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보령 금강암 미륵전에는 석조미륵불좌상이 1구 있고 절 창건과 조성배경에 단서가 적혀있는 비편이 전해져 오고 있다. 불상의 형식을 통해 얼굴이 크고 어깨가 좁은 세장한 신체, 좁은 무릎, 대좌 중대가 낮고 하대와 중대가 일석으로 치석한 점 등 전체적으로 고려후기의 영향력이 많이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금강암 석불의 특징으로는 용화인과 천개의 착용이다. 용화인은 용화를 쥐거나 들고 있는 수인으로 인도 굽타시기부터 등장하여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부터 나타난다. 고려후기 용화인 불상의 영향을 받은 금강암석불은 서울 약사사석불과 안성죽리 불상으로 이어졌다. 금강암석불은 마루가 표현된 옥개석형 천개를 착용하고 있는데 마루가 6개이고 원형인 유일한 작례이다. 이런 형태는 청용사지 보각국사 탑 옥개석과 무학대사 승탑 옥개석에 등장하는 용두장식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용두장식은 조선초기 왕실과 관련한 승려의 탑에서만 등장하므로 금강암 석불이 왕실발원 불상이기에 이러한 장식이 나타날 수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비편에 따라 금강암은 왕사 무학의 문도인 영암비구가 불사를 책임지어 궁주권씨의 원당으로 창건되었고 불상조성은 미륵불로 1412년 겨울에 이뤄졌으며 주관자는 판한성부사 권홍(權弘)과 옹주이씨라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자세한 창건과 불상조성 발원 내용을 당시 권홍과 궁주 권씨가 처한 상황을 유추하여 첫째 득남, 둘째 빈 책봉 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 당시 태종대 불교억압책에 맞서 불교계의 대응의 한 방법으로 명 황실을 통해 불교억압책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으므로 안동 권씨를 활용하고자 하는 당시 불교계의 주류인 무학계 의도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금강암 석불좌상은 조선전기 현재 실물이 남아있는 왕실발원 불상 중 시대가 가장 빠르고 석불로는 유일한 불상이며 조성배경과 제작시기가 확인된 기년명 불상으로 조선전기 불교조각사에 매우 중요한 불상임을 확인하였다.
Geumgangam Hermitage in Boryeong enshrines a stone seated Buddha statue in the Mireukjeon (Hall of Maitreya Buddha). And along with the statue, a stone monument that gives a clue to the background of this temple’s foundation has handed down even though its bottom has been broken and lost.
According to the memorial stone, Geumgangam was founded as a private temple for Royal Concubine Gwo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Venerable Yeongam who belongs to the genealogy of King’s Teacher Muhak. The Maitreya statue was created in winter, 1412 and sponsored by Gwon Hong, Mayor of Hanyang (capital of Joseon Dynasty, present Seoul), and his wife Princess Lee for their daughter Royal Concubine Gwon. Considering their situations, two motives of the creation of the statue can be suggested; first, for the conception of a son and second, for the investiture of Royal Concubine Gwon. Gwon Hong had some relationships with Ming’s imperial family, so it was thought that the Buddhist circle tried to use the influence of Ming to cope with the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during the Dynasty.
Geumgangam stone Maitreya Buddha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shape. Conspicuous of those are the okgaeseok (roof of stone stupa)-style canopy on his head and Younghwain mudra that is holding Yonghwa before the chest. The canopy is round and has six ridges on it, which makes it the one and single example of its kind. Also, the groove in the middle of each ridge shows the trace of dragon head-shaped ornaments that can be seen at the roof of stupa of Bogakguksa in Cheongyongsa site and that of stupa of Venerable Muhak. In conclusion, the stone Maitreya statue in Geumgangam is not only the single stone Buddha statue from early Joseon Period but also the earliest among extant statues from that period. Furthermore, with written record about the background and year of creation, it provides valuable sources for the study of Buddhist sculptors in early Joseon Perio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 석물조각사1, 2016. | 미소장 |
2 |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북2 자료집. | 미소장 |
3 |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대전・충남. | 미소장 |
4 | ∙보령박물관, 보령박물관 개관특별전 도록 보령의 믿음, 2013. | 미소장 |
5 | ∙西安碑林博物館, 西安碑林佛敎造像藝術, 섬서사범대학교, 2010. | 미소장 |
6 |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 미소장 |
7 | ∙한국미술사연구소, 조선시대 기록문화재 자료집 I, 2011. | 미소장 |
8 | ∙강우방 외, 불교조각Ⅱ, 도서출판 솔, 2003. | 미소장 |
9 | ∙김상룡, 미륵불, 대원사, 1991. | 미소장 |
10 | ∙유근자,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불광출판사, 2017. | 미소장 |
11 | ∙문명대, 마애불, 대원사, 1991. | 미소장 |
12 | ∙문명대,한국의 불상조각4-삼매와 평담미, 예경, 2003. | 미소장 |
13 | ∙문명대, 조선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6. | 미소장 |
14 | ∙박성상, 한국 고대 마애불상, 학연문화사, 2004. | 미소장 |
15 | ∙윤적향,정병삼,최인선,최선주, 호남의 불교문화와 불교유적, 백산서당. | 미소장 |
16 | ∙이태호, 이경화, 유남해 , 한국의 마애불, 다른세상, 2001, p413. | 미소장 |
17 | ∙정성권, 태봉과 고려:석조미술로 보는 역사, 학연문화사, 2015. | 미소장 |
18 | ∙최성은, 석불.마애불 예경, 2004. | 미소장 |
19 | ∙최성은,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일조각, 2013. | 미소장 |
20 | ∙최성은,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 한길아트, 2003. | 미소장 |
21 | ∙황인규, 고려말. 조선전기 불교계와 고숭연구, 혜안, 2005. | 미소장 |
22 | Development of Neo-classical Style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Kory? Period ![]() |
미소장 |
23 | 조선전반기 불상 조각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소장 |
24 | 금강산출토 티벳계 명양식 계통의 금동 아미타삼존불상(金銅三尊佛像:附石函)의 연구 | 소장 |
25 | 明 初期 티베트式 佛像의 特徵과 영향 | 소장 |
26 | Royal Family-Commissioned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side the Stone Pagoda of Sujongsa Temple in 1493 | 소장 |
27 | The Iconography of Maitreya Images Holding N?gapu?na in the Goryeo Period | 소장 |
28 | ∙오은주, 「朝鮮 15世紀 王室發願 佛像硏究」 高麗大學校 考古美術史學科, 석사학위, 2017. | 미소장 |
29 | On the Origin of Yong-Mi Ri Buddha Statues: the 15th Century Hypothesis | 소장 |
30 | 朝鮮前期 浮屠의 特徵 硏究 | 소장 |
31 | 高麗末~朝鮮前期 球形浮屠 硏究 | 소장 |
32 | ∙정성권, 「寶蓋_착용_석불_연구」, 문화사학 No21, 2004. | 미소장 |
33 | ∙ 「조선전기 석조불상 연구」, 불교미술사학 24호, 2017. | 미소장 |
34 | ∙최성은, 「14世紀의 紀年銘菩薩像에 대하여」, 미술자료, Vol.- No.32, 1983 . | 미소장 |
35 | ∙홍사준, 「금강암비명」 미술자료, Vol.- No.19, 197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