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음악 분야에는 노벨상이 없지만, 윤이상은 노벨상을 받고도 남을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남북문제와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작품창작 뿐 아니라, 민주화 운동에도 직접 관여했다는 점에서 윤이상은 ‘민족주의자’였는데, 그로 인해 외국에서의 높은 명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일차적으로 ‘반한인사’로서 그의 음악은 배척되어왔다. 남한의 음악가, 또는 북한의 음악가라고 말하기 힘든 윤이상이 평생 염원하였던 민족적 과제는 한반도의 평화통일이었다.
유럽에서 1959년 작곡가로 데뷔했을 때만 해도 윤이상은 오로지 작곡가로 살아남는 것에 집중하여 ‘음악을 위한 음악’을 발표했다. 하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 그의 작품에 변화가 나타난다. <사선에서>, <광주여 영원히>와 같은 희생자를 추모하고 평화를 표방하는 ‘참여적’ 음악을 작곡한다. 이러한 변화의 계기는 무엇이었고, 그의 작품이 발신하는 메시지는 어떤 것이었는가?
본 논문에서는 평화사상을 담은 윤이상 음악의 수용 미학적 평가에 대한 분석은 추후의 과제로 남기고, ‘창작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음악으로 평화를 말하고자 했는지 윤이상의 평화사상을 ‘정의로운 평화’라는 가설로 제시해보고자 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Kidnapping of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and Two Types of Korea-Japan Solidarity through Analysis of Diplomatic Documents | 소장 |
2 | 1960년대 '동백림사건'과 정치·사회적 담론의 변화 | 소장 |
3 | 우에노 아키라. “윤이상 작품의 밤.”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166~169. | 미소장 |
4 | 윤이상. “정중동: 나의 음악예술의 바탕.”(1985), 『尹伊桑의 音樂世界』 (최성만 홍은미 편역). 한길사, 1991. pp. 41~52. | 미소장 |
5 | 윤이상·김언호. “나의 삶, 나의 음악, 나의 민족.”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91~108. | 미소장 |
6 | 윤이상·루이제 린저. 『윤이상. 상처입은 용』 (홍종도 옮김). 서울: 한울, 1988. | 미소장 |
7 | 윤이상·볼프강 빙클러·라이너 작트레벤. “조국의 전통에서 샘솟아오르는 나의 음악.”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209~228. | 미소장 |
8 | 윤이상·볼프강 슈파러. 『나의 길, 나의 이상, 나의 음악』 (정교철·양인정 옮김). 서울: 도서출판 HICE, 1994. | 미소장 |
9 | 윤이상·니시무라 아키라. “무한한 우주의 한 끝에서.”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146~163. | 미소장 |
10 | 윤이상·정철재. “한국문화의 소외현상과 이의 극복에 대하여.”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135~145. | 미소장 |
11 | 윤이상·송두율. “윤이상의 예술세계와 민족관.”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83~90. | 미소장 |
12 | 일본 포로수용소에서의 음악과 평화 : 반도와 구루메를 중심으로 | 소장 |
13 | 이경분. “음악과 정치: 마유즈미 도시로와 일본우익.” 『음악학』 31호 (2016). pp. 59~91. | 미소장 |
14 | 이경분. “윤이상의 정신. 호소카와 도시오(細川俊夫) 인터뷰.”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11호. 예솔 (2017). pp. 99~105. | 미소장 |
15 | 일본의 윤이상 : "동아시아 작곡가"로서 윤이상 | 소장 |
16 | Isang Yun as an exiled composer | 소장 |
17 | Zur Musikpolitik des Dritten Reiches anhand der Rezeption von Beethovens Sinfonien | 소장 |
18 | 아놀드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의 “바르샤바의 생존자(A Survivor from Warsaw)”와 망명음악(Exilmusik) | 소장 |
19 |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 (상)』.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8. | 미소장 |
20 |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 (하)』.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8. | 미소장 |
21 | 냉전의 지형학과 동백림 사건의 문화정치 | 소장 |
22 | 요셉 호이슬러. “유럽음악과 한국적 전통.”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270~275. | 미소장 |
23 | 윤신향. 『윤이상. 경계선상의 음악』. 한길사, 2005. | 미소장 |
24 | 와카미야 요시부미. 『화해와 내셔널리즘』 (김충식 옮김). 서울: 나남, 2007. | 미소장 |
25 | 한스 베르너 하이스터. “집단성과 구체성. 광주여 영원히에 대하여.”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423~459. | 미소장 |
26 | 한스 외쉬. “도(道)의 정신에서 나온 음악 - <낙양(洛陽)>에 관한 고찰.” 『尹伊桑의 音樂世界』. pp. 319~346. | 미소장 |
27 | 최성만·홍은미 편역. 『尹伊桑의 音樂世界』. 한길사, 1991. | 미소장 |
28 | Memory for the Future : the Position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in the Music of Isang Yun | 소장 |
29 | 최애경.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한 ‘우주적 음향흐름’ - 윤이상의 「에필로그」(1994).” 『음악학』 13권 (2006). pp. 79~119. | 미소장 |
30 | Michael Haspel. Gerechter Frieden und Menschenrechtsschutz – Überblick und kritische Anmerkungen zur friedensethischen Diskussion in der Evangelischen Kirche. in: epd-Dokumentation “Gerechter Krieg- ja oder nein?.” No. 41, (Oktober 2003). | 미소장 |
31 | Konrad Raiser, Ulrich Schmitthenner (ed.), Gerechter Friede. Ein ökumenischer Aufruf zum Gerechten Frieden. Begleitdokument des Ökumenischen Rates der Kirchen. Mit Anhang, Münster, 2012. | 미소장 |
32 | Horst Scheffler, Die Ethik vom Gerechten Frieden und die Überwindung des Krieges. Der Gerechte Friede als Ziel aller Politik, in: Gerhard Kümmel·Sabine Collmer(ed.): Soldat - Militär-Politik-Gesellschaft, Baden-Baden 2003, pp. 141~150. | 미소장 |
33 |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2회 “끝나지 않은 동백림 사건” (1999.9.19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ISUudZN6zws (검색일: 2017.9). | 미소장 |
34 | Barrie Gavin & Ursula Klein, Isang Yun in memoriam: November-Elegie, 1996 SFB, https://www.youtube.com/watch?v=5CZfu6ztpdc&t=714s (21:25’부터. 검색일: 2017.9.25). | 미소장 |
35 | Günther Freudenberg, Gedanken zum Tod Yun Isangs. www.asienhaus.de/public/archiv/yunisang.htm 검색일: 2017.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