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일 경험을 통해 정신장애인의 일상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 과정과 맥락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 경험을 통해 정신장애인의 일상을 살펴보는 것은, 장기입원 등 제도적 조건,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 이미 구조화되어 있는 복지 프로그램 등으로 인해 탈서사화되어 상실되었던 일상을 되찾아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활동가로 근무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총 5명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정자에서의 일 경험의 핵심적 궤는 ‘일상 세우기’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나’를 실험하는 과정, 즉 잘하는 일을 찾고, 못하는 일을 반복하면서 나의 일을 하고, 이를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일상을 세우고 있었다. 컨디션 회의, 느슨한 경계 등을 통해 생활공간을 창조하고,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조직에 도움이 된다는 안도감으로 공간에 뿌리내리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회복을 발견하고, 뿌리내린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과정이 일상을 세우는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정과 맥락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일상의 반복성과 평범성을 획득하면서 일상을 세우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인이 증상과 함께 일상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느리게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는 업무 구조의 필요성과 정신장애인의 선택권이 보장되는 업무 환경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석임. 2013.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 영향요인-지역사회통합에 대한 자아정체감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강수택. 1998.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민음사. | 미소장 |
3 | Everyday Life and Happiness | 소장 |
4 | 김시내. 2004.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5 |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Trends and Implications | 소장 |
6 | 김현민. 2015. “주제분석을 이용한 정신토탈케어서비스 이용자의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한울사회서비스사업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 복지학회』. 29:75-97. | 미소장 |
7 | 렐프(E. Relph). 2005. 『장소와 장소상실』. 박정자 옮김. 기파랑에크리. | 미소장 |
8 |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 소장 |
9 | 박성인. 2007.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대구, 경북지역의 정신재활 서비스이용자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0 | 보건복지부. 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 미소장 |
11 | Scale Development on Health Conserva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소장 |
12 | 이영희. 1992. 『산업사회와 노동문제』. 비봉출판사. | 미소장 |
13 |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s for Person with Mentally Illness | 소장 |
14 | The Experience of Mentally Disabled in Involuntary Hospitalization | 소장 |
15 | 엄윤서. 2010.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정도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장혜경. 2006. 현상학적 관점으로 조망한 정신분열 경험: 나와 세계의 모양새 짓기.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The)Habiting Experience of the Mentally Disabled in Institutional Spaces | 소장 |
18 | 조경은. 2008.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강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장애와 고용』. 19(3):81-102. | 미소장 |
19 | 조유향. 1995. 『노인보건』. 현문사. | 미소장 |
20 |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2016).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2016년도 「정신장애 당사자 주도 자립생활 지원 프로그램」 성과보고회 “변화의 서막”』. | 미소장 |
21 |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2017). 『2017 한·일 정신장애 정책 심포지엄』. | 미소장 |
22 | The Effects of Time-use on the Elderly for Facilities in Activity of Daily Living | 소장 |
23 | Ciompi, L. 1988. "The psyche and schizophrenia : The bond between affect and logic".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Deegan,P. 1993. “Recovering our sense of value after being labeled”, Psychiatric Nursing,31(4),7-11. | 미소장 |
25 | How I perceive and manage my illness. ![]() |
미소장 |
26 | Confessions of a Noncompliant Patient ![]() |
미소장 |
27 | Private and public in the lives of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 |
미소장 |
28 | Lefébure, H., Kritik des Alltagsleben, Bd. I, Kronberg/Taunus : Athenäum Verlag, 1977a. | 미소장 |
29 | Lefébure, H., Kritik des Alltagsleben, Bd. Ⅱ, Kronberg/Taunus : Athenäum Verlag, 1977b. | 미소장 |
30 | Merriamm, S. B. 199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 A quzlitative approach. 허미화 역(1997). 질적사례연구법. 양서원. | 미소장 |
31 | Yin.R(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 2rd. Sage publications, inc. 신경식‧서아영 역(2005).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 미소장 |
32 |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Chapter V.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including disorder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World Heath Organization,198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