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study is to examine grammar understanding with beginner English speakers according to presentational methods of grammatical content. 18 English-speaking Korean beginners were randomly assign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e first examined if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rammar comprehension with and without illustration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given the presentation illustrations showed greater understanding than the group without them.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mmar understanding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materials marked for their awareness.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the order of presenting content elements related to grammatical items. This study is to affirm the importance of illustrations as a component of Korean textbook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2 한국어 통사 발달과 학습자 변인에 대한 종적 고찰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n L2 Korean Syntactic Development and Learner Variables : Evidence from Natural Learning Environment : 자연 학습 환경의 예 김정운, 김영주, 이선진 pp.1-38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바꿔 쓰기 교육의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araphrasing to Foreign University Students 박현진 pp.63-86
한국어·중국어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어휘 다양성 = A Study on the Lexical Diversity of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최지영 pp.245-271
외국인을 위한 한글맞춤법 시안 연구 = A Study on Hangeul Orthography Guidelines for Foreigners 한재영 pp.273-296

다문화가족 구성원 대상 보이스트레이닝 서포터스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Voice Training Supporters' Training Course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 Focus on B University's Governmental Support Policy : B대학교 정부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이영희, 조위수 pp.121-147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광고 자료 선정 = The Study of Selecting Advertisement Materials for Korean Value System Education 정미경 pp.221-244
델파이 조사법을 이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능력 평가 구성 요인 연구 = A Study of Using Delphi Survey on Constructive Factors of Korean Reading Ability Evaluation for Academic Purposes 장문정 pp.149-179
중국인을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n Analysis Study of Business Korean Textbook for Chinese 함향, 호길, 진송철 pp.297-335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시선 추적을 통한 문법 이해 양상 연구 = Understanding Korean Grammar of English-Speaking Beginners Through Eye-tracking Approach : Focused on Presentational Methods of Grammar : 문법 제시 방법을 중심으로 김현진, 강승혜 pp.39-62

Th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Adverbial Particle -ey by L1 English Learners of Korean= 제2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과 발달에 관한 연구 Ebru Türker pp.337-366
Understanding the Language Learner from the Imagined Communities Perspective = 상상공동체 관점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동기 이해 : The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 Siwon Lee, Haewon Cho pp.367-402

한국어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동향분석 =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신지원, 오로지 pp.87-119

한국어 '됐어'와 중국어 'X了'의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됐어' and 'X了' : Focusing on the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장아남 pp.181-219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현진(2015a), “시선추적 기법(Eye-tracking)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과정 분석 연구 –평균적인 독자와 읽기에 능숙한 독자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제11권 2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1-159. 미소장
2 Comparison of Saccade and Regression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during Reading Process : Utilizing Eye-tracking Technology 소장
3 Effects of Speed Reading Training for Korean Learners on Fixation and Saccade-Utilizing Eye-tracking 소장
4 The unit-introducti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eye tracking method 소장
5 The Unit-introducti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Eye Tracking Method 2: Focusing on the Introductory Question and Speech-bubbles 소장
6 임정남(2017),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과정 연구 -시선추적과 뇌파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7 과학 교과서 삽화 제시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및 안구운동 분석 소장
8 최은정(2015),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활용한 문법교육 연구의 확장과 심화”, 한국어교육학회 제276회 학술대회 발표 요지문, 243-271. 미소장
9 An eye tracking comparison of external pointing cues and internal continuous cues in learning with complex animations 네이버 미소장
10 Attention guidance in learning from a complex animation: Seeing is understanding? 네이버 미소장
11 Understanding Eye Movements in Reading 네이버 미소장
12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3 A closer look at split visual attention in system- and self-paced instruction in multimedia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4 Eye Tracking Indicators of Reading Approaches in Text-Picture Comprehens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