의 석기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87-2. | 미소장 |
37 | Technological approach to blades and micro-blades production at the Seokjang-ni site (Gongju-si, Korea) | 소장 |
38 | 석장리박물관, 2006, 『석장리박물관 도록』, 석장리박물관. | 미소장 |
39 | 석장리박물관, 2013, 『한국 구석기 연구의 발상지』, 석장리박물관. | 미소장 |
40 | 세석인 제작기술과 세석기 | 소장 |
41 | The Relevance of the Middle Paleolithic in Korea: A Critical Review | 소장 |
42 | Raw Material Exploitation and Use in Paleolithic Technology: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Terminal Pleistocene Lithic Raw Material in Korea | 소장 |
43 | 한국 후기 구석기 유적의 시간층위 재고 | 소장 |
44 | A Comparative and Evolutionary Approach to the Korean Paleolithic Assemblages | 소장 |
45 | Structure and Evolution of Late Paleolithic Assemblages in Korea | 소장 |
46 | 성춘택, 2006c, 「구석기시대」, 『충남도지: 선사에서 백제로』, 충청남도역사문화원, pp.37-109(이강승, 안덕임, 박순발, 성정용 공저). | 미소장 |
47 | Hunter-Gatherer Mobility and Postglacial Cultural Change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 소장 |
48 | 성춘택, 2011, 「수렵채집민 연구의 동향과 후기 구석기 사냥기술의 변화」, 『한국 선사시대 사회와 문화의 이해』 중앙문화개연구원 편, 서경문화사, pp.35-62. | 미소장 |
49 | 성춘택, 2014, 「세계 고고학사 다시 보기」,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9』, 국립문화재연구소, pp.-748. | 미소장 |
50 | Excavations at Seokjang-ri and Korean Paleolithic Archaeology Revisited | 소장 |
51 | 성춘택, 2016, 「역사 교과서의 선사시대 서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구석기·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1: 105-129,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미소장 |
52 | 성춘택, 2017, 『석기고고학』, 사회평론. | 미소장 |
53 | 公州 石壯里 無土器文化 ![]() |
미소장 |
54 | 손보기, 1966, 「신석기 문화에 앞서는 우리 문화」, 『연세춘추』 [2009], 학연문화사, pp.15-28. | 미소장 |
55 | 層位를 이룬 石壯里 舊石器 文化 ![]() |
미소장 |
56 | Grattoir-burin caréné Discovered at Sŏkchang-ni, Korea ![]() |
미소장 |
57 | 石壯里이외의 舊石器文化의 分布可能性 | 소장 |
58 | 石壯里의 새기개·밀개 文化層 | 소장 |
59 | 石壯里의 후기 구석기시대 집자리 | 소장 |
60 | 제천 점말동굴 발굴 중간보고 | 소장 |
61 | 손보기, 1985, 「단양 도담리 지구 유적 발굴조사보고」,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연장 발굴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 미소장 |
62 | 손보기, 1988, 『한국 구석기 연구의 길잡이』, 연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63 | 손보기, 1989, 「상무룡리에서 발굴된 흑요석의 고향에 대하여」, 『상무룡리』, 강원대학교박물관, pp.781-796. | 미소장 |
64 | 손보기, 1993, 『석장리 선사유적』. 동아출판사. | 미소장 |
65 | 손보기, 2002, 「우리의 구석기문화 연구」, 『우리나라의 구석기문화』, 연세대학교 박물관, pp.303-320 | 미소장 |
66 | 손보기, 2009, 『석장리 유적과 한국의 구석기 문화』, 학연문화사. | 미소장 |
67 | 오브라이언, 마이클·리 라이맨(성춘택 옮김), 2009, 『다윈 진화고고학』 나남.(Applying Evolutionary Archaeology: A Systematic Approach. Plenum, New York, 2000) | 미소장 |
68 | 오오타니 가오루(大谷薰), 2012, 「한반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돌감이용 양상」, 『호서고고학보』 26: 4- 37. | 미소장 |
69 | Microlithic culture of Korea and Japan area based on Analysis of Wolseongdong site, Daegu | 소장 |
70 |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특성에 대하여 | 소장 |
71 |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Palaeolithic Raw Material : comparative analysis of quartzite from the Imjin-Hantan River Area with European high-quality raw materials ![]() |
미소장 |
72 |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daxes from the Imjin-Hantan River Area : the Sequel | 소장 |
73 | Symmetry of the handaxes from the Imjin-Hantan River Area : dynamics observed and factors explored | 소장 |
74 | 윤보선, 1967, 『구국의 가시밭길: 나의 회고록』, 한국경정사. | 미소장 |
75 | 北韓의 考古學;특히 都宥浩의 硏究를 中心으로 | 소장 |
76 | Analysis on Technique, Typology and Measurement of Tanged Point from the Jingeuneul Prehistoric Site in Korea | 소장 |
77 | The cultural continuities and innovations in the Korean Upper Palaeolithic culture along with its interactions | 소장 |
78 | 북한선사고고학의 패러다임 : 학사적 검토를 중심으로 | 소장 |
79 | 구석기시대 ![]() |
미소장 |
80 | Articles : Towards an Understanding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 A Historical Review ![]() |
미소장 |
81 | 이선복, 1989, 『동북아시아구석기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82 | For chronology and stratigraphy of Korean palaeolithic | 소장 |
83 | 雷斧考 | 소장 |
84 | 이선복, 2002, 「한국 구석기 연구의 발전을 위한 모색」, 『우리나라의 구석기문화』, 연세대학교 박물관, pp.327-339. | 미소장 |
85 | 이선복, 2005, 『고고학이야기』, 뿌리와이파리. | 미소장 |
86 | 임진강 유역 출토 주먹도끼 연구의 두 세 과제 | 소장 |
87 | On Provenance of the Prehistoric Obsidian Artifacts in Korea | 소장 |
88 | 이성주, 1992, 「신석기시대, 『한국선사고고학사』, 까치, pp.77-168. | 미소장 |
89 | 이융조, 1981a, 「청원 두루봉 구석기문화 중간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 | 미소장 |
90 | 이융조, 1981b, 『한국의 선사문화: 그 분석 연구』, 탐구당. | 미소장 |
91 | 이융조, 1984, 「단양 수양개 유적 발굴조사 보고」,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pp.101-186. | 미소장 |
92 | 韓國舊石器時代의 動物相 ![]() |
미소장 |
93 | 수양개유적의 슴베 연모에 대한 새로운 연구 | 소장 |
94 | Reduction Strategies of Handaxes from Imjin-Hantan River Area : an analysis of flake scar patterns using 3-D scanned data | 소장 |
95 | Correlation of Chronology and techno-typological Character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 소장 |
96 |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 소장 |
97 | Study of Character of Coexistence Model and Cultural Complexity system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 소장 |
98 |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슴베석기의 기능과 도구복원 연구 | 소장 |
99 | Preliminary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blade core technological system in Korea | 소장 |
100 | 이헌종·한창균·黃慰文·AP. P. 데레비안코 , 2003, 『동북아시아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 전통에 대한 연구』, 학연문화사. | 미소장 |
101 | 이형우, 2007, 「포인트형 석기의 기능적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호남고고학』 16: 1-24. | 미소장 |
102 | 장용준, 2002, 「한반도 세석핵의 편년」, 『한국고고학보』 48: 5-33. | 미소장 |
103 | 장용준, 2003, 「석장리유적의 재검토: 중·후기 문화층을 중심으로」, 『국립공주박물관기요』 3: 7-39. | 미소장 |
104 | 석영제 석기군의 내재적 발전가능성에 대한 검토 ![]() |
미소장 |
105 | 우리나라 찌르개(尖頭器)연구 | 소장 |
106 | 장용준, 2007, 『한국 후기구석기의 제작기법과 편년연구』, 학연문화사. | 미소장 |
107 | 中國 東北地域 後期舊石器 製作技術의 變遷과 系統 硏究 | 소장 |
108 | A Comparative Study of the Blade and Microblade between Korea and Japan | 소장 |
109 | 장용준, 2015b, 『구석기시대 석기 생산』 진인진. | 미소장 |
110 | 장우진, 2002, 『조선민족의 력사적 뿌리』 사회과학출판사. | 미소장 |
111 | 장우진·주학성, 2009, 「대현동유적의 성격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98(1): 3-5 | 미소장 |
112 | 장우진 외, 2010, 『화산용암 속에 묻힌 인류화석』 제2판, 사회과학출판사. | 미소장 |
113 | 장용준, 2010, 「한국 최초의 구석기에 대한 시론: 橫山將三郞 자료를 중심으로」, 『한강유역 선사유물』, 국립중앙박물관, pp. 158-178. | 미소장 |
114 | 전경수, 2015, 「평양 정권이 숙청한 인류학자 한흥수」, 『근대서지』 11: 402-477. | 미소장 |
115 | 정영화, 1974, 「구석기시대 혈거 유적에 대하여」, 『문화인류학』 6: 51-56. | 미소장 |
116 | 정영화, 1976a, 「구석기시대: 회고와 전망, 1973-1975」, 『역사학보』 72: 142-148. | 미소장 |
117 | 정영화, 1983, 「영남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118 | 韓國의 舊石器 ![]() |
미소장 |
119 | 정영화, 2002, 「한국 구석기문화 연구의 과제와 전망」, 『우리나라의 구석기문화』, 연세대학교 박물관, pp.285-300. | 미소장 |
120 | 조태섭, 2002, 「화석환경학으로 본 동물뼈의 변형」, 『한국구석기학보』 2: 41-49. | 미소장 |
121 | Re-analysis of the so-called Korean Paleolithic mobile Art objects on a taphonomic perspective | 소장 |
122 | 최무장, 1983, 「건국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123 | 韓國에 있어서 中石器文化의 存在可能性 | 소장 |
124 | 최복규, 1983, 「중석기문화, 『한국사론』 12, 한국의 고고학 I 하.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25 | 최복규, 2013, 「우리나라 구석기연구의 발상지 석장리유적」, 『석장리박물관』, 석장리박물관, pp.137-139. | 미소장 |
126 | 동해 망상동 기곡 유적 석기에서 관찰된 미세흔적의 성격 | 소장 |
127 | 최철민, 2014, 「후기구석기시대 슴베찌르개 고찰」, 경희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28 | 켈리, 로버트(성춘택 옮김) 2014, 『수렵채집 사회: 고고학과 인류학』 사회평론(The Lifeways of Hunter-Gatherers: The Foraging Spectr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29 | 트리거, 브루스(성춘택 옮김) 2010, 『고고학사』 사회평론(A History of Archaeological Thought , 2nd ed. Cambridge Univ. Press). | 미소장 |
130 | 최무장, 1983, 「건국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131 | 한국고고학회(편), 2008, 『한국 고고학 60년』, 사회평론. | 미소장 |
132 | 한창균(편), 1990. 『북한의 선사고고학 1: 구석기시대와 문화』, 백산문화. | 미소장 |
133 |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 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소장 |
134 | 黃海道 地域의 舊石器遺蹟 | 소장 |
135 | 도유호와 한흥수 : 그들의 행적과 학술 논쟁, 1948~1950 | 소장 |
136 | Recognition of the Korean Paleolithic Age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소장 |
137 | 한창균, 2017, 『하담 도유호』, 혜안. | 미소장 |
138 | 해방 이후~1950년대에 있어 한국 구석기시대의 인식 | 소장 |
139 | 서울面牧洞遺跡發見 舊石器의 形態學的調査 | 소장 |
140 | 舊石器 時代 ![]() |
미소장 |
141 | 황용훈, 1983, 「경희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142 | 候哲, 2015, 「중국동북지방과 한반도의 후기구석기시대 흑요석제 석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43 | 충북일보. http: //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185740 | 미소장 |
144 | 德永重康·森 爲三, 1939, 「豆滿江沿岸潼關鎭發掘物調査報告」, 『第一次滿蒙學術調査硏究團報告』 2-1, pp. 1-43. | 미소장 |
145 | 直良信夫, 1940, 「朝鮮潼關鎭發掘舊石器時代ノ遺物」, 『第一次滿蒙學術調査硏究團報告』 6-3, 1-12. | 미소장 |
146 | Paleolithic Cave Home Bases, Bone Tools, and Art and Symbolism | 소장 |
147 | Bae, Kidong, 1988. The Significance of Chongokni Paleolithic Stone Industry in the Paleolithic Tradition of East Asi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미소장 |
148 | The nature of the Early to Late Paleolithic transition in Korea: Current perspectives ![]() |
미소장 |
149 | The age of the Paleolithic handaxes from the Imjin-Hantan River Basins, South Korea ![]() |
미소장 |
150 | Paleolithic Archaeology in China ![]() |
미소장 |
151 | Willow Smoke and Dogs' Tails: Hunter-Gatherer Settlement Systems and Archaeological Site Formation ![]() |
미소장 |
152 | Binford, L. R., 1981. The archaeology of place.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1: 5-31. | 미소장 |
153 | Binford, L. R., 1983. In Pursuit of the Past: Decoding the Archaeological Record . Thames and Hudson, New York. | 미소장 |
154 | Bowen, G., 1979. Report on the stone tools from Chongokni, 『진단학보』 46·47. | 미소장 |
155 | Clark, J. Desmond, 1983. Report on a visit to Palaeolithic site in Korea, 『전곡리』,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pp.594-98. | 미소장 |
156 | de Lumley, Henry, Yung-Jo Lee, Young-chul Park, and Kidong Bae, 2011. Les Industries du paleolithique ancien de la Coree du Sud dans leur context stratigrahpique et paleoecologique. | 미소장 |
157 | Gamble, Clive, 1986. The Paleolithic Settlement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58 | Gowland, W. 1895. “Note on the Dolmens and Other Antiquities of Korea”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Vol. 24: 318-331) | 미소장 |
159 | Deposition and weathering of Asian dust in Paleolithic sites, Korea ![]() |
미소장 |
160 | Middle Pleistocene handaxes from the Korean Peninsula ![]() |
미소장 |
161 | Archaeological Context and Systemic Context ![]() |
미소장 |
162 | Schiffer, M.B. 1987. Formation Processes of the Archaeological Record .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Albuquerque. | 미소장 |
163 | Quartzite and Vein Quartz as Lithic Raw Materials Reconsidered: A View from the Korean Paleolithic ![]() |
미소장 |
164 | Tanged points, microblades and Late Palaeolithic hunting in Korea ![]() |
미소장 |
165 | Emergence of a Blade Industry and Evolution of Late Paleolithic Technology in the Republic of Korea ![]() |
미소장 |
166 | Evaluating Radiocarbon Dates and Late Paleolithic Chronology in Korea ![]() |
미소장 |
167 | Seong, Chuntaek, 2014. Large flake technology and the “Acheulina” problem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4th conference of Asian Palaeolithic Associaiton, Gonju, Korea. | 미소장 |
168 | Diversity of Lithic Assemblages and Evolution of Late Palaeolithic Culture in Korea ![]() |
미소장 |
169 | Seong, Chuntaek, and Christopher Bae, 2016. The eastern Asian “Middle Palaeolithic” revisited: a view from Korea. Antiquity 90(353): 1151–1165. | 미소장 |
170 | New discoveries of the upper paleolithic microblade(or blade)-based micro-tool industry in Mortheast China | 소장 |
171 | Willey, G. R., and J. Sabloff, 1993A. History of American Archaeology. Freeman & Co. | 미소장 |
172 | Yi, Seonbok, 1986, Lower and Middle Paleolithic of Northeast Asia: A Geoarchaeological Review . Ph.D.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173 | Observations on the Lower Palaeolithic of Northeast Asia [and Comments and Reply] ![]() |
미소장 |
174 | New Discovery of Aira-Tn Ash(AT) in Korea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